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량 다른 하드들 레이드 문제

Kerty   
   조회 1745   추천 0    

안녕하세요 만족이 2주이상 안가는 고질적 업글병환자입니다.

분명 처음에는 하드 두세개면 충분하겠지... 하다가 결국 하드가 점점 늘어 24베이 케이스까지 지르게 된 모지린데요..

초반에는 관리의 용이성 및 레이드 깨졌을 후달림으로 인해서 EXT4 단일 볼륨으로만 하드를 달다보니 비는 용량들이 너무 아깝게된 1인입니다.

현재 데이터 저장용으로 8테라 6개, 12테라 2개 14테라 4개해서 사용중인데 다 단일이다 보니 혹시나 하는 마음이 생기기시작하더라구요

그래서 점점 레이드를 알아보는데 SHR와 레이드0을 제외하곤 전체적으로 작은용량 하드들은 용량이 다 짤리는 문제가 있더군요.

혹시 이경우엔 어떤 파일시스템을 쓰는게 좋을까요? 원래는 ZFS를 보고있었으나 애도 찾아보니까 동일용량이 아니면 그냥 버려지는것 같아서요....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12
레이드 안 묶고 JBOD로 사용하던지 하드 모델/용량을 통일시켜서 사용해야죠..

레이드 콘트롤러에 따라  주 레이드 볼륨을 묶고 난 후 하드마다 남은 짜투리 영역을 인식하고 따로 레이드 볼륨을 묶을 수 있는

레이드 카드도 있지만 이래저래 사용하다 보면 어느 레이드 볼륨이 어느 하드의 것인지 모르게 되는 정신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에

어느 영역 (하드 용량 이나 셋팅 방법)을 제한 해서 관리하기 편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Kerty 2022-12
그때그때 핫딜 뜨는거 까다보니 저렇게되더라구요...

고민해보다가 영 안되면 해놀 올려서 쓰던지 하던가 8테라 14테라 두개로 나눠서 쓰던지 해야겠네요 ㅠㅠ...
          
박문형 2022-12
저는 하드는 무조건 새것으로 사고 모델 정해서 가성비 제품으로 삽니다..

아직까지 큰 하드가 필요하지 않고 3.5인치 하드 표준은 7200rpm 이다라고 생각하기에

도시바 3TB 8개 사용후 시스템에서 빼버리고 현재는 도시바 4TB 4개째 사용중입니다..

대략 1년에 하드 1개씩 늘리는 듯합니다..
무법자 2022-12
레이드로 묶어 쓰는데  한번에 비용이 좀 들더라도 같은 용량으로 여러개 사는수 밖에 없더군요...
그래서 용량 확장할때마다 레이드5에 적합하게 같은 용량으로 4-5개 HDD 사서 늘리는 방법만 사용중입니다.
     
Kerty 2022-12
대충 보니까 이제 8테라 보단 14테라가 메인이 될거같긴한데... 그냥 8테라 6개 묶고 14테라 4개 묶고 하던지 아니면 shr쪽으로 틀던지 고민이 깊어지네요 ....
박문형 2022-12
하드는 소모품입니다..

데이터 보존이 더 힘든 문제입니다..

데이터는 철저한 백업과 리스토어만 이 살 길입니다..
     
Kerty 2022-12
뭐 고용량 데이터 전체적으로 중한게 아니긴해서요 ㅎㅎ...
날려서 다시 정리하고 확보하는데 걸리는 시간 아까운것들이 메인인지라... 진짜 중요한건 클라우드 쓰는중이구요

뭐 하여턴 제 입맛에 딱맞는 그런건 없긴하군요...
제온프로 2022-12
안정성은 욕심을 희생하는 구조입니다.

용량 방어를 하시려면..
헤놀로지를 설치 하셔서 SHR 을 쓰시면 됩니다.
얻은 용량만큼의 안정성은 또 덜어졌습니다.
모든 것을 만족하는 완벽한 것은 없으니까요.

"난 그래도 용량 많은 것이 좋아. !!
안정성이야 회사나 기업에서 추구하는 거지 뭐 !!"
     
Kerty 2022-12
욕심보단.... 돈을 희생하더군요....
     
이종근 2022-12
공감되네요
dateno1 2022-12
일단 같은 용량끼리 묶어서 쓰다가 저용량 고장났을때 젤 큰 14테라를 사서 교체한다음 재구성하는것도 방법일듯합니다
     
Kerty 2022-12
안그래도 그쪽으로 가닥을 잡아야할것같네요...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431/5723
2014-05   5231813   정은준1
2015-12   1758507   백메가
2022-12   1357   허우대
2022-12   1872   막내의하루
2022-12   2212   허우대
2022-12   1554   jkaem
2022-12   1783   김준유
2022-12   3066   송상병
2022-12   2019   스마트폰
2022-12   3833   허인구마틴
2022-12   7257   범이님
2022-12   1909   바램쓰
2022-12   2933   StaK
2022-12   2329   흥마
2022-12   2010   명랑
2022-12   2349   cncn
2022-12   2829   슈마이악
2022-12   2853   chotws
2022-12   1820   lenux8
2022-12   1746   Kerty
2022-12   1431   카머
2022-12   1883   류넨아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