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x 파워의 3.3v는 왜 안 없어질까요?

이창준   
   조회 2358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밴더 제품의 서버나 웍의 파워는 거의 3,3v를 쓰지 않고 있지요. 보드에 벅컨버터가 붙어 자체 해결을 하지요. 램이나, pci-e에 소량만 사용되는 이유로 파워에서 공급하기 보다는 보드에서 그냥 처리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atx 보드에도 충분히 가능한데 왜 없어지지 않는걸까요? 웍케이스를 개조해서 사용할 때 항상 이것 때문에 귀찮아집니다. ㅎㅎ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isaiah 2023-07
차세대에서 없어 졌을걸요 우리가 아직 옛세대 규격을 써서 3.3이 덜렁거리는 걸 거예요…
     
이창준 2023-07
파워 규격은 진짜 잘 안바뀌는 것 같아요. 메인보드 소켓이 바뀌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니..ㅎㅎ 메인보드가 신 규격을 적용해야 하는데 반발이 어마어마할 듯 합니다.
          
dateno1 2023-07
제조사들이 안 따라줘서 12vo로 못 넘어가고 있죠

파워가 단순해지는 대신 보드가 복잡해져야하니까요
     
dateno1 2023-07
신형 규격은 애초에 12V밖에 없어요
dateno1 2023-07
3.3볼트 요즘 거의 쓰는 장치 없지만, 구형 장치 연결할껄 대비해서 남아있는 수준이라고 봅니다

보드같은곳에 3.3볼트 쓰는 칩 붙어있긴한데 워낙 쥐꼬리만큼 먹는거라 이정도라면 5 -> 3.3볼트해서 공급하게 설계해도 충분한 수준이니 큰 장애는 아니라고 봅니다
     
이창준 2023-07
애초에 밴더 전용파워의 경우, 본체의 호환파트를 정해 놓고 관리를 하니 호환성의 문제에 자유로운데, 일반보드는 사용자가 뭔짓을 할 줄을 모르니 무작정 없애기 어려울 것 같기도 합니다.
          
dateno1 2023-07
그냥 보드 제조사들이 단가 상승 싫어서 결사 반대하는게 원인인거같습니다

기컷해야 3.3볼트 4~60왓정도니 맘만 먹으면 온보드에 박을 수 있고, 5볼트도 120왓정도입니다 (옆에 굴러다니는 750왓 보니 저렇게 되어있음)

대충 시퓨 전원부정도의 출력이 들어가면 충분하고, 실재로 사용하는건 저거보다 적으니 더 줄일 수 있습니다
박문형 2023-07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pureboy05&logNo=220213245862

우선 3.3V가 어디에 사용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아예 사용하지 못하게는 할 수 없을 듯합니다..




15년 이상 그 이전에 리던던트 파워들은 하나의 파워 모듈에서 12V /5V /3.3V 등이 다 나왔습니다..

즉 하나의 파워 모듈안에 12V /5V /3.3V 가 다 독립된 회로에서 만들어졌습니다..

파워 효율도 80% 안되기에 그다지 좋지 못하였습니다..

ATX 파워도 마찬가지입니다..



80+가 정의 되면서  파워는 효율을 높히기 위해 12V만 만들고 그 다음 DC-DC 컨버터를 통해 5V /3.3V를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파워의 효율은 좋아지지만 단점으로는 각 전압의 라이징 타이밍을 잡기가 힘들어집니다..

ATX 규격을 보면 각 전압의 라이징 타임을 규정해놓았습니다.. 이 라이징 타임도 버젼별로 약간씩 다릅니다..

서버에 쓰이는 리던던트 파워도 효율 문제로 파워 모듈에서는 12V만 만들고 나머지 전압은 PDU에서 DC-DC 컨버터 회로를 통해 만듭니다..

12V 만 통제하면 되기에 회로를 꾸미기에는 옛날보다 더 편해졌을 수도 있습니다..

벤더서버쪽에서는 조금 더 자기만의 것을 만들거나 성능 향상을 위해 파워 모듈은 12V만 만들고 나머지 전압은 마더보드나 백플레인 도터 보드

쪽에서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이 때 문제는 전용 부품이라 고장났을때 대체 부품 구하기가 힘듭니다..
     
이창준 2023-07
링크의 내용이 좋습니다. 알아보기 쉽도록 잘 정리되어 있네요.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296/5726
2014-05   5249362   정은준1
2015-12   1774658   백메가
2023-07   2355   쌍cpu
2023-07   2359   이창준
2023-07   2032   블라블라
2023-07   2439   Uinx
2023-07   2308   미담
2023-07   2253   화정큐삼
2023-07   1845   무아
2023-07   2893   화정큐삼
2023-07   3170   이천풍
2023-07   1877   서울I김동수
2023-07   1486   부우우엉
2023-07   2264   다온
2023-07   2412   블블아이
2023-07   1566   무쏘뿔처럼
2023-07   2280   Whitesun
2023-07   2131   헌터D
2023-07   2023   리얼쿠퍼
2023-07   1503   화란
2023-07   1591   앙끄
2023-07   2668   Wna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