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1813 |
0 |
2014-05
523181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8507 |
25 |
2015-12
1758507
1 백메가
|
105855 |
글자 깨짐 (3) |
허우대 |
2022-12 |
1357 |
0 |
2022-12
1357
1 허우대
|
105854 |
SuperMicro H11DSi-NT ESXi 8 호환이 될까요? (4) |
막내의하루 |
2022-12 |
1872 |
0 |
2022-12
1872
1 막내의하루
|
105853 |
HP Z840 uefi drivers 활성화 (5) |
허우대 |
2022-12 |
2212 |
0 |
2022-12
2212
1 허우대
|
105852 |
Sas 드라이브 커넥터(?) 질문 (3) |
jkaem |
2022-12 |
1554 |
0 |
2022-12
1554
1 jkaem
|
105851 |
화환 회수해서 재활요와는 건 알고 있었지만. (6) |
김준유 |
2022-12 |
1783 |
0 |
2022-12
1783
1 김준유
|
105850 |
Option Rom 이 있는 Nvme을 쓸수 있는 레거시 시스템 (12) |
송상병 |
2022-12 |
3066 |
0 |
2022-12
3066
1 송상병
|
105849 |
mini-ITX 보드에서 SATA 전원은 어디서 가져올 수 있을까요? (8) |
스마트폰 |
2022-12 |
2019 |
0 |
2022-12
2019
1 스마트폰
|
105848 |
on-screen menus are locked 에러 해결 (3) |
허인구마틴 |
2022-12 |
3833 |
0 |
2022-12
3833
1 허인구마틴
|
105847 |
CPU 속도를 항상 최대치로 하려면 무슨 옵션을 건드려야 하나요? (20) |
범이님 |
2022-12 |
7257 |
0 |
2022-12
7257
1 범이님
|
105846 |
차량 선팅 농도를 얼마로해야할까요? (28) |
바램쓰 |
2022-12 |
1909 |
0 |
2022-12
1909
1 바램쓰
|
105845 |
슈마보드 화면출력 이슈 질문드립니다 (7) |
StaK |
2022-12 |
2933 |
0 |
2022-12
2933
1 StaK
|
105844 |
[문의]R730XD 서버 System Setup 화면과 X540/I350 인식 문제. (3) |
흥마 |
2022-12 |
2329 |
0 |
2022-12
2329
1 흥마
|
105843 |
초보문의) 동기화 기능 문의 (9) |
명랑 |
2022-12 |
2010 |
0 |
2022-12
2010
1 명랑
|
105842 |
Switch에서 내,외부 관리형은 어떤건가요 (7) |
cncn |
2022-12 |
2349 |
0 |
2022-12
2349
1 cncn
|
105841 |
intel dc p3600 series pcie nvme ssd 일반pc에서 인식하나요? (8) |
슈마이악 |
2022-12 |
2829 |
0 |
2022-12
2829
1 슈마이악
|
105840 |
IBM System X3250 M4 서버레이드 상태 확인 (9) |
chotws |
2022-12 |
2853 |
0 |
2022-12
2853
1 chotws
|
105839 |
ibm 스토리지 management 프로그램 (2) |
lenux8 |
2022-12 |
1820 |
0 |
2022-12
1820
1 lenux8
|
105838 |
용량 다른 하드들 레이드 문제 (12) |
Kerty |
2022-12 |
1746 |
0 |
2022-12
1746
1 Kerty
|
105837 |
ASR-71605 SGL 레이드 컨트롤러에서 SGL 이 뭔가요? (2) |
카머 |
2022-12 |
1431 |
0 |
2022-12
1431
1 카머
|
105836 |
와이파이 N/AC모드의 속도와 벤치마크 속도 문의 (12) |
류넨아이스 |
2022-12 |
1883 |
0 |
2022-12
1883
1 류넨아이스
|
레이드 콘트롤러에 따라 주 레이드 볼륨을 묶고 난 후 하드마다 남은 짜투리 영역을 인식하고 따로 레이드 볼륨을 묶을 수 있는
레이드 카드도 있지만 이래저래 사용하다 보면 어느 레이드 볼륨이 어느 하드의 것인지 모르게 되는 정신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에
어느 영역 (하드 용량 이나 셋팅 방법)을 제한 해서 관리하기 편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민해보다가 영 안되면 해놀 올려서 쓰던지 하던가 8테라 14테라 두개로 나눠서 쓰던지 해야겠네요 ㅠㅠ...
아직까지 큰 하드가 필요하지 않고 3.5인치 하드 표준은 7200rpm 이다라고 생각하기에
도시바 3TB 8개 사용후 시스템에서 빼버리고 현재는 도시바 4TB 4개째 사용중입니다..
대략 1년에 하드 1개씩 늘리는 듯합니다..
그래서 용량 확장할때마다 레이드5에 적합하게 같은 용량으로 4-5개 HDD 사서 늘리는 방법만 사용중입니다.
데이터 보존이 더 힘든 문제입니다..
데이터는 철저한 백업과 리스토어만 이 살 길입니다..
날려서 다시 정리하고 확보하는데 걸리는 시간 아까운것들이 메인인지라... 진짜 중요한건 클라우드 쓰는중이구요
뭐 하여턴 제 입맛에 딱맞는 그런건 없긴하군요...
용량 방어를 하시려면..
헤놀로지를 설치 하셔서 SHR 을 쓰시면 됩니다.
얻은 용량만큼의 안정성은 또 덜어졌습니다.
모든 것을 만족하는 완벽한 것은 없으니까요.
"난 그래도 용량 많은 것이 좋아. !!
안정성이야 회사나 기업에서 추구하는 거지 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