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3182 |
0 |
2014-05
524318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8490 |
25 |
2015-12
1768490
1 백메가
|
101791 |
Mikrotic router 모드 설정 문의 (10) |
lovei |
2021-12 |
2186 |
0 |
2021-12
2186
1 lovei
|
101790 |
<내용 수정> html asia 이용한 tab 생성 문의 드립니다. (5) |
wingback |
2021-12 |
2227 |
0 |
2021-12
2227
1 wingback
|
101789 |
i340-t4 윈도우10 지원 궁금합니다. (2) |
inquisitive |
2021-12 |
2468 |
0 |
2021-12
2468
1 inquisitive
|
101788 |
Gpu Cui 밴치 툴은 없을까요? (6) |
GPGPU |
2021-12 |
2060 |
0 |
2021-12
2060
1 GPGPU
|
101787 |
휴맥스 igmp 관련 문의드립니다. (4) |
toto |
2021-12 |
1827 |
0 |
2021-12
1827
1 toto
|
101786 |
오징어 구매처 문의 (3) |
프링글스 |
2021-12 |
1522 |
0 |
2021-12
1522
1 프링글스
|
101785 |
갑자기 바이오스에서 usb인식이 안되요 (3) |
우뭉 |
2021-12 |
4678 |
0 |
2021-12
4678
1 우뭉
|
101784 |
시놀로지 NAS 신제품 발표안했나요? (2) |
osthek83 |
2021-12 |
1782 |
0 |
2021-12
1782
1 osthek83
|
101783 |
혹시 이런 나사 이름을 아시나요? (7) |
Psychophysi… |
2021-12 |
2144 |
0 |
2021-12
2144
1 Psychophysi…
|
101782 |
ECC 메모리좀 알려주세요^^ (6) |
무슈슈 |
2021-12 |
2402 |
0 |
2021-12
2402
1 무슈슈
|
101781 |
바이오스에서 usb인식이 안되요 (5) |
우뭉 |
2021-12 |
4698 |
0 |
2021-12
4698
1 우뭉
|
101780 |
771cpu 775보드 테이프 작업 (7) |
우뭉 |
2021-12 |
4447 |
0 |
2021-12
4447
1 우뭉
|
101779 |
슈퍼마이크로 X10DRG-Q보드 장차카능한 케이스 추천좀 (14) |
짱님 |
2021-12 |
2683 |
0 |
2021-12
2683
1 짱님
|
101778 |
그래픽카드 모자이크 증상 고칠 수 있을까요? (16) |
최동현 |
2021-12 |
10319 |
0 |
2021-12
10319
1 최동현
|
101777 |
문의 드립니다. ^^ (4) |
황진우 |
2021-12 |
2017 |
0 |
2021-12
2017
1 황진우
|
101776 |
서버를 운영하는 전반적인 틀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18) |
startserver |
2021-12 |
2353 |
0 |
2021-12
2353
1 startserver
|
101775 |
dockerfile 베이스 이미지인 alpine 질문입니다. (2) |
rldw221 |
2021-12 |
1811 |
0 |
2021-12
1811
1 rldw221
|
101774 |
이증상을 불량이라고 봐야할까요? (19) |
안형곤 |
2021-12 |
5874 |
0 |
2021-12
5874
1 안형곤
|
101773 |
중고 파워 서플라이 구입 테스트 방법 문의 드립니다. (8) |
죠슈아 |
2021-12 |
3266 |
0 |
2021-12
3266
1 죠슈아
|
101772 |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작업시 VGA 중요한가요? 10세대 인텔 내장 VGA로도 충분할까… (10) |
audacity |
2021-12 |
8203 |
0 |
2021-12
8203
1 audacity
|
괜히 잘못 건드렸다가 장애 나면 옴팡 뒤집어 쓸 확률이 높습니다.
시스템 정상작동여부, DB 백업 작동여부 등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모니터링 하다
문제발생시 신속하게 유지보수 요청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수가 없다면
회사에 시스템 관리자 교육 보내달라고 요청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배우시고
궁금해 하시는 분분은 PHP 웹프로그래밍 적당한 책 구입해 공부하시면서
하나 둘 익혀 나가셔야 할 것 같네요.
몇년씩 경험이 쌓여야 하는 분야라
하나씩 공부하면서 경험을 쌓아가세요.
머리속에서 그냥 알고 있는 것이랑 실제로 할 수 있는 것이랑은 마니 틀립니다..
1번 같은 경우는 제가 보기에는 그 프로그램 개발자가 가르쳐 줘야 할 듯한데 저런 것은 일종의 그 회사의 보안 사항이 될 수 있기에
애매합니다..
그리고 서버도 수명이 있기에 대략 무상 AS기간이 끝나는 3년 정도 되면 다른 서버로 갈아타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물론 새서버는 돈이 한두푼 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일반적인 회사는 서버가 죽을때까지 (문제가 생길때까지) 그냥 굴리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나중에 담당자만 옴팡 뒤집어 씁니다..
아직까지 팬3에서 NT3.5로 내부 메일 서버 돌리고 있습니다 (무서워서 재부팅도 안 함)
경영상태땜에 서버 교체하라고 권하기도 곤란한 자금난 상태고, 설령 자금 여유 있어도 저정도면 요즘 서버에서 돌아가는게 아무것도 없을테니 처음부터 완전 재구축하고 데이터 이전해야해서 두통꺼리네요
혹시 고장나면 부품 수급도 절망적이네요
백업한다고 건들다가 서비스라도 죽으면 피로하니 못본걸로 할껍니다 (서비스 재시작하면 다시 안 올라올 수 도 있음)
그리고 그런 상용 ERP를 뜯어보기 쉬운 PHP로 짰을지 알 수 없습니다. 물론 프론트는 PHP로 짜고 비지니스 로직은 좀 뜯어 보기 힘들게
바이너리로 숨겨놨을수도 있지만 그런 게 아니라면 PHP 보다는 JSP/WAS(tomcat)으로 돌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서버관리자가 웹 서버에서 돌아가는 웹 서비스 까진 책임지더라도,
웹 서비스 로직까진 책임질 영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그 업체에 돈을 주고 계약하고 사용하는 것이니까요.
서버 구축과 운영까진 쉽습니다만
무중단, 오류없이 신뢰성 있게 돌아가야 한다는 말이 들어가는 순간 언제나 마음 놓고 껐다 켤수 있는 서비스와는 이야기의 차원이 달라집니다.
서버 엔지니어라면 이중화, 백업, 네트워크 구성, 하드웨어 핫스왑, 레이드 구성, 레이드 복구 정도 열심히 테스트 서버로 공부해보시는 게 도움될 거라 생각됩니다.
가장 중요한건 통신과 전산은 잘되고 있으면 당연한거고 안되면 바가지로 욕 먹고 칭찬 받을일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중요도를 인정받는것도 아니고 급여가 오르는 것도 아니니 "주 업무"로 할당되는게 아니라면 그냥 쳐다도 보지 않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 벌거지 (바이러스) 와 랜섬웨어 조심하고 대책 마련해야 합니다..
랜섬웨어 같은 경우 터져 버리면 백업 데이터 없으면 네트웍 물리적으로 끊고 서버 포맷하는 것 정도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있는게 없습니다..
다우기술에서도 코로케이션이나 클라우드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굳이 사내에 물리서버를 구축할 이유는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다우기술이 싫으시면 네이버나 AWS등 다른 서비스도 많은데, 그냥 솔루션 제작사에 맡기는게 더 편합니다.
회사에서는 서버 사서 재물등재하는 것 보다 매월 관리비를 경비처리 하는게 이득입니다.
회사에서 저렇게 운영할 수 있는 돈만 재대로 준다면 재일 편한 방법입니다..
대신 계약시 확실히 알아보고 이해한 후 계약해야 합니다..
매뉴얼이란게 그룹웨어 사용자 매뉴얼 말고도, 시스템 관리자가 보는 운영 매뉴얼이 있으므로
서버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로그인은 어떻게 하고, 서비스 데몬은 어떤게 있고 어떤 순서로 가동시켜야 되는지
시작/종료 명령어등도 모두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룹웨어의 각 기능별 구현 방법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사(혹은 인력)마다 상이할 수 있고 소스코드가 제공되지 않거나 해당 개발사가 아닌 이상 외부에서는 소스 레벨에서 분석과 이해는 쉽지 않습니다.
SI업계에 처음 뛰어든 개발자들은 보통 기능 매뉴얼을 숙지하고 처음에는 화면을 똑같이 만드는 것 부터 배웁니다. 요즘 프로그램들이 UI 가 워낙 복잡하다 보니, 기능 구현 이전에 화면을 똑같이 구성하는 것 자체가 보통 어려운게 아니거든요.
화면 구성을 잘 하게 되면, 입력 요소를 어떻게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하고, 다시 읽어와서 화면에 출력해 주는지 이미 잘 구현된 샘플 코드등을 보고 그 구성을 익히게 됩니다. 잘 개발된 샘플 프로그램이 있고 잘 가르쳐 주는 선임 개발자가 있는 환경에서 몇달 빡세게 익히면 체득되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튼 운영에 필요한 내용은 매뉴얼화 되어 있어야 하고, 이미 있다고 보시면 되니, 해당 문서를 숙지하시면 되고,
부족하거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해당사에 문의하셔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혹여 운영 매뉴얼이 없거나 유지보수 기간 만료등의 이유 혹은 여타 이유로 제공이 안되거나 알기 어려울 수도 있는데, 결론은 아무튼 구축한 업체로부터 최대한 정보를 얻어내셔야 될겁니다.
■ 보안문제 - 방화벽 설치, 포트배정, VPN설정, 네트워크 관리
■ 소프트웨어 - 그룹웨어 유지보수, 최적화 - 랜섬웨어 방어, 바이러스 방어
정기적인 백업
■ 하드웨어 - 서버관리, 백업스토리지 관리, 백업관리, 장애별 대응 방안
대략 이정도는 관리되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