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시도니 입니다.
제가 현재 LTE 데이터 선택 65.8 에 선택약정 할인 25%를 받는 요금제 입니다. 무료로 데이터 쉐어링 유심 +1을 쓰고 있구요.
문제는 10GB 데이터가 항상 모자란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확인해보니 제 단말기가 5G지원기기 라서 5G로 변경이 가능하긴 합니다.
다른분께 물어보니 자기는 5G가 실제 속도적 메리트는 딱히 없는데다 5G가 배터리 소모량이 많고 아직 수도권이나 대도심 밖은 5G가 안되서 5G 요금제지만 자기는 LTE로 세팅을 변경해서 (데이터를 LTE우선으로 변경하면 된다는 군요.) 로 쓰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데이터를 훨씬 많이 주는 5G로 변경할까 하는데..
찾아보니... 역시 이 나라의 30/40 대는 어이구 우리 호구왔능가 네요.
(29살까지 가입 가능한...... 청소년 / 청년 요금제 해당 당시에는 통신사가 이게 뭔 의미가 있지?.... 했는데 나이를 먹으니까 가입에 제한을 받는다고 생각하니 그 요금제를 쓸 일은 없지만 괜히 오히려 반발심이 드는 건 저 뿐인지요. 만30세는 만 65세가 될때까지 특별 요금제가 없군요. ㅋㅋㅋ)
요금제명 | 세이브 | 슬림 | 슬림 플러스 | 심플 | |
요금VAT포함 | 45,000원 | 55,000원 | 61,000원 | 69,000원 | |
기본제공량 | 음성/문자 | 무제한 | |||
부가통화[참고] | 300분 | ||||
데이터 제공량 | 5GB | 10GB | 30GB | 110GB | |
속도제한[QoS] | 400kbps | 1Mbps | 5Mbps | ||
데이터 나눠쓰기[나눠쓰기] | 기본 제공량 내 | 10GB | |||
데이터 나눠쓰기 속도제한[QoS] | 200Kbps |
이게 현재 요금제 라는데..
이렇다는 건 5G슬림 요금제가 제가 쓰고 있는 65.8 요금제 보다 싸다는 건데.. 여기에 함정이 뭐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신기한건 30G를 주는 슬림 플러스라는 제품이 제가 쓰는 65.8 요금제보다 더 싸고, 데이터를 더 많이 주고 있었다는 건데요.
그렇다는 건 몇년동안 더 불편하고 더 비싸게 쓰고 있었다는 것이군요...... ;_; 무지한자의... 최후.. 아니 귀찮은 자의...
(추가) 심지어 KT에서 하도 오래 쓰고 있으니 인터넷 속도 업그레이드를 신청이 아닌 고객센터에서 전화해서 재 약정해주시면.... 스카이라이프 오래썼는데 날씨가 안좋아지면 티비가 잘 안나와서 IP 티비로 바꿨는데 그것도 기가지니로 하시죠? 하길래 그게 뭐냐니까.. 고객센터에서 신기한 듯.. 설명을 해주기에 들어보니...전...귀찮은 거 싫어요..와이프가 이상한거 그런거 들여놓는 거 싫어하는데 .. 지금은 지니야.. 지니야.. 이게 있다가 없으면 나름 불편하네요. [ 네.. 해지방어팀 . 현금 상품권....그딴거 몰라요.. ㅋㅋ 충성고객이라기 보다는 그냥 드러 누은 고객이랄까....]
여튼 지금 요금제에서 5G 슬림 플러스 가 오히려 싸면서 데이터를 더 주는 데 이걸로 가는게 낫지 않을지요?.
(심지어 고객센터에서 연락해 5G 기기 사용중이시네요. 현재 요금에서 4000원도 안되는 금액을 내시면 100G가 쓰실 수 있으신데.. 라고 호갱 관리팀에서 전화가 와서 바꾸는 게 나은가?..... 하고 있던 찰나에 검색해보니...슬림 플러스가 더 좋은거 같아서 말이지요. 이 팀에서 더 비싼거 팔아먹으려다가 드러누웠던 호갱이 더 싼거를 가입 하면 이 언니는 혼날까요? ㅋㅋㅋ)
슬림플러스 / 심플로 갈아타는 게 좋을까요? 뭔가 숨겨진 더 다른게 있는지요?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2/03/31/G6AZBA7PSBDT7FIHRLBOBAFE5I/
정신차리고 5G 제속도 나도록 투자가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879446632527688
KT는 유무선 결합상태에 약정까지 있어서 5G 알뜰폰 등으로는 이동하기 힘드시겠죠?
위약금이 얼마 안되고 결합해지까지해도 손익계산에서 이득이 나오면 이동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28GHz 할당취소하면 통신사들은 그나마 시늉으로 해둔 28GHz 기지국들 다른데 돌려버려서 기지국 설치비 더 아끼고 비싼 5G 요금제는 그대로니 더 이득입니다.
거기다 우리나라 5G는 전국망도 아닌데다 데이터만 5G고 음성통화에는 여전히 LTE 씁니다. 5G 음성통화용 VoNR이 국내에는 아직 안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5G 요금제 쓸꺼면 한달 최소 사용량이 100G 이상 되고 어느정도 속도가 꾸준히 나와줘야 한다는 조건하에서 5G 데이터 요금이 메리트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차라리 약간 불편함을 감수하고 별정에서 하는 LTE 무제한이 낫다고 봅니다. (LTE무제한보다 5G 무제한이 가격대비 기본 제공량이 많지만 절대금액은 5G 무제한이 비쌉니다)
* 글쓴분께서 5G 요금제에 무슨 의미 있다고 보시는데 한달 데이터 제공량 잘 보시면 어느 요금부터 갑자기 제공량이 100G로 확 늘어나는거 보이실겁니다.
별정 LTE요금제 만원 내외면 한달 5GB 제공하는 요금제 많은데 5G쓴답시고 4~5만원 내라고 하면 바가지고 통신사들도 이거 모를리 없습니다.
한마디로 사람들이 돈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내서 100G이상 제공하는 요금제 쓰라고 통신사들이 유도하는겁니다.
돈도 안되는데 갖은 민원에 굳이 욕먹어가면서
진행할 이유가 없으니까요.
(민원은.. 주로 기지국 시설 때 전자파, 금전 문제로
건물 옥상에 시설 거부를 하는 경우가 많죠.
5G 28Ghz 특성상 더 촘촘히 시설해야 하는데 위의
민원들로 시설이 안되니 진전이 더딘것이구요)
그리고 65요금제이시라면 첫 번째 댓글 달아주신
분 말씀처럼 KT 데이터ON 요금제를 쓰시면 100G에
쉐어링도 2개까지 됩니다.
(5G는 쉐어링 용량 제한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도 5G 기기인데 의무사용약정 끝나자마자 LTE로
바꾸어버렸습니다. 굳이 5G 안써도 유튜브 보고
업무 하는데에는 아무 지장이 없다보니...
특히 5G요금제들이 데이터를 조금 더 많이 주는 편인데 휴대폰이 5G폰이기만 하면 가입 후에 휴대폰쪽에서 이걸 4G로 내려서 사용하든 5G그대로 사용하시든 상관 없이 가입 가능합니다.
다만 LTE때는 데이터 함께쓰기 같은걸 무료로 주는 경우가 많았는데, 5G에서는 유료인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 부분 고려하셔서 가장 유리한걸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개월 평균 사용량 평균을 알려주셔야 답변을 드리지요...
이통사 5G 100G요금제는 과하다고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