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9028 |
25 |
2015-12
175902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2301 |
0 |
2014-05
5232301
1 정은준1
|
105697 |
아두이노 소스코드 병합 질문드립니다. (2) |
cojubu72 |
2022-12 |
2259 |
0 |
2022-12
2259
1 cojubu72
|
105696 |
요녀석(콘덴서) 구입해서 수리해 보려고 합니다.. (9) |
iwill |
2022-12 |
2730 |
0 |
2022-12
2730
1 iwill
|
105695 |
AMD X300칩셋인데 Hyper-V 가 깔리지가 않습니다. (6) |
김민철GC |
2022-12 |
4546 |
0 |
2022-12
4546
1 김민철GC
|
105694 |
버팔로 테라스테이션 TS5800D EM모드 푸는 법 어떻게 해야할까요 (14) |
VSPress |
2022-12 |
2740 |
0 |
2022-12
2740
1 VSPress
|
105693 |
HP DL380p G8 backplane 전원 공급 방법? (4) |
노친네64 |
2022-12 |
2566 |
0 |
2022-12
2566
1 노친네64
|
105692 |
HP Z440 업그레이드. (4) |
NiteFlite9 |
2022-12 |
2916 |
0 |
2022-12
2916
1 NiteFlite9
|
105691 |
잘못된 코드(호작질diy)가 뭐죠? (2) |
송명준 |
2022-12 |
2292 |
0 |
2022-12
2292
1 송명준
|
105690 |
Nvme 인식 질문드립니다 (14) |
kaisertp |
2022-12 |
5020 |
0 |
2022-12
5020
1 kaisertp
|
105689 |
윈도우 램슬롯 2개 메인보드인데 어떤건 2/4 어떤건 2/2로 표기되는 이유...? (5) |
영산회상 |
2022-12 |
4662 |
0 |
2022-12
4662
1 영산회상
|
105688 |
LSI SAS2 2308 Windows RAID Software 나 디스크 헬스 모니터링 툴 있을까요? (3) |
ACACIA |
2022-12 |
2404 |
0 |
2022-12
2404
1 ACACIA
|
105687 |
이거 무슨 약인가요?? (3) |
박문형 |
2022-12 |
2786 |
0 |
2022-12
2786
1 박문형
|
105686 |
HP z420 ~ 620 에서 사타 14TB ~ 16TB 인식이 잘될가요 해보신분 계실런지 (3) |
JJ시스템 |
2022-12 |
2249 |
0 |
2022-12
2249
1 JJ시스템
|
105685 |
스마트밴드 동기화가 잘 안됩니다. (4) |
김효수 |
2022-12 |
2317 |
0 |
2022-12
2317
1 김효수
|
105684 |
유선LAN 윈도우 PC -> m1 맥북 라우팅이 잘 될지... (3) |
binaryeast |
2022-12 |
2634 |
0 |
2022-12
2634
1 binaryeast
|
105683 |
KVM1284 멀티뷰 4 처럼 중국산 이나 국산 브랜드 멀티뷰 있을까요? |
민경열 |
2022-12 |
1984 |
0 |
2022-12
1984
1 민경열
|
105682 |
어도비 질문.. (5) |
앤디캔디 |
2022-12 |
2816 |
0 |
2022-12
2816
1 앤디캔디
|
105681 |
GPU서버 코로케이션 관련 (5) |
유낙선 |
2022-12 |
2798 |
0 |
2022-12
2798
1 유낙선
|
105680 |
합성유 엔진오일 2만킬로까지 교체 (24) |
뚜뚜김대원 |
2022-12 |
3681 |
0 |
2022-12
3681
1 뚜뚜김대원
|
105679 |
스마트 TV 제어 문의 (1) |
권태영 |
2022-12 |
1943 |
0 |
2022-12
1943
1 권태영
|
105678 |
서버 전원옵션 차이 (13) |
tantan11 |
2022-12 |
2842 |
0 |
2022-12
2842
1 tantan11
|
보통 1만 정도에는 교체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엔진오일도 엔진 종류나 타입에 따라 규격도 여러가지이고 거기에 어느 정도 맞추어 줘야 합니다..
저는 주행거리가 짧아서 한번 전체를 갈은 다음 1년 정도 타다가 1리터 정도 빼고 1리터 정도 보충합니다..
엔진 오일 량이 3리터라 4리터 오일 하나 사서 3리터 사용하고 남은 1리터를 중간에 바꿔 줍니다..
감으로 볼 때 엔진소리가 시끄러워지고 엔진오일 찍어 봤을때 오일 색깔이 검정색으로 변하면 전체 다 교환합니다..
LPG 엔진이고요..
디젤엔진하고는 완전히 다릅니다..
제조사 직영 자동차 정비소 가면 벽에 언제 어떤 것 갈고 언제 모 갈고 하는 것이 쫙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차 제조사 홈페이지에도 그런 가이드 나와 있습니다..
https://www.oiltop.com/v1/index.html
합성유로 유명한 오일 판매 사이트입니다..
그리고 요즘은 다 합성유입니다. 순정오일들 엄청 좋으니 괜히 비싼거 고를 필요도 없고요.
평소와 다른 상태가 느껴지더군요
제가 15,000까지 버텨봤는데 이러다 차퍼지는거 아닌가란 생각이 들어서 오일교체해줬네요
최소 1.3만.. 또는.. 7000 ~ 10000 키로 정도 교체하심이.. 장기적으로 큰 비용 안 나갑니다. ^^
어렸을때 울 아빠 차량부터.. 군대 기갑부대, 지금의 운영 차량까지.. 수십년 경험에 따른.. 이야기입니다.
속도 150 이상 과속 차량들은.. 더 빨리 하심이 좋구요..
제 경험상 그렇다는 이야기 입니다. 공급사 제조사들은.. 그리고 자동차 기계 회사들은.. 그네들도 먹고 살아야하기에.. 엔진 및 기타 빨리 죽기를 바랍니다. 절대적으로.. ^^
그외 브레이크 오일 / 미션오일 / 디퍼렌셜 기어오일( 일명, 데후 오일 ) 등은 메뉴얼에 적힌대로 교체합니다.
냉각수는 여름되기전에 무조건 순환식 교체.
가끔씩 소음 심해진것 같으면 갈아주고 .. 차가 오래되서 조금씩 소모되서 .. 중간중간
보충해주기도 하구요
아마 막힌 시내도로에서 2만키로면 엔진오일은 끈적끈적하게 변해서 이미 엔진에 데미지를 줄겁니다.
그래서 저는 엔진가동시간으로 엔진오일교체 시기를 잡고 있습니다. 엔진가동시간으로 200시간근처에서 교체중인데
키로수는 6000km정도더군요.
만약에 뚫린 고속도로로만 다녔다면 15000~20000km정도였겠죠..
그냥 순정1만에 한번씩 갈면 머리아플필요도없고 제일괜찬은것같습니다
에고 비싸네 하고 KIXX PAO (보라색) 쓰다가
엔진첨가제까지 사용하였고 둘 다 아무 이상없이 잘 썼습니다.. 근데 차가 좀 굼떴죠..
옆에서 누가 현대에서 나오는 터보씬이 좋다고 해서 싼 맛에 터보씬을 넣었는데 차가 가볍게 움직이는 것이였습니다..
같은 점도의 스팩이지만 오일마다 조금씩 다른 것 같습니다..
이재 슬슬 오일 갈 때가 되었는데 SK 지크 제로로 바꿔 볼까 생각 중에 있습니다..
차는 2006년식 삼성 뉴 SM5 LPG 입니다..
그리고 엔진오일은 스펙에 맞추어서 이것 저것 갈아보지만 미션오일은 아시는 형님 말씀도 있고 순정만 고집합니다..
엔진오일 자체는 2만km도 주행이 가능하긴 합니다. 문제는 엔진오일이 정상적으로 윤활이 가능하냐겠지요?
그 조건으로는 가장 기본적으로 기유가 무엇인지, 첨가제가 무엇인지가 있겠지요.
디젤이냐 가솔린이냐에 따라 다르고 주행환경과 수분 유입, 사용 rpm 등을 복합적으로 감안해야합니다.
물론 제일 중요한건 엔진오일이 한계 하한선을 넘어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겠구요.
때문에 호기심으로 테스트해보는 것 자체는 가능합니다만, 그렇게 사용을 권장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오일값 아끼다가 카본 축적되고 고착되면 엔진 들어내서 오버홀 진행해야합니다.
까놓고 얘기해서 최고급 엔진오일 4통 해봤자 3.5만원이고 (KIXX PAO1 4기유), 킥스 G1 4l 해봤자 1.3만원인데 엔진오일 아끼지 말고 자주 갈아주세요.
직접 하셔도 좋지만 공임나라 가면 얼마 안주고도 편하게 교체 가능합니다. MSDS 제대로 공개되지도 않은 후루꾸 엔진오일 말고 킥스나 지크 사용하세요. 국내기업들 정유기술력 세계 최고수준입니다. 현대 순정도 무난합니다.
엔진오일이 아주 찌든게 아닌이상 색깔로 구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디젤 뿐만이 아니라 개솔린이여도 GDI 엔진 같은 경우 카본축적 쉽기때문에 엔진오일도 더 빠르게 색깔이 변합니다. 엔진오일 체커로 찍어보면 조금 더 정확하지만 이마저도 완벽한건 아닙니다.
P.S 정비기사 딸 수 있다면 권장합니다. 전에 시간 남을때 재미삼아 자동차정비기능사도 취득을 했었는데 도움이 되기는 하더군요 :)
급가속이 잦냐에 따라 다를듯 합니다
윤활, 청정, 냉각
윤활 : 금속재질과 금속재질이 마찰을 하면 마모가 발생되는데 윤활유를 넣어 엔진의 변형을 막아준다.
냉각 : 마찰력을 줄여 마찰열이 줄어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청정 : 연료의 불완전연소로 발생되는 찌꺼기가 윤활유에 흡착되어 엔진팬으로 모아지며 이러한 찌꺼기가 순환되지 못하도록 걸러주는것이 엔진오일 필터이다.
엔진은 연료의 점화로 인해 열이 발생되고 윤활유의 윤활성은 온도가 높아지면서 떨어지게 되면서 윤활성이 줄어듭니다.
청정작용으로 인해 찌꺼기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마찰력이 증가합니다.
마찰력이 증가되면 냉각효율이 낮아집니다.
윤활유의 역할을 다하지못하는순간 엔진에 열변형이 오면서 피스톤의 압축압력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엔진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비싸고 좋은 윤활력 좋은 엔진오일로 오래쓰시겠습니까?
적절한 윤활력의 엔진오일로 자주 교환하시겠습니까?
처음엔 괜찮았음..
몇달 후 폐차했음...
트럭에 어떤 엔진오일 쓰셨기에? ^^
더 정확히.말하면나중에.단 DPF가 가장.큰 원인.
백금 촉매 깨지고 과적으로 미션나가고...
엔진 오일 먹으면서 오일 말라붙고.. ㅎㅎ
총체적인 문제여서
예전엔 묻지마 오천킬로 였는데 1만 주기로
교체 합니다
1만선 다가오면 엔진이 묵직해지는게 느껴집니다
합성유 효과도2-3천 지나면 엔진 컨디션이 다똑같아 지는듯 해서 전 일반 광유 넣습니다
차량 케미컬류 아끼다 대박 수리비 터지는것
보다 나은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