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서버 관련 질문

shefef   
   조회 3676   추천 0    

 안녕하세요. 인프라 공부하다 궁금한게 있어 질문올립니다.


서버는 보통 웹서버, DB서버 등 서비스 제공하고 스토리지는 대용량 하드를 활용한 저장소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1. 그럼 서버를 구성할 때 36베이로 대용량 하드를 구성하면 스토리지 서버인가요?

2. 스토리지랑 서버의 차이가 메인보드 유무인가요?

3. 스토리지 중 메인보드 없는 친구들은 다 DAS인건가요? 

4. 그냥 서버와 NAS의 차이는 뭔가요?


질문 수준이 낮지만 너무 애매하게 알고가면 안될것같아 전문가 분들께 조언구합니다. ㅠㅠ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hy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maronet 2020-08
1, 2, 4. 기기의 역할 정의는 결국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 SW를 탑재하느냐에 의해서 결정 됩니다. 하드웨어 스펙은 그냥 거들 뿐입니다.
정의석 2020-08
1. 스토리지(저장), 서버(서비스 제공-웹, DB등), 웍스테이션(작업)의 구분은 외형 보다는 주 목적에 따라 달라질듯 합니다. 만일 DB+저장이라면, 보통 (DB)서버라 불리는듯 합니다.
2. 1번 참고
3. NAS는 어쨌거나 작은 메인보드라도 있으니 (백플레인, 레이드카드가 아닌)메인보드가 없으면 DAS라 보시면 될듯 합니다.
4. NAS는 서버와 비교를 하기 보다는 스토리지의 범주에서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DAS는 한대의 PC에만 연결할 수 있지만, NAS는 네트웍이 연결된 모든 PC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 만일 윈도우에서 일반 PC의 하드디스크를 공유폴더로 지정해서 다른 PC에서 네트웍으로 그 폴더에 접근할 수 있다면, NAS라 할수는 있을겁니다. 하지만, 위에서 얘기 했듯이 주 용도에 따라 명명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박문형 2020-08
1. 스토리지 서버 : 서버에 하드가 많이 달리고 그 하드를 콘트롤하기 위해 레이드 카드나 마더보드에 하드디스크용 포트가 많이 달린
                          그런 서버 / 스토리지 서버만 놓고 보면 데이터 입출력은 스토리지 서버의 네트워크 카드입니다..

2. 스토리지 서버와 스토리지의 차이 : 스토리지서버의 데이터 입출력은 서버의 네트워크 카드이고 스토리지는 SCSI /SAS /FC /iSCSI 정도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스토리지들은 서버에 연결될 때 HBA 카드(SCSI 카드 /SAS 카드 등)
                                                    가 필요합니다..  스토리지는 보통 호스트 포트가 달린 전용 레이드 엔진을 가지고 있습니다..

3. 그렇다고 보기 힘듭니다..  DAS는 스토리지가 서버와 직접 연결된 형태를 말한 것이고 NAS와 같이 데이터 공유가 되지 않습니다..

4. 서버와 NAS의 차이 : 서버는 OS가 없어도 서버로 불리며 보통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윈도우즈 리눅스 같은 OS를 설치해서 사용합니다..
                                NAS는 NAS OS가 따로 있으며 이는 보통 임베디드 형태의 전용 OS 입니다..
                                특정 장비에 전용화되어 있으며 롬이나 USB 키 같은데 저장되어 사용 됩니다..

                                  서버에 윈도우즈나 리눅스를 설치하고 NAS와 같이 셋팅하여 NAS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만 이는 범용화 장비이기에
                                  NAS라고 불리지는 않습니다..
박문형 2020-08
일반적으로 보통 전용 정비인 외장 스토리지는 가격이 상당히 비싸며 같은 용량으로 구축할 시 스토리지 서버가 좀 더 저렴합니다..
     
shefef 2020-08
질문하나만 더 드려도 괜찮을까요? 혹시 스토리지 서버에 bay에 모든 하드 다 꽂았는데 용량 증설이 필요한경우에는 어떻게하는지 궁금합니다.
박문형 2020-08
스토리지 서버가 어떤 것이냐 어떤 방식으로 구성했느냐에 따라 틀려집니다..

SAS/SATA 하드 기준으로 보면 SAS ID는 256개인데 이것을 다 지원할 수 있는  SAS EXPANDER JBOD BOX를 달면

레이드 콘트롤러 /SAS EXPANDER / HDD를 총 256개 이론적으로 달수 있게 되며 최대 약 200개 정도까지는 달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않고 120개 정도의 하드가 연결되면 최대입니다..

그리고 HA 구성을 하게 되면 SAS ID를 이중으로 먹기에 256개의 절반 정도 갯수의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스토리지 장비마다 다 다르기에 그 장비에 정통한 사람을 통하여 기술지원을 받아야 합니다..

이 정도가 대략 장롱짝 1개 정도의 장비이고

https://www.areca.com.tw/products/storage-9200.html

이것이 더 커지게 되면 SAN으로 연결해서 SAN 소프트웨어를 통한 가상 스토리지를 만들어 사용하면 더 더욱 커질수 있습니다..
     
shefef 2020-08
제가 너무 두루뭉술하게 질문드렸네요 ㅠㅠ. 선생님 글 중에 36베이 있는걸 봤습니다!
36베이에 12TB SAS 32개 레이드카드 한개, 2개 hot-spare로 쓴다면 추후 용량증설할 경우 고민되어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LAN port 속도도 1GbE랑 10GbE 차이가 심할까요. 어느정도인지 감이 안잡혀서요.
자꾸 번거롭게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박문형 2020-08
슈퍼마이크로 스토리지서버를 보신 듯한데

이것은 거의 모든 유져가 사용하다가 디스크 모자른다고 디스크를 늘리지 않습니다..

같은 장비를 몇 대 더 사용하죠..


모 만드실려고 하시는 것인지요??

그리고 최대 사용 디스크 용량은 어떻게 되는지요??

http://www.accusys.com.tw/ExaSAN/SW16-G3/

이것은 영상 편집용 스토리지입니다만 재일 밑에 보시면 대략적인 최대 용량이 나와 있습니다..



1Gb 는 얼핏 비교하자면 옛날 1TB IDE 1개 속도
10Gb 는 SSD 1TB 1개 속도

그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shefef 2020-08
!! 슈퍼마이크로 맞습니다.
DB서버로 사용하려고하는데 음원파일도 들어가야되어서 용량이 많이들어가서요
대략 400TB정돈데 호옥시 먼 미래에 데이터와 파일을 추가(약 100TB)할 경우 용량증설이 궁금해서요.
1Gb -> 10Gb 속도 차이 많이나는 것같네요..
박문형 2020-08
1대의 스토리지 서버를 메인으로 사용하다가 (풀 백업 서버도 있는 경우)

디스크가 모자르겠다 싶으면

우선 데이터는 다 다른 곳으로 백업 해버리고

디스크를 더 큰 것으로 구해서 (물론 안정성이 검증된 것) 다시 레이드로 묶은후 데이터를 리스토어 해서 사용합니다..

DB 서버면 DB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1대의 서버 안에서만 돌아가니 어쩔수 없죠...


그래도 답이 안나온다면 외장 스토리지 장비 혹은 JBOD BOX를 구해서 연결하여 모자르는 디스크 베이를 확보합니다..

단 이런 디스크 베이 확장 작업은 장비가 운용중인 상태인 온라인에서는 하지 못합니다..

https://www.supermicro.com/en/products/chassis?pro=filter%3Dfeature%26feature%3DJBOD


잘 아시겠지만 이런 것들은 데이터망실이 가장 큰 문제이기에 작업 전 데이터 백업을 이중 삼중으로 해두고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업 후에 장비가 못 견디고 무너지는 경우도 있을수 있습니다..

(보통 스토리지장비는 케이블 불량으로 데이터 오류가 많이 납니다..)
shefef 2020-08
와 친절하고 명확한답변 진짜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속이 뻥 뚫리네요, 많은걸 배웠습니다!!

댓글주신 모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__)


QnA
제목Page 972/5729
2015-12   1783260   백메가
2014-05   5258424   정은준1
2020-08   4966   앙드레준
2020-08   4838   Sakura24
2020-08   5073   하늘하늘
2020-08   2952   SamP
2020-08   18218   song05
2020-08   2806   쵸옹
2020-08   4752   정진환
2020-08   5991   힘내랑
2020-08   4724   FreeBSD
2020-08   4074   Tails
2020-08   3451   호박고구마
2020-08   2854   이지포토
2020-08   6371   이희주
2020-08   4085   전설속의미…
2020-08   3677   shefef
2020-08   5852   로벨리아
2020-08   4727   FreeBSD
2020-08   4152   컴박
2020-08   3163   룰루랄라
2020-08   3642   홀릭0o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