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뢰 피해 예방 방법

이희주   
   조회 2303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700m 산자락에 농장을 가꾸고 있습니다.


지난 수요일부터 요란한 날씨에 퍼붓는 소나기와 천둥번개로 인해 농장의 IOT기기들이 고장났습니다.


물탱크 속에 담가서 사용하는 압력식 레벨 트랜스미터,  rs485컨버터 및 Unifi  옥외용 허브가 고장난 상황이고 추가 피해는 파악중입니다.


작년에는 별 피해가 없었는데 올해는 며칠 사이 고장난 센서만 4대여서 앞으로의 대책을 세우고자 합니다.


접지는 메인 인입 일부구간만 되어있는 상황이고  해당구간에는 써지 프로텍터(SPD)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분기마다 누전 차단기는 시공되어 있는데 이번 낙뢰에 떨어진 차단기는 한개도 없이 센서나 기기들만 고장난 상황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AKA지니 2023-06
낙뢰 맞으면 뭔짓을 해놔도 뒤질놈은 뒤집니다
낙뢰 맞아서 타고 들어오면 답 없고
들어오는걸 막으려는 시도는 효용성도 낮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낙뢰를 안맞게 피뢰침을 설치하세요
     
이희주 2023-06
낙뢰는 피뢰침으로 예방하고 써지는 어떻게 해야 최고의 예방법이 될까요?
          
AKA지니 2023-06
상황을 보면 접지가 메인 인입 구간에만 설치되어있고 거기에 SPD가 걸려있다 하시는데...
거기에 낙뢰가 떨어졌다면 후단에는 보호가 되었겠지요
그런데 옥외 기기에 떨어졌다면요? 기기는 당연히 터질꺼고 거기서 끝나는게 아니라 그 라인 따라 쭉 과도전압이 흐를꺼고 라인의 기기들은 죄다 터질껍니다

피뢰침이 정상적으로 가장 높은곳에 설치되면 적어도 그 근방 다른곳에 떨어질 일 없고
제대로 대지접지 된다면 아무런 문제가 안됩니다
전기는 항상 접지력이 강한곳(흐르기 쉬운곳)으로 흐르게 되어있습니다
피뢰침에 낙뢰가 떨어졌는데 옥내외 기기가 터졌다? 정상적으로 대지 접지된 피뢰침을 역으로 타고 들어와 옥내외 기기가 터졌다?
전기는 그렇게 흐르지 않습니다

산이라 하시기에 나무가 높아서 피뢰침을 더 높게 설치해야 되나? 이런 의문이 들수 있는데
나무에 떨어지면 그것대로 나무가 피뢰침 역할을 한거라 문제 안됩니다 나무에 불이 날지언정....
보호하고자 하는 기기(옥 내외)에 낙뢰가 떨어지지 않게만 피뢰침이 설치되면 됩니다

피뢰침에 낙뢰가 떨어지고 대지로 흐른다면 과도전압(서지)은 문제가 안됩니다
애초에 라인으로 흐르지를 않으니까요
만약 가옥의 크기가 커서 전체를 커버할수있을 정도로 피뢰침을 설치하기 힘들거나
옥외 국소 위치에 소형기기가 두루 퍼져있어 애로사항이 있다면
어쩔수 없습니다 그냥 맞는놈은 버립니다
이후 이 낙뢰 맞은 기기를 타고 과도전압이 흐른다면? 이라는 문제가 생기는데 같은 라인에 들어있는 기기는 죄다 확률적으로 터집니다
엥간한 차단기 는 과도전압을 보호합니다만 차단기까지 가기전 같은 라인에 붙은 기기를 죄다 보호하려면
기기 개별 수준으로 서지 프로텍터(SPD)를 거는수 밖에 없습니다

이럼 비용문제가 발생할껀데.... 485컨버터 같은거 저렴한거는 전 포기하고 여분의 교체 장비를 보유하겠습니다
Unifi 스위치 같은 가격 좀 나가는에들에게는 개별로 SPD걸어주고....

접지가 일부 구간만 되어있다 하시는데... 암만 SPD걸어놔도 접지가 제대로 안되있으면 무용지물입니다
전기는 흐리기 쉬운곳으로 흐릅니다 접기가 없으면 당연히 라인으로 흐르지요....
               
이희주 2023-06
네 맞습니다. 접지는 한전 전기 인입시에  제대로 시공한 접지와 이 부분에 연결한 SPD가 전부입니다.(전기안전공사에서 접지저항 검사받음)

그동안 접지 시공을 걱정해온 이유 중 하나가 접지타고 올라오는 역류가 생기면 어떡해야할지 고민이었는데 일단 맨 먼저 제대로 접지 시공을 해봐야겠습니다..
                    
AKA지니 2023-06
옥외 선로를 원 접지에 강제로 연결할때에 그 까지 연결한 선로 저항도 무시 못합니다...
접지 별거 없습니다 옥외 기기들은 접지봉 사다가 땅에 말뚝 박고 접지 하세요
옥내 접지 할때나 신경 쓸일이 많은거지 옥외... 거기다 산인데...
접지봉 박고 간이(2극)라도 접지 저항을 재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이희주 2023-06
접지봉을 사놓기만 하고 방치해둔게 너무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었나봅니다.. 옥내/옥외 접지도 뭔가 차이가 잇나보군요
GEUN 2023-06
낙뢰가 잘 치는곳은 어쩔수가없습니다. 어떤분들은 피뢰침을 설치하라고하는데 어설픈 피뢰침설치는 오히려 이 근방 낙뢰는 다 여기로 떨어져달라고 바라는것이라 안한것만도 못합니다. 비올때 낙뢰가 초고층빌딩에만 꽂히듯.
SPD는 뭘설치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생긴거만봐도 알수있듯 그냥 마음에 위안만 줄뿐입니다. 낙뢰한번맞으면 고장나는데 고장이났는지 기능은하는건지 알길도없습니다. 그리고 SPD는 제대로된 접지가없으면 무용지물입니다.
낙뢰를 타고온지점을 찾아서 최대한 숨기거나 분리하세요. 큰돈들여서 무언가 할게아니라면 그것만이 답입니다.
     
이희주 2023-06
어렵네요.. 고장난 부분이 한지점에 집중되지않고 산개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지멘스에서 나오는 SPD가 있는데 돈을 들여서라도 이런걸 달아줘야 하나 싶습니다.
          
GEUN 2023-06
전력계통에서 전기가 타고나가는건지 약전계통에서 타고나가는건지 확실히 파악하실필요가있을것같네요. 대부분 낙뢰피해는 약전타고다니는경우가 많습니다. UTP, 코액시얼 등. 그리고 앞전에서 기재한것처럼 접지가 허술한상황에서는 SPD는 아무런 역할도 못합니다.
               
이희주 2023-06
감사합니다. 의견 주신 부분 잘 고려하여 하나씩 파악하고 해결해 나가보겠습니다.

가장 만만하게 생각했던게 접지인데 어렵습니다ㅎ
무아 2023-06
레이저로 낙뢰 유도하는 장치도 있던데 그런게 빨리 저렴한 상용화가 되면 좋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aMCs8Zzf_Q
     
이희주 2023-06
ㅎㅎ소원이 없겠습니다
dateno1 2023-06
보호 장비를 설치해놔도 전기를 전신주에서 받는 이상 안전이란건 없습니다

만일 전신주랑 연결이 안 되어있다면 직격 안 받게 피뢰침이든 뭐든 세우면 되겠네요
     
이희주 2023-06
전신주의 가공지선 타고 들어오는 써지말씀하시는거죠?

해당 부분에 달린 SPD가 제역할을 다해주길 바랄 수밖에 없네요
          
dateno1 2023-06
그쪽의 신뢰성자체가 애초에 좀 의문이죠

중요한 기기 죄다 프로텍터 + UPS 2중으로 해놨는데도 불안밖에 없어요

아마 직격 맞으면 알짤 없을꺼에요

대형 전신주나 변압기 통과전이라면 꽤 강력하게 보호조치 되어있어도 덜한데, 소형 전신주(220볼트용)에는 거기까지 강력하게 낙뢰 보호 안 해둔 경우 많아서 거기 맞으면 알짤 없을꺼에요 (높이상 잘 안 떨어질뿐이지 220볼트 흘러야할곳에 만단위 전압 흐르면 대부분의 보호용 조치가 다 무력화될껍니다)
당근 2023-06
20년 전에 주택에 살때 서지보호 기능이 있는 멀티탭 사용했습니다.
번개치는 날 컴퓨터 게임 아마 스타한거 같음...
멀티탭에서 퍽 퍽 여러번 터지는 소리가 났지만 무식하게 게임만 했습니다.
서지보호기능있는 멀티탭이나 누전차단기 근처에 붙이는 서지 보호기를 설치하시면 장비가 보호될겁니다.
     
이희주 2023-06
서지보호기가 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해주길 희망합니다..분기마다 달아둘까 고민중이에요.


QnA
제목Page 319/5727
2014-05   5251243   정은준1
2015-12   1776293   백메가
2023-06   2224   inquisitive
2023-06   3387   긴머리루이스
2023-06   2304   이희주
2023-06   2394   slowcity
2023-06   2146   과거합격
2023-06   1711   무아
2023-06   1568   스무프
2023-06   1433   선릉역두꺼비
2023-06   2055   블루영상
2023-06   1877   최시영
2023-06   3203   술이
2023-06   2458   태광성
2023-06   3623   정무현
2023-06   3110   삐돌이슬픔이
2023-06   3648   무좀함대
2023-06   14   서태하
2023-06   2844   캔위드
2023-06   4356   야쓰오
2023-06   2923   다초린
2023-06   4854   Pinn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