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 고도화 생각하다 드는 NAS OS에 대한 질문입니다.

그모도   
   조회 7209   추천 0    

제곧내입니다.


1. 2cpu뿐만 아니라 타 커뮤니티에도 유독 자작나스 하면 헤놀로지 언급이 많네요.

FreeNAS 등 오픈소스 기반 OS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헤놀로지를 사용하나요?


2. 중규모 파일 서버 구축시에 Windows Server의 IIS10 기반 NAS 구축사례가 많지 않은거 같은데 순전히 윈도 서버 라이센스가 비싸서인지요.

근래 기업들도 시놀로지 완제품 구매 빈도가 점점 늘어난다고 들었는데 유지보수 측면에서 그냥 시놀로지 도입 하는것인가요.


Ps. 그냥 hysys, hwp 비롯한 오피스 파일, cad 도면 저장 서버 고도화 필요성에 대해 얘기하다가 드는 의문점입니다. 평시 사용 인원은 10인 내/외고 트래픽은 평균 일 35GB 수준, 저장 데이터는 6TB정도 입니다...(4K 접근속도 높이기 위해 ssd 사용.)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병철 2020-11
설치 초기에만 삽질 한번 하고 나면 다양한 기능들이랑 이미 만들어진 패키지들을 쉽게 다운로드 받아서 이용 가능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일단 사용자도 많아서 검색 몇번 하면 뭔가 하고 싶을 때 가이드나 적용례가 많아서 시도 해 보기도 쉽구요. FreeNAS도 사용자가 적은건 아니다만..

그리고 저는 헤놀 설치 할때 심각하게 삽질 한 것도 딱히 없어서.. 만족감 있게 잘 쓰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다운로드 스테이션 하나만 보고 헤놀 세팅 했던 것 같네요. 편하게 잘 쓰고 있구요.
     
그모도 2020-11
라이센스 문제가 자꾸 걸려서...
사실 프리나스 소개 보면 실사용자 단에서 문제될 기능도 별로 안보이는데... 그리고 추가 App. 생각하면 그냥 윈도 10 사서 IIS10에 플렉스 서버 돌리면 되는거 아닌가 싶네요.

저도 ipdisk+synology 굴리지만 글쎄요... 시놀로지 뭐가 그렇게 필요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Gui좋다는거 빼고는...
          
병철 2020-11
GUI 좋아서 쓰는거죠 뭐 ㅋ
epowergate 2020-11
2. 기업에서 Windows를 꺼리는 이유는 CAL License 때문입니다.  물론 이정도도 모르고 NAS 판매하는 회사도 많습니다.
     
그모도 2020-11
Cal 방금 보고 왔는데 이게 대기업이나 큰 조직이 쓰는 MAK라이센스-KMS 인증방식 이런거 아닌가요.
          
epowergate 2020-11
아니요.
좀 복잡한데 서버에 등록되는 계정마다 1개씩 필요하다고 보심 됩니다
               
그모도 2020-11
계정당 1개요? 안그래도 윈도 서버 비싸던데...;;;;
윈도 서버는 비용문제가 크군요. 고급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0-11
시놀로지가 안에 어플리케이션도 많고 이것들이 꽤 쓸만하다 보니

시놀러지가 인기가 많은 듯합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시놀러지 제품은 개인/소호용이지 서버용은 아닌 듯합니다..(물론 서버 같이 생긴 제품도 있습니다..)
     
그모도 2020-11
모 대학이랑 모 금융사가 도입했다고 계속 pr해서...
그런갑다 하고 넘겼는데 다른데도 도입했다고 하고... 그 큰 기관들이 왜 도입했을까 싶어서 질문 드려 봤는데
아무래도 그냥 어플리케이션이 장점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이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0-11
NAS에서 오래되었고 재일 유명한 업체는 NetApp 입니다..

DELL 스토리지 군 가시면 EMC 랑 EqualLogic 에서 나오는 좋은 제품이 많습니다..




지금은 안하시지만 국내 시놀러지 재일 처음에 가져 오신 분이 제 첫 직장 사수님인지라...
우주관료 2020-11
헤놀로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FreeNAS 등 오픈소스 기반 OS를 사용하나요?
     
그모도 2020-11
라이센스 문제와 안정성 문제가 걸리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iOS가 필요하면 애플을 사지 해플을 쓰진 않습니다.

그 맥락에서 synology도 도입하고 또 동시에 윈도 서버도 검토하는겁니다.
영화 볼 용도로는 좋겠지만 글쎄요... 모든 용도로 헤놀로지가 적합하지 않습니다.
          
우주관료 2020-11
시놀로지 도입하신다고 하셨으니 그 대답 그대로 돌려드리겠습니다
               
그모도 2020-11
이미 운용중에 있습니다.
                    
우주관료 2020-11
이거 뭐 담배같은건가요?
너네는 이런거 하지마라...
                         
그모도 2020-11
헤놀로지 자체를 운용 안해서... 시놀로지 하나 받아서 서브용으로 굴리고 있습니다. 메인은 ipdisk 4베이 사용중에 있고요...
헤놀로지를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나 궁금했는데 시놀로지 도입의 당위성을 돌려주시니... 운용중에 있다고 답을 드렸습니다.
김준연 2020-11
1. 이것저것 기능을 갖다 붙이기에는 이미 생태계가 잘 갖춰진 DSM 기반이 좋기 때문입니다. 설정면에서도 일단 하드웨어와 OS 설치까지가 문제지 이후 관리면에서도 UX가 다른 NAS용 OS보다는 그래도 보기 편하게 되어 있기는 합니다. 다만 어디까지나 이것저것 기능을 갖다 붙이고자 할 때 편한 것이기에 그냥 단순히 파일 서버로만 쓰려고 한다면 굳이 큰 메리트가 없는 것은 사실입니다.

2. 윈도우 파일 서버가 적은 이유는 윈도우 서버 운영체제 자체의 라이선스 비용 문제 + 관리 문제 때문입니다. 그냥 데스크탑 PC에서 공유 폴더 만드는 수준이야 윈도우가 더 편하지만, 여기에서 조금만 사용자 관련 고도화가 이뤄지면 결코 편하다 할 수는 없게 됩니다.
     
그모도 2020-11
기능이군요. 뭐 n드라이브처럼 사진 바로 바로 백업에 컨텐츠 기능은 많던데 정작 그 용도가 아니라서...
딱 미디어 서버 수준이네요. 그 용도로 많이들 가져가시는군요.
고견 감사합니다. 윈도 서버는 IIS만 간간히 익힌 수준이라 라이센스 문제나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문제는 아직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더 공부해봐야 겠네요. 말씀 감사합니다.
          
김준연 2020-11
저도 Xpenology도 쓰고 NAS4Free도 쓰고 OMV도 씁니다만 그냥 파일 서버로 쓰기는 사실 그게 그거입니다. 얼마나 더 때깔나느냐 그 정도 차이라 할까요.
               
그모도 2020-11
그중에서도 좀 안정적이고 크래쉬 안나고... 관리 편하신거 있을까요? 개별 os 특장점이나 특이점 등등 노하우 공유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김준연 2020-11
사실 OS 자체로는 검증이 되어 있습니다. Xpenology와 OMV는 리눅스 커널 기반이고, NAS4Free나 FreeNAS는 BSD 기반이라 안정성은 다들 충분히 검증되어 있습니다. 다만 그냥 단순 무식하게 파일 서버만 쓴다면 사실 별 차이는 없다 봅니다. Xpenology는 설치를 해놓으면 기능면에서 좋고 관리도 쉽지만 대신 설치 자체가 난이도가 높고 하드웨어 호환을 꽤 따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냥 무난하게 쓰고자 한다면 OMV가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그모도 2020-11
OMV 적극 검토 해보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모도 2020-11
많은 답변 감사합니다. 확실히 시놀로지가 컨텐츠나 추가 기능에 강점이라 시놀/헤놀 접근을 하는군요.
파일 서버로는 그냥 프리나스 대충 구축해두고 서브로 원드라이브 구독해야 겠네요. 모두 답 달아주신분들께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0-11
돈이 있으시면 NetApp 검토 해보시고

그 보다 더 큰 것을 원하시면 epowergate 과 상담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모도 2020-11
오우 막 16베이 20베이 스토리지를 원하는건 아니여서...

딱 10TB... 많아봐야 10년 내로 20TB... 정도 스토리지...를 쓸거 같네요. 예산도 그렇게 많이는 안나와서...ㅎㅎ
여유 되면 해당 업체와 얘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0-11
EMC /NetApp 정도라면 장롱짝 몇 개 할래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아주 가끔 보통 연말쯤에 어느 은행 /어느 은행 EMC 신규 도입 이라는 그런 비슷한 기사가 올라올 때가 있습니다..
화란 2020-11
저는 리눅스 직접세팅해서 쓰다가 Open Media Vault 로 정착했습니다.
송주환 2020-11
해놀로지를 왜 쓰냐고 한다면, 저렴하게 시놀로지 생태계를 이용할 수 있어서입니다. 돈만 있으면 랙마운트 시놀로지 정품 사서 굴려도 되죠.
그런데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편의 기능의 타겟이 거의 개인 사용자쪽으로 맞춰져 있어서(엔터프라이즈 타겟의 앱도 있으나 아직 미흡합니다) 기업에서 본격적으로 글리기엔 좀 그렇고.. 소호용으론 쓸만합니다.

진짜 스토리지가 필요하면 벤더로 가든가, 삽잘해가면서 직접 구축하든가 하는 게 맞죠. 일반적으로는 돈 내고 벤더로 갑니다.
구차니 2020-11
해놀은 안써서 모르겠지만
위에서도 언급하셨듯 해놀을 쓰면 시놀용 각종 앱들을 쓸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요?
제온프로 2020-11
그럼 FreeNAS는 왜쓰냐!!??

=> ZFS 때문에 씁니다...

강력한 성능과 시스템 안정성을 신뢰합니다..
dragoune 2020-11
관리하기도 편하죠, GUI 로 기본 개념만 알려주면 초심자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무섭다고 안건들이더라고요
     
epowergate 2020-11
쉬워 보인다고 덤비는 사람이 더 무섭습니다
용도, 성능, 예산에 맞춰서 결정하게 되죠.
ZFS가 필요한 경우에는 넥센타스토리지를..
크리티컬한 데이터라면 밴더 스토리지를..
개인용 잡다한 용도라면 시놀로지(해놀로지)를..

머 그런거죠..
민사장 2020-11
윈도우 서버군 말고, 일반 유저용 윈도우 10 구매해서 IIS FTP 설정해서 쓰는게 제일 편하던데요.
일반 유저용 윈도우는 라이센스 상관없을겁니다.
     
그모도 2020-11
호스팅 용도로 사용해도 라이센스 문제 없나요?


QnA
제목Page 900/5725
2015-12   1769162   백메가
2014-05   5243807   정은준1
2020-11   3539   블루영상
2020-11   4260   GPGPU
2020-11   2694   신은왜
2020-11   2981   불타는쑥대밭
2020-11   5070   어훕
2020-11   3159   hyunwoo3480
2020-11   3564   inquisitive
2020-11   3190   스캔l민현기
2020-11   4426   2CPU최주희
2020-11   3255   황진우
2020-11   3131   Jgon
2020-11   3680   Jgon
2020-11   4594   어훕
2020-11   2821   majegersa
2020-11   4606   아놔이런
2020-11   3815   나라뜨
2020-11   4490   Goldstars
2020-11   7210   그모도
2020-11   4418   Jgon
2020-11   3183   시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