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1923 |
0 |
2014-05
523192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8615 |
25 |
2015-12
1758615
1 백메가
|
108556 |
회원 정보 error? (3) |
유호준 |
2023-07 |
2258 |
0 |
2023-07
2258
1 유호준
|
108555 |
USB 메모리 검사 프로그램 (8) |
이형동 |
2023-07 |
3310 |
0 |
2023-07
3310
1 이형동
|
108554 |
애플 스토어 포인트 관련 |
달광이 |
2023-07 |
1822 |
0 |
2023-07
1822
1 달광이
|
108553 |
h1n 으로 대강당에서 연주하는것을 녹음하려는데 (6) |
삐돌이슬픔이 |
2023-07 |
2007 |
0 |
2023-07
2007
1 삐돌이슬픔이
|
108552 |
커세어 ddr5 인텔최적화xmp램 amd보드에서 쓸수있나요? (8) |
래바이 |
2023-07 |
2831 |
0 |
2023-07
2831
1 래바이
|
108551 |
아아... 끊어저버린 몰렉스 커넥터를 수리할만한 곳이 있을까요? (6) |
정무현 |
2023-07 |
2092 |
0 |
2023-07
2092
1 정무현
|
108550 |
Otdr 배터리 질문드립니다 (7) |
Uinx |
2023-07 |
1833 |
0 |
2023-07
1833
1 Uinx
|
108549 |
SSD 성능 비교 (21) |
아마데우쓰 |
2023-07 |
2406 |
0 |
2023-07
2406
1 아마데우쓰
|
108548 |
슈마 X10DRL-i 설정 관련 질문있습니다. (1) |
다두 |
2023-07 |
2258 |
0 |
2023-07
2258
1 다두
|
108547 |
알리에서 파는 와이파이+블투에 로지텍 MX Master 2S 연결이 안되나요? (6) |
막울었어요 |
2023-07 |
1691 |
0 |
2023-07
1691
1 막울었어요
|
108546 |
홈페이지에 게시판 (3) |
slowcity |
2023-07 |
1208 |
0 |
2023-07
1208
1 slowcity
|
108545 |
슈마 X10DRL-i에 E5-2630 V3 2개꼽았는데 HWiNFO에서 CPU 0만 보입니다. (10) |
다두 |
2023-07 |
3077 |
0 |
2023-07
3077
1 다두
|
108544 |
10년쯤 지난 마이크로닉스 파워가 있는데 삐리리 합니다 (6) |
막울었어요 |
2023-07 |
1793 |
0 |
2023-07
1793
1 막울었어요
|
108543 |
Windows Tablet 추천 받습니다 |
dateno1 |
2023-07 |
1370 |
0 |
2023-07
1370
1 dateno1
|
108542 |
중국산 x99 메인보드 바이오스 질문요 (1) |
얍뿅 |
2023-07 |
2380 |
0 |
2023-07
2380
1 얍뿅
|
108541 |
윈도우에서 서버하드 쓸수있을까요 ? (8) |
근육계장 |
2023-07 |
2588 |
0 |
2023-07
2588
1 근육계장
|
108540 |
M1 맥북을 중고로 구매하려 하는데, M1 기준으로 제 용량에 맞는 렘을 모르겠습니다. (8) |
Andrew |
2023-07 |
2673 |
0 |
2023-07
2673
1 Andrew
|
108539 |
윈도우10 프로세서 선호도 관련 질문입니다 (3) |
apuburner |
2023-07 |
3885 |
0 |
2023-07
3885
1 apuburner
|
108538 |
국산 스피커 유닛 질문 (2) |
박문형 |
2023-07 |
2149 |
0 |
2023-07
2149
1 박문형
|
108537 |
[기초적인 질문 주의!] 회사 노트북 완전하게 포맷하는 법 (6) |
땅쟁이 |
2023-07 |
3768 |
0 |
2023-07
3768
1 땅쟁이
|
모두둘 벤치 테스트를 좋아하니 그것만 통과하면 됩니다
기업용은 넘사벽인 걸로 이해하겠습니다.
endurance : 1200 TBW = 1.2 PBW
UBER : 1 sector per 10^15 bits read
https://www.compuram.biz/documents/datasheet/PM9A1_Samsung.pdf
1.2PBW vs. 21.85 PBW
엄청 차이나네요.
도리어 벤치마크 도구에서 눈에 확띄는 읽기 성능 때문에 데스크탑용을 선택하게 될 것 같습니다.
저희 회사에서 사용할 것인데..
그동안 소비자용으로도 충분했었는데..
기업용 저렴한 것이 나와서 여쭤보는 것입니다. ^^
다만 같은 엔터프라이즈 SSD라면 연식 차이에 따른 성능 격차가 상당합니다.
결론: PM9A3를 산다
read와 write 속도 값이 있을 때 60/40 혹은 70/30 혼합 속도는 그냥 60대 40 혹은 70대 30으로 가중평균을 내면 안됩니다.
read 속도가 많이 빠르니 sustained write 속도가 좀 떨어지더라도 혼합 속도는 더 빠를 것이 아니냐 쉽게 생각하면 안됩니다.
1G IO(10^9 IO)가 있다고 칩시다. read/write가 60대 40이라고 칩시다.
그러면 6*10^8 read IO를 처리하고 4*10^8 write IO를 처리해야 합니다.
1. read 1000K IOPS, write 850k IOPS인 SSD의 경우
read 시간 : 6 * 10^8 / 10^6 = 600 (sec)
write 시간 : 4 * 10^8 / 850,000 = 470.6 (sec)
합계 : 1,070.6 (sec)
2. read 638K IOPS, write 222k IOPS인 SSD의 경우
read 시간 : 6 * 10^8 / 638,000 = 940.4 (sec)
write 시간 : 4 * 10^8 / 222,000 = 1801.8 (sec)
합계 : 2,742.2 (sec)
3. read 400K IOPS, write 200k IOPS인 SSD의 경우 - HUSMM3232 SAS SSD의 경우(성능 좋은 SAS SSD의 경우임)
read 시간 : 6 * 10^8 / 400,000 = 1,500 (sec)
write 시간 : 4 * 10^8 / 200,000 = 2,000 (sec)
합계 : 3,500 (sec)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이렇게 됩니다.(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아주 단순화시킨 것임)
여기서 1번의 경우 일반용 SSD라서 burst 속도라고 보고, sustained 속도를 read는 그냥 그대로 쳐주고 write 속도는 30k IOPS라고 가정을 해 봅니다. 그러면 어찌 될까요?
A. read 1000K IOPS, write 30k IOPS인 SSD의 경우
read 시간 : 6 * 10^8 / 10^6 = 600 (sec)
write 시간 : 4 * 10^8 / 30,000 = 13,333.3 (sec)
합계 : 13,933.3 (sec)
이건 뭐 SAS SSD보다도 4배 시간이 더 걸리는 셈입니다.
그럼 다시 sustained 속도를 read는 그냥 그대로 쳐주고 write 속도는 100k IOPS라고 가정을 해 봅니다. 그러면 어찌 될까요?
A. read 1000K IOPS, write 100k IOPS인 SSD의 경우
read 시간 : 6 * 10^8 / 10^6 = 600 (sec)
write 시간 : 4 * 10^8 / 100,000 = 4000 (sec)
합계 : 4600 (sec)
그래도 SAS SSD를 못 쫒아가는군요.
혼합 성능은 read write 중에서 느린 것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한 가지가 번개같이 빨라도 다른 한 가지가 매우 느리면 혼합 성능은 매우 구리게 나옵니다.
그럼 PM931A의 sustained random write 속도(표준에 따른 측정)는 얼마나 될 것이냐? 짐작으로 30k IOPS가 안될 것 같습니다.
예전 960 Pro, 970 Pro 같은 것이 7.5 k IOPS 정도 되었습니다. 10k IOPS 넘는 일반용 SSD는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요즘에 나오는 것들은 어떠할지 측정을 해 보지는 않았지만 그 값을 높이기 위해 특별히 투자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개인용으로는 오랜시간 지속적으로 write를 하는 경우가 없다고 보고 신경을 쓰지 않았을 것입니다.
개인의 일반적인 사용에서 엔터프라이즈 용이라고 하여 특별히 더 빠르지는 않습니다. 50톤 싣고 시속 100km로 달릴 수 있는 화물차에 5톤만 싣는다고 하여 시속 1,000km로 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깔끔한 정리 고맙습니다.
소비자용 SSD는 랜덤 쓰기가 30k IOPS가 안되는군요.
그럼, 그것만으로도 기업용이 가치가 충분해 보입니다.
고맙습니다~
개인용 PC에 장착하는 SSD는 표준속도에 따른 측정 결과는 공개를 안하고, 유저의 벤치에 의존하는 걸까요?...
한 곳에서 모아 구매하는 것이 편합니다..
호환성문제를 해결하려고 해도 한 벤더 제품을 골라서 깔맞춤 하는 것이 편합니다..
조립 서버 구매하는 식으로 이래저래 부품으로 알아보는 것은 시간도 걸리고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때 본인이 다 책임져야 하는 문제만 생깁니다..
그것은 고객 납품용이었고요.
이제 저희 회사에서 사용할 것을 알아보는 중입니다.
제가 이런저런 조립 작업을 즐기는지라.. 저렴한 비용으로 해 보려고 합니다.
책임은.. 제가 지면 됩니다. ^^
꼭 삼성이 정답은 아니지만 좋은 제품 찾기를 기원합니다..
지금도 비슷하지만 기업용 SSD를 사용하려면 직수입 하는 것 밖에 답이 안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걸 노리고 있습니다.
슈마것 새 세트로 구입할지..
중고 서버로 드래곤볼을 모을지 고민중입니다.
보통 엔터는 이렇게 해도 다 차갈떄까지 꽤 양호한 성능을 뽑아줍니다
그런데 간장게장님 댓글에 의하면, 기업용이면 훨씬 더 잘 나올 것으로 기대되네요.
실재 장기간 운용하면 디스크 1/2~2/3정도 채운 상태에서 썻다가 지웠다 할테니 저정도 찬 상태에서 지져분한 상태로 시험했을떄 성능이 진짜 성능이라 봅니다 (물른 이런식이면 성능 나빠지는걸 알고 있기때문에 제경우 20%정도 오버프로비저닝 + 디스크 사용 비율 너무 안 높아지게 주의하지만, 일반 사용자가 여기까지 할꺼라고 기대는 하기 힘들죠)
970 Pro라면 MLC고, 그나마 상위 라인업이라고 조금 신경써서 만들었는지 양호한편이긴합니다만 저기까지 하면 신품일떄 돌린거랑 좀 다르긴할껍니다
"예전 960 Pro, 970 Pro 같은 것이 7.5 k IOPS 정도 되었습니다. 10k IOPS 넘는 일반용 SSD는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SATA SSD인 850 Pro, NVMe SSD인 950 Pro는 4k 지속쓰기 성능이 10 k iops 미만이었습니다. 그러나 960 Pro에 들어와 25 k ~ 30k iops 정도로 크게 성능이 증가했습니다. 970 Pro는 33k iops 정도. 980 Pro나 990 Pro의 4k 지속 쓰기 성능이 나온 리뷰 기사는 찾지 못햇습니다.
주섬주섬 정리해 본 것
* 일반용 SSD의 4k 지속 쓰기 성능
https://www.2cpu.co.kr/PDS/14836
링크 주신 것도 정독했습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자료이고 정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