cpu 리테일? oem? 구별하는? 확인법이 따로 있나요??

developer   
   조회 4887   추천 0    



제목그대로입니당.. 어떻게 확인해야하는지.

또 oem과 정식제품 차가 있는지.. 가격차이도 있는지

... 매우매우 궁금해요... 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전현규 2019-04
1. 어떻게 확인해야하는지 : 스테핑이 QS ES는 4자리 정품은 5자리 입니다~

2  oem과 정식제품 차가 있는지 : 성능 차이 전혀없습니다~

3. 가격차이도 있는지 : 엄청 차이 납니다~

다른 방법도 있지만 제가 알고 있는 몇자 적었습니다~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developer 2019-04
아하 그렇군요..ㅠ 혹시 OEM과 정식제품차이가 스테핑으로 보는건가요?ㅠ
          
전현규 2019-04
씨리얼 조회로 구분 가능하나 AS 넣을때 알수 있습니다~
     
developer 2019-04
답변해주신것처럼 cpu-z에서 스태핑확인해보니
stepping:9 / revision: B0
이렇게나오는데요.. 5자리가아닌건가요..ㅠ
봉래 2019-04
코드보니까 리테일같네요. SR37Q로 구글링해보시면 나옵니디다. 보통 Q로 시작하고 4자리면 ES나 QS입니다. ES는 좀 더 사용이 힘들 수 있고, 잘 알려진 ES가 아니라면 가급적 QS나 리테일을 추천드립니다..
     
developer 2019-04
답변 감사합니다..ㅎㅎ
     
developer 2019-04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리테일은 OEM이 아닌것인가요??  중고로 사려니 힘드네용 ㅠㅠ OEM은 기피하고싶어서...ㅠ
          
봉래 2019-04
OEM은 엄밀하게는 주문생산으로 제공되는 CPU를 말하는거라 리테일과는 다르지만 CPU자체의 하자나 호환문제가 있는 ES와는 다릅니다. 특별히 피하시는 이유가 어떤건가요?
               
developer 2019-04
딱히 피하는 이유라기보단.. 기분탓인거같습니다.. OEM은 뭔가 예전부터 끌리지 않더라구요....ㅋㅋ위에분말씀대로면
가격차이도있네요ㅎㅎ
                    
봉래 2019-04
OEM용으로 특별제작된 모델이 아니면 제품만 봐서 OEM용인지 확인은 어려울겁니다. 예를 들어 주문제작받는 경우 특별히 스펙을 조정하는 경우, 원래부터 주문제작용으로만 제조된 모델인 경우라면 확실히 구분가능한데 그 외는 보통 OEM용으로 따로 구분가능한 표식을 두진 않습니다..
                         
developer 2019-04
oem구분은 할수없다는것이군요 ㅠㅠㅠ 답변 너무 도움많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ㅠ
                         
봉래 2019-04
꼭 리테일을 구하겠다면 밑에 박문형님 말씀처럼 정식 유통되는 물건을 사거나 아니면 포장용 박스를 포함해서 매입하는게 그나마의 방법 아닐까 싶습니다..
박문형 2019-04
그냥 봐서는 OEM과 리테일의 구분이 어렵습니다..

국내에 파는 리테일 CPU의 경우는 대부분 다나와에 등록되어 있으며 박스 형태로 팝니다..

그 외 www.cpu-world.com 사이트도 참조하세요..

대량 납품일때는 트레이로 나가는 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developer 2019-04
제가사는 제품이 웬지...OEM제품같습니다 ㅠ
판매자가 1년보장을 해준다고하는데 현금이라 영수증은 못받을거같아요.. 이럴경우... 보증에 대한 서류같은걸 받아야하나요?ㅠ
박문형 2019-04
보통 해외에서 살 수 있는 제품은 1년 보장일 것입니다..

해외 CPU 제품이 국내에서 인증받을 만한 서류를 내주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국내 리테일 제품은 3년 보장일 것입니다..
     
developer 2019-04
감사합니다..알아보니... xeon platinum은 리테일이 거의없다고 나오네요..비싸서..
어쩔수없이 OEM을 구매해야겠네용 ㅠㅠ 답변 감사드려요 ^^
이라달 2019-04
플래티넘라인은 이전의 E7의 계열을 이어받는것으로 보기 때문에
대부분 OEM의 형태를 띄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마켓에서 판매하는 플레티넘 제품들은 소매용 박스팩키지가 아니라 트레이 혹은 서버 적출품으로 보시면 됩니다.
골드 이하 경우에는 소매용 제품이 많이 보이는데
박스 형태로 파는 모델이 보이지 않는다면 OEM이라고 추측해볼수 있습니다.
단 스케일러블 라인업은 매우 다양하기때문에 판별 여부는 직접 부단한 검색을 통해 알아보아야 할것입니다.
OEM은 정품과 기능상으로 문제가 있는것은 아니며 퍼포먼스가 리테일에 비해 떨어지는건 아닙니다.
심지어는 OEM cpu가 해당라인 플래그십 리테일의 성능을 초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완제품과 패키지를 이루지 못한 OEM시피유를 구매하시면 추후 문제 발생시 AS에 불리함이 생길수는 있습니다.
엄연히 따지면 리테일 시피유의 AS요청 경로는 인텔이지만,
임의로 분해했던 OEM시퓨의 AS요청 경로는 해당 시피유가 본래 꼽혀있었던 완제품 제조사이기 때문입니다.


QnA
제목Page 1375/5727
2015-12   1775825   백메가
2014-05   5250733   정은준1
2019-04   6194   서형호
2019-04   3931   amplifier
2019-04   2635   헌터D
2019-04   6137   앤더슨jw
2019-04   3016   유종철
2019-04   2965   전진
2019-04   4596   버팔로윙
2019-04   4888   developer
2019-04   2915   낭만케이
2019-04   3539   김건우
2019-04   4962   김건우
2019-04   5699   FreeBSD
2019-04   3261   2MB20SE
2019-04   3455   Psychophysi…
2019-04   2863   금콩커피
2019-04   2991   TLaJ3KtYGr
2019-04   3352   나비z
2019-04   3238   전진
2019-04   4091   masque
2019-04   2858   행복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