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세어 PSU 전파인증현황 검색을 해보니 이렇게 나옵니다.

   조회 4010   추천 0    

 

국내 정식수입해서 판매중인 rm1000x 모델에서 가져온 인증번호로 검색했습니다.

제품과 인증받은 모델명이 달라서 한참을 검색했네요 ㅋ

상호와 제조자가 동일하니까 직구한 PSU도 관세 문제만 해결하면 전파법은 문제없겠지요?

꿈만 꾸는 공상가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9-08
파워는 간이통관이나 직구면 개인에게는 아직까지는 손을 안대는 듯합니다만 (슬슬 손대겠죠..)

정식 통관을 하면 무조건 KC안전인증 증서 번호(서류)를 달라고 합니다..

샘플이든 1개만이든 관계가 없습니다..


직구하셨다가 돈은 돈대로 날리고 고생하실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예전에 구입해서 사용중인거라서 그때는 법이 개정전이었거든요
이제 전자제품 직구는 고민 좀 하려고 합니다
박문형 2019-08
고장나서 수리 보내고 다시 받을때도 통관에 걸리면 똑같은 절차가 들어가니 조심해야 합니다..
     
탈 없기를 바라야지요
3년째 무탈합니다 ㅎㅎ
어느 커뮤니티 보니 이런 글이 있던데요



관리자입니다.

전파법 제 58조 2에따라 방송통신기자재 등에 대한 적합성평가(KC, 전자파인증)를 받지 않은 제품을 중고장터를 통해 판매할 수 없습니다.

국내에서 동일모델이 인증을 받고 판매되고 있다 하더라도, 해외에서 구매한 제품은 추가로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적합성평가를 받지 않은 전자제품 등을 판매하는 행위는 불법으로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해외 직구 등을 통해 개인사용 목적으로 적합성평가를 면제받고 구입한 기기를 중고제품으로 판매하는 행위도 불법임을 알려드립니다.

이와 관련하여 중앙전파관리소의 협조요청이 있었습니다.

문의전화 : 중앙전파관리소 080-700-0074

적합성 평가여부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rra.go.kr/ko/license/A_c_search.do
     
제조사가 받은 인증은 상관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입 업체가 받았다면 따로 받아야하는 걸로 압니다

인텔이나 벤더 pc들은 대부분 자체적으로 인증을 받기 때문에
전파인증 쪽으론 탈이 날 일이 없죠
          
조용원 2019-08
그게 딱지가 붙어있어야 될걸요 ? 그냥 인증받은모델로는 부족하고...
               
조용원 2019-08


 요기 보이시죠 ? mic 인증번호

요렇게 붙어있어야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박문형 2019-08
일반 전자기기의 MIC/KC 인증과 KC안전인증과는 마니 다릅니다..

인증비도 다르고  (1건 당 약 150만원 / 450만원 그 외 테스트 샘플 10개 정도/ 파괴 검사도 합니다.)

관리하는 부서도 전혀 다르고요..

경험해보면 헉 하실수도 있습니다..


QnA
제목Page 1261/5703
2015-12   1654620   백메가
2014-05   5119202   정은준1
2019-08   8168   2CPUI김세훈
2019-08   2794   서울I김동수
2019-08   3320   여우pc
2019-08   2741   겨울나무
2019-08   5349   반성만
2019-08   4467   twopaik
2019-08   3560   dotlee
2019-08   5728   가을바람
2019-08   2454   삐돌이슬픔이
2019-08   5398   봉래
2019-08   3521   iryna7
2019-08   3179   장동건2014
2019-08   4011   깜박깜박가
2019-08   9179   화란
2019-08   3485   refreshair
2019-08   4094   오월의행복
2019-08   3921   Doker
2019-08   3136   winner712
2019-08   3862   이웃집정씨
2019-08   2910   옵테론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