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트워크 탭스위치에 트래픽 수집분석서버를 연결해 트래픽을 수집하여 몰록을 이용해 관찰하던 도중에
궁금한게 생겨서 이렇게 문의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DDNS | https://account.synology.com https://ddns.synology.com |
외부 IP 분석기 | http://checkip.synology.com http://checkipv6.synology.com |
저같은 경우 30일정도 수집된 패킷을 분석해보니 캐나다와 미국 내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서비스되는걸로 나옵니다.
아래에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와 서비스포트입니다.
account.synology.com (미국) - TCP 443
68.183.161.151
68.183.161.145
68.183.169.155
68.183.169.156
178.128.11.127
account.synology.com (캐나다) - TCP 443
15.222.128.36
35.183.140.20
99.79.150.230
checkip.synology.com (미국) - TCP 80, TCP 81
68.183.161.151
68.183.161.145
68.183.169.155
68.183.169.156
178.128.11.127
ddns.synology.com (미국) - TCP 443
52.10.148.148
52.35.121.55
54.69.11.172
클라우드서비스는 CDN같은 기술을 이용해 클라이언트측과 가까운 지역에서 서비스 진행이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지금상태에서는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미국과 캐나다의 IP대역을 받아 접속을 시도할거 같은데 시놀로지 나스 방화벽에서
한국에 해당 포트들만 허용하고 사용시에 딜레이없이 서비스 이용이 계속 가능할까요? 궁금합니다 ㅠㅠ
사용자가 미리 지정을 해줘야 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항상 그렇듯, 뭔가 더 하려면 추가 비용이기 때문에 최소화 하려는 경향들이 있습니다.
혹시 그 지정이라는것을 시놀로지 내부에 요청부분에 코드를 설정해야하는지요? 초보라 난감합니다 ㅜ
또 지역의 사용자 수가 가장큰 factor일것이고요.
그런데 미국 아마죤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서비스라면 글로벌 엑세스가 무난하지 않나요?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