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관련 문의드립니다.

yuno   
   조회 2979   추천 0    

 안녕하세요

서버관련 문의드립니다.

1. 저희가 이번에 서버를 도입하려고 하는데 이 서버가 어느정도 서버인지 잘 모르겠어서 문의드립니다.

중급? 고급? 이런식으로 대략적으로만 알려주셔도 좋고 평가가 어떻한지도 알고싶습니다.

RX2540 M4 : Silver 4110 8C 2.10 GHz 2P, MEM 64GB(32GB*2EA), SAS 900GB 10K 5EA, SSD SATA 240GB RI 2EA, NIC 1G 4P(OCP), Dual Pwr

서버이름은 이러하고 금액도 대략적으로 어느정도 하는지 알고 계신분이 있으시면 답글을 주셔도 좋고 금액을 공개하시기 어려우시면 쪽지로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요새 서버로 오라클을 많이 쓰는지도 문의드립니다.

오라클 서버 소프트웨어 시세도 조금 궁금하고 ..


3. 추가로 서버를 비교견적해볼 수 있는 사이트가 혹시 있으면 답글 좀 부탁드릴게요.

전혀 모르겠어서요..


감사합니다.

yuno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ong05 2019-12
서버용도가 뭔지부타 알아야 합니다.
서버자체는 중급인데 CPU는 하급입니다
     
yuno 2019-12
넵 감사합니다. cpu가 하급이라는데 서버에서 cpu가 많이 중요한가요? 파워나 하드 등은 많이 중요한것 같은데...
서버용도는 프로그램 DB용입니다.
ZSNET5 2019-12
1. Fujitsu 제품라인에서 중하급 라인으로 보시면 됩니다. 금액은 제가 후지쯔하고 별로 친하지 않기 때문에 잘 모릅니다.
  서버들이 브랜드에 따라 땡처리 나올때는 미친듯이 저렴하고, 신품 출시때에는 미친듯이 비쌉니다.
2. 오라클이 필요하면 쓰는 거고, 필요하지 않으면 안쓰는 건데..... 점점 사용 안하는 추세입니다.
  이넘들이 유지보수 가격정책을 너무 잘 잡아서..
3. 서버는 필요한 성능에 맞춰서 구성하는거라 비교 사이트가 큰 의미는 없습니다. 모델명만 알고 있으면 그냥 옥션이나 G마켓에서 가격비교해도 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특별히 이유가 있지 않다면 HP나 DELL 둘 중 하나의 브랜드를 선택합니다. 후지쯔나 CISCO등의 메이커는 분명히 좋은 장비입니다만 후속지원에서 아쉬울때가 많고, 특히 오래된 장비(보통 5년 경과)의 지원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앞서의 두 브랜드는 어디서 어떻게든 부속을 구해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yuno 2019-12
넵 감사합니다.
후지츠는 선호도가 다른 유명브랜드에 비에 떨어지나보네요 ;;
가성비로 보면 후지츠가 좋은 편인가요 ? ㅎㅎ
          
ZSNET5 2019-12
후지쯔는 한국에서 그리 선호도가 높은 메이커가 아닙니다.
일본에서는 잘 팔린다고 하더군요.
한번 도입하면 7년 정도 사용한다고 보고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데, 그때 수리부속을 구할 수 있는 메이커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권합니다.
개인적으로 HP 제품만 사용하는 이유가 이런것 때문이거든요.
가성비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메이커에 따라 밀어내기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 잘 사면 정말 쌉니다.
오라클은 툴이 좋은게 많아서 개발자나 관리자들은 좋아합니다 당연히 쓰고 싶어하고 근데 비용 때문에 다른거로 바꾸려 하는데도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가장 좋은 dbms입니다
     
yuno 2019-12
넵 감사합니다.
오라클이 좋은 편이군요...
개발환경은 좋으나 가성비 면에서 떨어지나보네요
그러면 가성비로만 놓고보면 리눅스나 ms가 더 좋은가요?

최근에  mysql을 오라클이 구매했다고 하는데 mysql이 유료화가 될까요? ㅎㅎ
          
ZSNET5 2019-12
퍼포먼스나 지원환경을 보면 중대형 사이트에서 오라클이 좋습니다만, 중소규모 이하에서는 MS-SQL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서버 HW/SW는 가성비로 구매하는게 아니라 필요한 만큼 구성하는겁니다.
오락흘은 엔진도 비싸고, 개발툴도 비싸고, 유지보수비도 비쌉니다. 모든게 다 비싸요..
물론 비싼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만, 뭐가 중요한지는 따져봐야겠지요..
어쨋든 유지보수의 비용문제 때문에 오라클의 사용빈도가 줄고 있는건 사실입니다. 어떻게 보면 오라클이 정상이기는 한데, 사서 쓰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별로예요..
박문형 2019-12
우선 회사에서 사용하던 브랜드가 있을 것입니다..

그것을 우선 알아보세요..

회사에서 어느 위치인지 모르겠지만 사장님이나 아예 결정 권한을 다 가지고 계신다면 어던 것을 구매하셔도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중간 관리자나 사원인 경우에는 이번 구매가 누가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야 하며 그 분에게 어떤 브랜드 어느 정도의 사양이 좋은지

물어 볼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결정권자가 그쪽을 잘 모르는 경우에는 그쪽을 잘 아는 회사 직원을 가르쳐 달라고 하여 조언을 구하는 편이 좋습니다..

구매라는 것은 세력 싸움입니다..

 좋은 사양에 싸면 좋겠지만 보통 현실은 그러하지 못합니다.. 그렇다고 나는 얼마에 이렇게 받았다고 동내 방네 알리면 국내 어느 리셀러도

물건을 안 줄수도 있습니다.. 가격 비교는 스팩을 정한 다음 같은 혹은 비슷한 사양에서 의 비교 견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격면 싸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사후 서비스내용 / 비상시 응급 조치 케어 팩 등등을 꼭 고려 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라클은 소프트웨어를 말씀하시는 것인지 하드웨어를 말씀하시는 것인지 잘 모르겠지만

소프트웨어는 오라클을 취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리셀러에게 가격 받아 보시고 (가격도 가격이지만 가격이 계속 바뀔수 있습니다..)

하드웨어는 국내에서는 잘 안팔리는 듯합니다.. 리테일 쪽에 리셀러는 잘 안보입니다..
     
yuno 2019-12
넵 감사합니다.
저희 회사는 현재 서버 자산이 없습니다.
아웃소싱으로 해주고 있었는데 아웃소싱 업체에서 게시글에 말씀드린 서버를 구매하라고 추천해줬는데 배경지식이 없다보니 문의드렸습니다.
다른분들이 글을 써주신걸로 봐선 후지츠가 후속조치가 안좋다는 의견이 있어서 어찌할지 모르겠네요 ;;
결정권이 저에게 없어서... 관리만 하게 될 것 같습니다.ㅎㅎ

오라클은 소프트웨어입니다. ㅎㅎ
          
박문형 2019-12
몇 년 전에 오라클 소프트웨어 견적 받아서 견적 넣다가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에서 연락이 왔는데

언제까지 구매하시는 오라클 무슨무슨 버젼은 1,xxxxxxx 원이며

다음 달로 넘어가게 되면 오라클 본사의 가격정책에 의하여 같은 오라클 무슨무슨 버젼은 2,xxxxxxxx 원에 공급됩니다..

가격이 2배가 되며 오라클 본사의 정책이기에 정해진 가격외에 팔 수가 없습니다..


라는 공지를 본 적이 있습니다..
술이 2019-12
돈 아끼고 싶으면 오라클 말고 MSSQL로 전환하는것이 훨씬 저렴합니다. 별도로 툴 구입하지 않아도 되고 요즘은 스토리지 없이도 복제 이중화가 가능하니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SQL로 가는게 훨씬 이득입니다. 요즘 대기업도 탈 오라클화 하고 있어서 이게 뭘 의미하는지 알겁니다.
     
yuno 2019-12
넵 감사합니다.
MS로 가는 추세군요 ;; ㅎㅎ 몰랐습니다.
오라클도 가상화가 잘되어 있나요? 듣기로는 가상윈도우를 여러개 만들수가 있어서 여러 서버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들었는데 이 방법이 좋은지도 모르겠고 하드웨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서버가 느려지는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NUXE 2019-12
쪽지보내드렸습니다.


QnA
제목Page 1190/5724
2014-05   5238084   정은준1
2015-12   1763789   백메가
2019-12   3133   리장님
2019-12   2337   프링글스
2019-12   2980   yuno
2019-12   3226   권순규
2019-12   3856   blueMango
2019-12   2491   요요요니
2019-12   2561   어훕
2019-12   3340   강한구
2019-12   2749   SJNM
2019-12   4444   컴박
2019-12   3751   라온제나
2019-12   4472   전산직딩
2019-12   2773   머라카는데
2019-12   2918   삐돌이슬픔이
2019-12   3903   컴박
2019-12   3481   케이아스
2019-12   2504   구명서
2019-12   4529   김우진
2019-12   2436   가빠로구나
2019-12   3531   프로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