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5600 워크스테이션에 sata연결문제

   조회 2630   추천 0    

 워크스테이션 T5600에 SSD 윈도우10을 설치하려고하는데

usb인식이 안되고 sata포트에 연결되있음에도 불구하고, sas로 인식되고있습니다.

초보라서 바이오스초기화에 이것저것 해보고있는데 해결이 되지않아 문의드립니다.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ocarina 2022-07
t5600은 윈도우 설치시 usb2.0 포트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 뒷편 usb2.0 포트에 꼽으세요.
t5600이 uefi잘 지원하는지 모르겠는데, 어쨌든 리거시 부트만 나오니 설치usb를 uefi로 만드신게 아닌지 확인해보시구요.
sas는 바이오스에서 ahci를 raid->sata로 바꾸시면 될듯한데 요건 확실치 않음.. 어쨌든 바이오스 세팅문제니 천천히 살펴보시면 됩니다.
     
아랏어요 2022-07
usb 2.0 포트로 설치usb가 인식되는거 확인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sas 인식은  ata로 변경해도 동일하네요,, ㅠ
박문형 2022-07
써보지 않아서 모르지만 바이오스 셋팅에서 SATA 포트가 AHCI 로 되어 있다면 ATA로 바꿔 보세요..
     
아랏어요 2022-07
서 SATA 포트가 AHCI 로 되어 있다면 ATA로 변경했으나 동일합니다 ㅠ
죠슈아 2022-07
sas 컨트롤러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보이는 것이고 해당 HDD가 SATA 디바이스이라고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sas 컨트롤러는 SATA, SAS 모두 인터페이스 가능하기 때문에 저렇게 나오는 것이구요.
SAS 포트가 따로 있지 않습니다.
혹시  8087 커넥터가 SAS 포트라고 생각 하시는 것 같은데 .. 이것은  동작하지 않는 포트 입니다.

그리고 힌색 포트 2개만 6Gbps 이고 나머지 2개 검정색은 3Gbps  , 그리고 ODD 두개도 3Gbps  입니다.

usb인식이 안된다는 것은 ...  USB3.0 포트는 OS가 설지되기 전까지는 동작 되지 않습니다.

ME 가 enable 된 보드네요?  이렇게 Enable된 것은  거의 없는데 ..  운이 좋으시네요 ..
     
아랏어요 2022-07
하얀색 포트에 연결하니 바로 sata로 인식하네요.
덕분에 처리완료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주신글중에 ME 가 enable 된 보드라고 하셨는데, 관련된 사항을 알지 못해서 혹시 어떤 내용인지 알수있을까요?
          
죠슈아 2022-07
intel AMT 를 지원 하는 것 입니다.

Supermicro IPMI , DELL iDARC , HP ilO4 와 유사 기능으로
원격 접속으로 On/OFF 제어 및 리모트 터미널에서 BIOS 설정이 가능 합니다.
부팅 이후에는 OS 로그인도 가능 합니다. ??  이건 DELL 기종에서 해본적은 없어요.

해당 IP 설정은 "Intel Management Engine BIOS Extention (MEBx) 에서 Static 또는 Dynamic (HDCP) 설정 및 PASS, Login Account 설정 합니다.

어플 설명은 하기 링크를 리뷰하세요.
https://www.meshcommander.com
어래  링크에서 MeshCommander 0.9.5 - MSI installer, WIN32 executable, Apache 2.0 License. 를 Window, linux 버전 어플을 다운로드 합니다.
https://www.meshcommander.com/meshcommander

다른 PC에서  앱을 실행하면  AMT 지원  기기 리스트 T5610이 나타납니다.
해당 기기를 더블클릭으로 메쉬 커맨드 윈도우가 나옵니다.
"Intel Management Engine BIOS Extention (MEBx) 에서 설정한 login,passwd 으로 로그인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제어는 해당 기기 전원을 켭니다.
리모트 터미널을 실행해서 부팅중인 기기의 BIOS로 접속이 가능 합니다. ( DELL 기종에 따라서 터미널이 GUI 또는 ASCII 터미널만으로 제한 될 수 있어요, )
해당 기기 전원을 끄기도 가능 합니다.  ( 이 기기에 설치된 OS 으로 로그인 해서 끄기 할 수도 있습니다 )

리모트로 해당 기기의 전원 ON/OFF 가능 합니다.
리모트터미널 접속으로 BIOS 접근 합니다.
로컬 PC ( 윈도우 또는 리눅스 ) 내의 이미지 파일을 리모트 기기에 CD나 USB 삽입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하게 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기기가 OS 부팅 상태이면 마운트 CD 이미지를 마운트 할 수 있습니다.
리모트 기기가 OS 부팅 이전이면 이것으로  부팅 시킬수 있습니다.

리모트 접속으로 시스템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므로 여러가지 편리함이 있습니다만 ...
대부분의 기기에서는  IPMI ,  iDARC ,  ilO4 과 다르게 불능 상태로 판매 됩니다. 예외는 있죠,
불능 상태 설정은 시스템 최초 설정시에만  결정되므로  "ME Disabled" 라고 케이스 내면에 프린트 라벨로 표시 됩니다.
US를 제외한 판매 지역에서는 Deafult 으로 Disabled 되어 있습니다. 한국에서 구입시 ""ME enabled"으로 가능 여부는 불확실 합니다.
이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 설정을 완전하게 하지 않고 인터넷 접속 가능 네트웍에 연결되면 해킹 접속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아므튼 ...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보안상 위험이 있을 수는 있지만 완정하게 설정하고 사용하거나
"Intel Management Engine BIOS Extention (MEBx) 에서 IP 설정을 하지 않으면 외부 해킹 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데 ..
왜 디폴트로  "ME Disabled" 상태로 판매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US 내에서 판매되는 많은 기기들도  "ME Disabled" 상태의 것들이 대부분 입니다만.
신규로 구입하거나 DELL 리퍼비시 제품을 구입후 마더보드를 케이스에 장착하고 최초 전원 투입시 이것을 Enable 하거나 Disable 하도록 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 다시 변경하는 것은 사용자는 불가능합니다 DELL에서 알려주지 않기도 하지만 다시 초기화 하려면 어떤 기기가 있어야 하는지  .. 추측 합니다.
마더보드 내에 있는 SERVICE_MODE  jumper와 그외 unknown jumper 들의  조합으로 이것을 다시 초기화를 시도 해봤지만 이에 관한 내용은 검색으로 찾을 수 없어서 실패 했습니다.  이것이 판매되는 파트중에  New 또는  manufactured refurbished 이면 가능한데 .. 
이 상태로 판매는 거의 없습니다.
게다가 판매자에게  "factory reset, manufactured mode" 로 문의해도 응답하지 않습니다.  아니면 초기화가  불가능하던지, 방법을  모르던지..

그래서  운이 좋다는 ..  ㅎㅎㅎ
               
아랏어요 2022-07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다른쪽으로도 열심히 공부해볼수있는 방법을 한가지 말씀해주셨네요!


QnA
제목Page 523/5724
2015-12   1761117   백메가
2014-05   5234784   정은준1
2022-07   2469   제로콜라
2022-07   2086   siper
2022-07   2292   Elusive4245
2022-07   1747   호박고구마
2022-07   5589   책갈량
2022-07   1870   레모나맛레몬
2022-07   1743   일반유저
2022-07   6290   민지파파
2022-07   2876   초리짱
2022-07   2631   아랏어요
2022-07   1385   꾸준함이진리
2022-07   1478   창원무천도사
2022-07   1824   프링글스
2022-07   1650   마비올라
2022-07   2383   나가이써
2022-07   1742   박문형
2022-07   2164   마지막세대
2022-07   4574   마지막세대
2022-07   2101   마지막세대
2022-07   2162   마지막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