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 10 이 지원이 끝나면 레거시 시스템들은 어떻게 될까요?

LevinF   
   조회 2841   추천 0    

 2025년 10월 14일에 win 10 의 지원기간이 끊긴다고 하는데...

잉텔에서 코어2 를 너무 잘만들어서 아직 2GHz 넘으면 현역으로 굴리는 곳도 많고.

Win11 은 TPM 2.0 이상, UEFI 등 제약조건이 늘어났습니다,

여기서 win 11이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을 레거시시스템 이라고 한다면.

카비레이크(7세대) 이하/ 라이젠 1세대 이하 시스템들은 win 11 을 쓸수가 없고.

쓴다고 할지라도 언제 지원이 막힐지 모를 우회방법으로 설치해야 됩니다. 


본인이야 뭐 게임도 안하고 해봤자 미연시가 고작이라... 와인에서 잘 돌아가니

리눅스 배포판 쓰면 됩니다만...(죄다 노후화 된 시스템들 뿐인데, 딱하나 라이젠 3500X가 윈11설치가 가능하네요)

주변인들이 문제네요,,, Win밖에 써보지 않은 주변인들이...

왜 안되 아직 잘되는데? 이것도 못해?  라는식의 불평이 많은거 같은데.

Win 10이 지원기간이 끝나고 나면 레거시 시스템들은 어떻게 될까요?


P.S 지금와선 32bits 시스템들은 모바일에서 조차 퇴출된거 같기는 합니다.


- Levin.Fhillips.Lee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12
아직 윈도우즈 7이나 윈도우즈 XP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있다는 것을 관과하셔서는 안됩니다..

윈도우즈 10의 지원이 끝나더라도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몇 년간은 더 사용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컴퓨터 하드웨어도 몇 십년씩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필요에 의해 바꾸게 되겠죠..

문제나 불편함이 생겼을 때 그 때 가서 생각하면 됩니다..
     
LevinF 2022-12
고전게임용으로 win XP는 지원되는 브라우져가 파폭 구버젼 하나에...
인증서 버젼 문제때문에 인터넷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 하더군요,
win7은 그래도 아직 지원하는 브라우져가 있고 백신도 있으니 어찌어찌 쓸수는 있고...

산업체 쪽으로 눈을 돌리면,,,
아직 은행 ATM들은 win 2000 쓰는곳 있는걸로 알고,..
산업용 컴퓨터들은 굉장히 고리타분?하다고 할까요,
아무튼 레거시 os 가 남기는 하겠지만.
일반인들 입장에선 win 10이 지원이 끝나면 혼란이 오지 않을까요?

그리고 저런 산업용 컴퓨터에 들어가는 구식 부품들 공급 자체가 없으나 수요는 약간이나마 있기때문에.,
중고라도 가격대가 좀 쎄다고 들었네요, 그만큼 발품 파는것도 힘들지만...
          
dateno1 2022-12
인증서 문제정돈 Root CA를 업데이트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도 파폭 계열중 아직도 바이너리 업데이트 해주는곳 있으니 그걸 받으면 사이트 접속은 잘 됩니다 (다만 보안상 비추) )

백신들조차 7은 커녕 10 구버전조차 지원 짤라버리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vast 1809 이상은 멀쩡하게 돌아가지만, 1604이하에서 깔면 업데이트하는 순간 부트 불능됩니다)

그리고 요즘 ~스카이 중고 가격 정말 쌉니다 (센디~아이비같은 애들은 i7 CPU가 3~5만대입니다)
박문형 2022-12
일반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불편하고 필요해지면 돈들여 바꾸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유지하려고 하지요..


산업용 컴퓨터 쪽은 사용하는 전문 프로그램 자체도 비싸고 갈아엎을려니 더 비싸고 상황에 따라서는 그 프로그램 제조사도 망해버리고

하는 컴퓨터 본체와 OS 자체의 제약이나 문제, 금액보다는 사용하는 전문 프로그램의 한계성 문제가 더 큽니다..
piloteer 2022-12
저기 컴퓨터 좋아하시는 분들은 억지로 깔아서 굴리시지 않을까 싶은데... 그런데 일반인들은 어떻게 대응할지 좀 궁금하긴 하네요. 그냥 윈도10을 붙들고 쓸 것인가, 아니면 11을 억지로 올리는 방법들이 유행할 것인가..

그리고 한국은 그래도 돈 좀 있는 나라라서 괜찮은데 개도국들은 어떻게 대응할지도 좀 신경쓰이는 부분입니다.

저도 리눅스 위주라서 개인적으로는 별 영향은 없는 편..
김준연 2022-12
사실 이 주제로 남을 걱정해줄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직업적으로 OS 바뀌는 것에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해야만 하는 저 조차 이렇게 잘라 말합니다. 그 이유는...

1.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냥 때가 되면 필요에 따라서 PC를 바꿔버릴 것이라 최신 OS 대응에 문제가 없습니다.

2. 하드웨어를 '안' 바꾸는 사람들은 대부분 그냥 자기가 늘 하는 작업만 잘 되면 되는거라 OS가 업데이트되건 말건 신경을 안 쓰기에 역시 기존걸 그냥 잘 씁니다. 이들은 자기가 하는 작업이 불편해지면 1, 즉 하드웨어를 그냥 바꿔버리며 그와 함께 OS를 갈아탑니다. 이들에게 OS는 전혀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3. 마지막으로 PC를 바꾸고 싶어도 '못' 바꾸는 곳의 대다수는 특정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와의 호환성 문제가 엮여 있는 경우가 많기에(대체로 산업용) OS가 뭘로 바뀌건 나와는 무관한 이야기가 됩니다.

OS라는 것을 대단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대다수의 PC를 잘 모르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OS는 그냥 도구의 하나일 뿐이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그냥 자기가 하고자 하는 웹 서핑, 게임, 영화 감상만 잘 되면 되지 거기에 무슨 기능이 들어갔는지 등은 Out of 眼中입니다. 이는 윈도우 95 나올 때도 그랬고 XP 나올 때도 그랬고 7 나올 때도 그랬고 10 나올때도 그랬습니다. 이 내용은 그 이전 운영체제에서도 십원 한 장 다르지 않았던 내용입니다. 이미 수 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주제로 반복하여 걱정했지만 그냥 쓸데없는 걱정임을 반복적으로 증명했을 뿐입니다. 그러니 남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것이며, 인생은 자기 걱정만 하기에도 충분히 바쁩니다.
     
dateno1 2022-12
+1

25년이면 스카이조차 10년이 다 되어가는 유물입니다 (~하즈웰은 10년 돌파했을껀데 대체 언제까지 지원해달란건지)

교체 연식 진작에 넘었기땜에 대부분이 고철장이나 중고상 가 있을껍니다 (요즘 길거리에서 주운 컴이 스카이~커피라는 글 꽤 보입니다)

다만 일반용으로 쓰는 경우 운영체제 중단은 꽤 중요한 사항이 됩니다 (브라우저나 백신같은 기본적인것들조차 지원을 받을 수 없습니다)
          
김준연 2022-12
마지막 줄은 2번에 해당되는 분들에 대한 내용일 것인데, 사실 이 역시 저는 문제가 안 된다고 봅니다. 보안 문제가 안 터진다는 것이 아니라 이에 해당되는 분들은 보안 문제가 터지건, 향후 브라우저 추가 지원이 안 되건 그냥 신경을 안 쓰고 그냥 되던 것만 잘 되면 추가적인 관심을 안 둔다는 것입니다. 솔직히 이건 언론들이나 호들갑을 떠는 문제에 가깝습니다.

이런 분들은 그렇게 신경을 끄고 있다 자기가 하고자 하는 것이 안 될 때(그 원인이 보안 문제일지라도) 그때서야 관심을 갖고 최신 운영체제 설치라는 방법을 쓰지 못한다면 PC를 바꾸거나 하는 대안을 선택할 것입니다. 즉 이것도 시간이 해결해주는 문제이며, 위에 적었듯이 95때도 그랬고 2000이나 XP때도 그랬으며 맛스타가 나올 때도 그랬던 것이 토씨 하나 안 바뀌고 똑같이 나오는 것이라(이 무슨 운전면허시험도 아니고...) 굳이 남 걱정을 더 해줄만한 이유도 없습니다.
               
dateno1 2022-12
10년 넘어도 계속 굴리는경우 대부분의 경우 다른 보안 대책이 세워져있거나, 그 용도만 되면 나머진 어찌되도 좋단걸테니까요

애초에 보통 컴 10년씩 굴리는 경우 거의 없습니다 (이정도 굴릴려면 보통 파워나 디스크 몇번은 고장 격은걸 수리하고, 까딱하면 보드까지 교체해서 시퓨같은거 빼면 사실 다른 컴이라 봐야할 수준으로 갈아치운 결과물입니다)

다만 제3세계처럼 자금적 문제같은걸로 교체가 힘들거나한 경우 소프트 지원 중단은 문제될지도 모르겠군요 (반대로 말하면 이정도가 아니면 쓸때없는 걱정이란거겠죠)
epowergate 2022-12
2025년 여름휴가때 고민하는걸로
dateno1 2022-12
Core2같은 10년 넘은넘들은 더 이상 지원 못해주겠다고 해도 불평 못할 연식입니다

심지어는 잉텔조차 ~하즈웰은 버림받은 자식 취급이라 사이드 채널 공격 추가 발견해도 더 이상 업데이트 안 해주고 있습니다 (드라이버도 마찬가지)

실질적으로 ~하즈웰은 잘 돌아가더라도 더 이상 어찌할 수 없다고 봐야 합니다 (마소의 지원 유무 이전에 하드웨어 제조사가 더 이상 손 안 되고 있습니다)

안정적으로 계속 유지해야하거나, 그런 시스템을 계속 굴려야하는 경우 쓰라고 있는 라이센스가 LTSC입니다 (볼름이 27년, OEM이 32년까지 지원됩니다) (설마 32년 넘어서도 그런 유물 하드웨어들 지원하길 바라시는건 아니실꺼라 생각합니다)

이미 윈도 빼면 메이저 운영체제는 죄다 32비트 버렸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부 주요 리눅 유포판 이젠 32비트 안 뜨고 있고, 커널쪽에서도 조금씩 레거시가 제거되고 있습니다)

맥은 몇년전에 Catalina 가면서 하위 호환성 짤라버렸으니 이젠 윈도만 바이너리 호환성 멀쩡하게 유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QnA
제목Page 439/5725
2014-05   5243708   정은준1
2015-12   1769057   백메가
2022-12   2951   longcat37
2022-12   2995   DeepSky
2022-12   2842   LevinF
2022-12   1430   송명준
2022-12   3438   twopaik
2022-12   2666   이희주
2022-12   1671   술이
2022-12   2024   홀릭0o0
2022-12   2932   wjdqh6544
2022-12   4767   motu
2022-12   2609   장동건2014
2022-12   2673   홀릭0o0
2022-12   2914   초급개발자
2022-12   2169   유낙선
2022-12   1954   유호준
2022-12   2195   제로원소프트
2022-12   2112   다봉이
2022-12   1693   audacity
2022-12   1963   장동건2014
2022-12   1669   epower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