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질문을 이해하기 힘들게 썼네요...ㅎㅎ;;

   조회 3291   추천 0    

 구성은 이렇습니다.


GS724T V4 (DS1819+에서 쓰는 4개 포트 그룹으로 묶어둠) ------- DS1819+ (4포트, 본딩), 유선연결 PC 5대 (각각 1포트)

DS1819+는 RAID5로 하드 8개가 묶여있음.



PC중 1대에서 나스로 파일을 전송할 경우 최고속도가 100MB/s 가 나옵니다.

기가랜으로 구성되어 있으니까 125MB/s 가 이론상 최고속도니까 이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데요


PC 2대에서 나스로 동시에 파일을 전송할 경우

각각의 PC에서 최고속도가 50MB/s 로 줄어듭니다. 그러니까 50MB/s + 50MB/s 해서 100MB/s 속도가 나오는 것이죠.


제가 LACP로 구성하고, RAID5로 8개를 묶은 이유는, 여러개의 PC에서 파일을 전송할 경우에도

각 PC에서 125MB/s의 속도를 쓰기 위해서였는데요.


제가 예상한 것은 2대의 PC에서 나스로 파일을 전송할 경우 100MB/s + 100MB/s = 200MB/s (나스가 받아들이는 속도) 의 속도가 나오는 것이었는데

그것이 안되어서 질문을 올립니다.ㅠㅠ


초보라서 애매하게 질문을 써서 죄송합니다. 도대체 원인이 뭘까요?








도저히 모르겠는...ㅠㅠ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0-12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1Gb는 대역폭이고 실제 데이터가 움직일 때 100% 1Gb/s 로 데이터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데이터 속도가 왔다 갔다 하는 것은 이더넷의 태생적인 한계인지라 일반적인 연결에서는 어떻게 할 수가 없고요..

 DS1819+ 스팩을 보면 대략적으로 읽기는 2000MB/s 라고 나오고 쓰기는 600MB/s 라고 나옵니다..

즉 쓰기가 읽기보다는 느립니다.. 그래도 대략적으로 1Gb 이더넷 4포트 대역폭은 됩니다..

PC 부하를 2대 말고 4대 5대 까지 늘렸을때 최대 얼마까지 나오는지 확인해보세요..
     
4대를 걸면 각각 25MB씩 가져갑니다
          
박문형 2020-12
현재 100MB/s 가 최대 속도라고 봐야겠네요..
서완호 2020-12
네트워크 스위치의 성능과
DSM의 작업관리자를 띄우셔서 병목이없는지도 한번 확인해보심이.....
임상현lsh 2020-12
포트를 바꾸고 링크어그리게이션을 다시 셋팅해보시죠

예를 들어 1+2+25+26이라던가..
송지만 2020-12
네트웍의 문제가 아니라 디스크의 문제겠네요....
     
웬디 퍼플 4T 8개 (전부 신품) Raid5 구성입니다
          
송지만 2020-12
쓰기 속도의 상승을 바란다면 디스크 모두 뽑고 SSD로 가시야지요..
SSD캐쉬 박아도 읽기 성능은 확 올라가겟지만 쓰기 성능이 드라마틱하게 올라가진 않을겁니다.
제온프로 2020-12
저도 디스크가 의심되는데...
너무 저성능 하드가 들어 있는 것은 아닐가까요 ??
Enterprise로 넣어 줘야 될 것 같은데요...
     
웬디 퍼플 4T 8개 Raid5 구성입니다 전부 신품이구요ㅠㅠ
박문형 2020-12
혹시나 이지만

하드가 아직 RAID 5 리빌딩 중 일 수 있습니다..

레이드 묶는 작업이 계속 중인지 아닌지 확인하시고 혹시나 작업중 이라면 그 작업이 다 끝나고

재대로 레이드가 묶인 다음 다시 테스트 해보시기 바랍니다..
     
RAID5 패리티검사까지 모두 끝났습니다ㅠㅠ 구성해놓고 48시간은 건드리지도 않았습니다
DarknessAng… 2020-12
애초에 디스크 성능등을 고려 안 하신듯합니다

8개 묶은 경우 케쉬가 없다면 최대치가 400메가쯤이라 봐야 합니다 (속도 100메가짤 8개 묶는다고 800메가 안 나와요)

4기가정도 뽑을려면 HDD 다 뽑아버리고, SSD만 박으세요

그리고 본문에서 여러대의 PC로 동시 접근을 할때 각각 기가의 속도인 110메가가 나오게 할려고 하신다고 헀는데, 이것도 HDD론 안 됩니다 (랜덤 엑서스가 약한 HDD의 구조상 동시에 여러개 시키면 속도가 바닥으로 갑니다 (성능 100을 5대가 동시에 이용하면 대당 10~15밖에 안 나온다고 봐주세요) )


추신 : 앞의 게시물 보니 램 4기가라 되어있는데, 일단 그런식으로 다중 클라를 감당할려면 넉넉하게 늘리시고, 가능하다면 SSD 케쉬도 달아주세요
     
캐쉬라 함은 ssd캐쉬를 말씀하시는건가요? M2D18과 웬디블랙SN750 2개가 아직 도착을 안한 상태입니다 장착하면 속도가 올라갈까요?
김현우1 2020-12
일반 HDD로 구축한 소프트웨어 RAID5의 쓰기는 RAID 패러티검사를 위한 자원이 사용되서 단일 HDD보다 쓰기 속도가 느립니다.
HDD+RAID5로 인한 속도저하인듯 싶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해야 할까요? 소프트웨어 레이드5 말고 방법이 있을까요?
          
김현우1 2020-12
WD 퍼플 4TB 이 제품 CCTV 상시구동용으로 안정성을 위해서 RPM이 5400인걸로 알고있습니다.
WD 레드가 가변이지만 7200RPM으로 구동 가능하고 RAID시 성능저하방지 펌웨어가 들어있다고 하네요.

시놀리지NAS라 레이드카드를 설치할 수도 없고 HDD를 레드나 화이트 블루쪽으로 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화이트와 레드는 거의 동일 제품입니다.)
엔터프라이즈나 데스크스타처럼 상위HDD 쪽으로 가시면 너무 비싸니 WD 외장하드 적출된 WD화이트 제품이 저렴합니다.

대용량 단일볼륨이 필요하신게 아니라면 WD 12TB외장하드 적출해서 따로따로 12TB+12TB 볼륨 2개로 구성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하드 단독으로 사용하는게 속도나 안정성면에선 제일 빠릅니다.
RAID5라도 깨지면 복구도 안되고 단일볼륨은 하드고장이나도 데이터복구 확률이 높습니다.

다시 생각해보니 나스초보님 사용패턴에서 쓰기속도를 늘리는 방법은 SSD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7200RPM 이상으로 가도 해결이 안될듯 싶네요
SSD캐시는 제가 사용을 안해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해서 PC에서 C: 하드에서 D: 하드로 복사를 하면 일반적으로 하드 최대쓰기 속도 110MB/s 정도 나오는데
SATA3 대역폭이 부족한 것도 아닌데 C: 하드와 D: 하드에서 동시에 E: 하드로 복사를 하면 물리적으로 하드쓰기속도가 반토막이 나는 것과 같은 느낌이네요
박문형 2020-12
지금 장비를 다른 장비로 바꿀 수는 없을 듯하고

SSD 캐쉬를 붙여 본다..

시스템 메모리를 늘린다..

정도가 현재에서 1차적으로 해볼 수 있는 것들입니다..

2차적으로는 SMB 3.0으로 셋팅해본다.. 정도입니다..




구매하신 시놀로지 쪽의 기술지원 팀에 문의는 해보셨는지요??


QnA
제목Page 886/5725
2014-05   5240456   정은준1
2015-12   1765906   백메가
2020-12   6225   Noman
2020-12   6022   isaiah
2020-12   2812   ducreyii
2020-12   2815   백만스물하나
2020-12   5364   Linchi0014
2020-12   3923   블랙펄
2020-12   3264   장동건2014
2020-12   3292   나스초보에요
2020-12   5274   김제연
2020-12   5011   화정큐삼
2020-12   3742   2CPUI김세훈
2020-12   3669   나스초보에요
2020-12   3334   전설속의미…
2020-12   4703   행복하세
2020-12   4624   전진
2020-12   3176   나스초보에요
2020-12   3029   최시영
2020-12   2948   VSPress
2020-12   2960   송진현
2020-12   4339   삐돌이슬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