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EN ] 리눅스에서 가상화

   조회 2652   추천 0    

X86 리눅스 서버에 XEN을 하이퍼바이저로 사용했으면 합니다.

무료 또는 평가판으로 쓸만한 것이 있는지 궁금 합니다

리눅스 VM 2대 정도 기동하여,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해 보려 합니다. 


​Xen vs KVM

2개 하이퍼 바이저 중에 특정 1개를 선택하는 주된 이유가 궁금하기도 합니다. 각각을 선택하는 이유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22-07
Xen 전문은 아니지만
Xen은 GPL v2 이므로 무료일꺼구요

단순하게 hypervisor가 어떤것인지 개념 익히는 수준이라면
윈도우 10등에 내장된 hyper-v만 사용해보셔도 개념은 잡히실꺼구요

hypervisor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이것저것 써보시면다 그놈이 그놈이라고 생각됩니다
항상 처음 접근은 손에 익어 있는것에서부터 시작함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저는 주로 hyper-v나 ESXi로 셋팅 납품하는 일을 하고는 있습니다

참고로 xen은 초기에는 반가상화였으나
현재버전은 전가상화이므로
Xen 구성을 위한 리눅스 베이스 OS를 kvm처럼 필요로 하지 않읍니다

전문적인 내용은 다른분께 패스합시다
     
죠슈아 2022-07
hyper-v나 ESXi로 가상화할때 게스트 OS는 어떤 것이든 자유롭습니까? 
hyper-v나 ESXi중 어떤 것인가에 따라서  또는 버전에 따라서  달라지게되나요?
          
김황중 2022-07
모든 hypervisor는 대부분의 OS를 지원하지만
각 hypervisor 또는 버전등에 따라서
신규 OS는 드라이버등이 부재하는등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될순 있습니다

예를들어 hypervisor에 pfsense를 올리는 경우
hypervisor와 pfsense의 버전에 따른 랜카드 드라이버 이슈가 있어
사용하는 hypervisor의 버전에 맞는 pfsense 의 버전을 찾아내야만 랜카드가 동작되는 이슈가 있었구요
구형 머신에 신규 os를 올리는것과 비슷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이들 사용하는 윈도우 우분투 등은 거의 잘 올가가는 것처럼
각 hypervisor의 종류에 따른 지원 OS는 딱히 구별되지 않습니다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초기 접근시는 특수 os를 올리지 않기에
대부분 잘될것이고
몇번 해보고나면 도커처럼 별거 없습니다...^^;;;
               
죠슈아 2022-07
여기 2CPU에  "가상화" 라는 섹션이 따로 있었네요.  ㅎㅎ
이곳을 참고하면 보다 잘 이해하게 될 것 같습니다.
설명 주셔서 감사 합니다.
네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제온프로 2022-07
Xen 서버는 ESXi 서버처럼 가상화  Hypervisor 서버입니다.

리눅스  >> Xen Server >> VM  이런 방식은 가상화가 2중 방식이어서 지원이 될지
지원이 되더라도 느리겠지요.

일반적으로는 Xen server를 설치하고 VM들을 설치 합니다.
KVM은 전가상화 서버가 아니어서 윈도우의 VMware Workstation 이나 Hyper-v 처럼
반가상화 솔루션입니다.

다르죠.
젠서버(하이퍼 바이어)에 VM을 올리는 작업을 참조할 만할 것이 있을런지요 ?


QnA
제목Page 510/5723
2014-05   5232251   정은준1
2015-12   1758955   백메가
2022-08   1520   영산회상
2022-08   2096   어훕
2022-07   2549   hdsniper
2022-07   2395   신은왜
2022-07   1425   TubeAmp
2022-07   2354   전설속의미…
2022-07   2219   아왜이렇게…
2022-07   2544   송진현
2022-07   2567   뚜뚜김대원
2022-07   2408   스무프
2022-07   2380   최시영
2022-07   1878   죠슈아
2022-07   2653   전설속의미…
2022-07   2933   시오훅이
2022-07   1829   허우대
2022-07   3300   tritob
2022-08   2233   epowergate
2022-07   3325   화란
2022-07   2147   유호준
2022-07   2321   죠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