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299 |
25 |
2015-12
176129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4927 |
0 |
2014-05
5234927
1 정은준1
|
94223 |
라즈베리파이 4B+ 전력소비? 질문. (5) |
Yxsis |
2020-07 |
13844 |
0 |
2020-07
13844
1 Yxsis
|
94222 |
개인이 Eypc 프로세서를 보통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17) |
tpp52 |
2020-07 |
4116 |
0 |
2020-07
4116
1 tpp52
|
94221 |
스케일러블 cpu 접점 색상 차이 (4) |
fdgdfsgfdsfd |
2020-07 |
2474 |
0 |
2020-07
2474
1 fdgdfsgfdsfd
|
94220 |
스케일러블 cpu 접점 색상 차이 |
이일저일 |
2020-07 |
2926 |
0 |
2020-07
2926
1 이일저일
|
94219 |
LED 벌브램프 꺼지는 현상 (5) |
파리대왕 |
2020-07 |
3197 |
0 |
2020-07
3197
1 파리대왕
|
94218 |
많이 부족 한가요? 파워나 발열 등등 (1) |
Sakura24 |
2020-07 |
3214 |
0 |
2020-07
3214
1 Sakura24
|
94217 |
전동드릴 배터리 질문입니다. (6) |
U3164 |
2020-07 |
4764 |
0 |
2020-07
4764
1 U3164
|
94216 |
[윈10 IDE-ACHI] 하드컨트롤러 ide 모드에서 achi모드로 재설치없이 모드변환 문제 (4) |
원주멋진덩치 |
2020-07 |
5409 |
0 |
2020-07
5409
1 원주멋진덩치
|
94215 |
서버 OS 재설치시 기존에 묶인 레이드는 어떻게 조치해야 되나요? (4) |
hdr2rd |
2020-07 |
10742 |
0 |
2020-07
10742
1 hdr2rd
|
94214 |
또다른 질문-인공지능 관련 입니다. (1) |
MikroTik이진 |
2020-07 |
2879 |
0 |
2020-07
2879
1 MikroTik이진
|
94213 |
올코어 부스트 클럭이 왜 안나올까요 (5) |
박박서방 |
2020-07 |
5312 |
0 |
2020-07
5312
1 박박서방
|
94212 |
컴퓨터 내장 스피커 고장 (11) |
rockwitya |
2020-07 |
3478 |
0 |
2020-07
3478
1 rockwitya
|
94211 |
20년 넘은 삼성 cd player 수리하려면 삼성 as 센터가면 안되겠죠? ㅠㅠ (27) |
냐미냐미 |
2020-07 |
6308 |
0 |
2020-07
6308
1 냐미냐미
|
94210 |
고수님들 메인보드 고장 질문드립니다 (8) |
정연 |
2020-07 |
3254 |
0 |
2020-07
3254
1 정연
|
94209 |
컴퓨터용품 부가세 문의 (4) |
이희주 |
2020-07 |
2704 |
0 |
2020-07
2704
1 이희주
|
94208 |
부팅 후 윈도우 진입하면 윈도우 OS 제외 다른 모든 SSD/HDD 가 인식불가. (7) |
가츠 |
2020-07 |
4682 |
0 |
2020-07
4682
1 가츠
|
94207 |
랜카드 2개가 같은 대역대를 가지고 다른 장비와 연결되어도 괜찮은가요? (7) |
무아 |
2020-07 |
3755 |
0 |
2020-07
3755
1 무아
|
94206 |
혹시 Jenkins도 이중화 할수있을까요? (1) |
일리케 |
2020-07 |
5774 |
0 |
2020-07
5774
1 일리케
|
94205 |
Z9PE-D8 WS 입니다. PCI-E 가 2.0인데... (13) |
가츠 |
2020-07 |
6423 |
0 |
2020-07
6423
1 가츠
|
94204 |
CPU 호환 관련 문의 드립니다. (2) |
Miru |
2020-07 |
3527 |
0 |
2020-07
3527
1 Miru
|
저렇게 만든 장비를 딴 곳으로 보내야 하는데 그곳에 공유기 상태가 어떤지 모르고 재수없게 입타임이라도 만나면 보통 입타임은 192.168.0.x 를 쓰더군요.
원래는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는데 가끔 팀뷰어 같은 걸로 원격 컨트롤을 할 일이 있어서 와이파이 무선 접속 환경을 만들 달라고 할 경우 현지의 공유기의 설정이 어떨지는 랜덤이니까요.
두번째로는 이더넷 장치가 공장 출하시 192.168.0.11 로 기본 셋팅되어서 나와서 그렇습니다. 뭐 전용 어플로 연결하여 한땀 한땀 바뿨주면 번거롭기도하고.. 제가 하는 것이라면 한땀 한땀 바꾸겠지만 남이 해야하는 일이 되면 메뉴얼화 시켜서 자료로 남겨주면 되는데 보통 그런거 안보고는 어. 잘되는게 왜 안되요 할까봐서요.
그래서 저런식의 아무 변경없이 셋팅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 문의드립니다.
가장 확실한 것은 이더넷 장치의 IP를 공유기가 잘 쓰지 않는 대역으로 바꿔버리면 되겠지만...
사용에 문제 없습니다. 다만, 공유기에서 다른 IP를 할당하지 않도록 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