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2060 |
25 |
2015-12
178206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7269 |
0 |
2014-05
5257269
1 정은준1
|
109936 |
노트북은 usb전원단추 같은거 없을까요? (8) |
영산회상 |
2023-11 |
2844 |
0 |
2023-11
2844
1 영산회상
|
109935 |
슈마 보드 nvme 설치 관련해 질문 드려요 (9) |
샤멍 |
2023-11 |
1834 |
0 |
2023-11
1834
1 샤멍
|
109934 |
건강검진 목적으로 복부ct를 찍는 분도 계실까요? (11) |
미담 |
2023-11 |
1466 |
0 |
2023-11
1466
1 미담
|
109933 |
asr-8885에 18TB이상 인식해서 쓰시는분 있으신지요? (23) |
느린닭 |
2023-11 |
3688 |
0 |
2023-11
3688
1 느린닭
|
109932 |
SMB 멀티채널에 대한 질문입니다. (10) |
최창현 |
2023-11 |
2040 |
0 |
2023-11
2040
1 최창현
|
109931 |
HDD 해외직구(중고) vs 국내(중고or신품) (12) |
막내의하루 |
2023-11 |
2151 |
0 |
2023-11
2151
1 막내의하루
|
109930 |
치후 360 S7용 충전독/어댑터 빌려주실수 있는분 계실까요? |
구차니 |
2023-11 |
1518 |
0 |
2023-11
1518
1 구차니
|
109929 |
택배 불가 이유 (9) |
젠서버 |
2023-11 |
2100 |
0 |
2023-11
2100
1 젠서버
|
109928 |
블레이드 서버 궁금증 (5) |
젠서버 |
2023-11 |
1855 |
0 |
2023-11
1855
1 젠서버
|
109927 |
HP DL380p gen8 서버 다운으로 해결방법 찾습니다 (4) |
하덱 |
2023-11 |
3022 |
0 |
2023-11
3022
1 하덱
|
109926 |
스마트폰 강화유리 필름은 지문인식이 안되나요? (8) |
무아 |
2023-11 |
2594 |
0 |
2023-11
2594
1 무아
|
109925 |
윈도우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 질문 (5) |
무쏘뿔처럼 |
2023-11 |
1717 |
0 |
2023-11
1717
1 무쏘뿔처럼
|
109924 |
UTM과 L2스위치로 내부망 구성중 두뇌 지능부족으로 과부하에 빠졌습니다 (13) |
치킨좋아요 |
2023-11 |
2218 |
0 |
2023-11
2218
1 치킨좋아요
|
109923 |
가상 스위치 OS (4) |
중립기어오토 |
2023-11 |
2269 |
0 |
2023-11
2269
1 중립기어오토
|
109922 |
HP 마이크로서버 Remote Access Card 장착시 부팅 불가 (6) |
김강호 |
2023-11 |
2103 |
0 |
2023-11
2103
1 김강호
|
109921 |
랜툴 구입시 주의사항이나 고려할 것이 있나요? (13) |
이매망량2 |
2023-11 |
1834 |
0 |
2023-11
1834
1 이매망량2
|
109920 |
슈퍼마이크로 서버 파워 문제 좀 여쭙겠습니다 (4) |
코로리 |
2023-11 |
2410 |
0 |
2023-11
2410
1 코로리
|
109919 |
Arc A770(또는 750)을 사용해보신 분(특히 인코딩)께 질문드립니다. (5) |
김준연 |
2023-11 |
2311 |
0 |
2023-11
2311
1 김준연
|
109918 |
노트북 기본 마이크 말고 회상 회의에서 사용할 마이크 있을까요?? (3) |
Landa |
2023-11 |
1682 |
0 |
2023-11
1682
1 Landa
|
109917 |
수냉쿨러 조임 나사? (7) |
2CPU최주희 |
2023-11 |
2077 |
0 |
2023-11
2077
1 2CPU최주희
|
다만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고 프로그램 설치 및 복잡한 설정에 드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OS 및 프로그램이 설치된 영역도 백업해두고 즉시 교체할수 있도록 준비를 해두는 것이죠.
고스트 같은 프로그램을 써서 이미지를 뜨는 방식의 단점은 계속적으로 실시간으로 처리되는게 아니기 때문에 불일치가 일어날수 있습니다.
OS영역과 프로그램의 설치 상태 및 설정상태를 다른 디스크에도 똑같이 유지하고 싶다면 RAID를 쓰는게 수월하겠네요.
물론 RAID를 사용하는 상황에서의 복구 방법은 RAID 카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고스트 프로그램을 써서 이미지를 dump 시킨 방식과는 차이가 있죠.
다들 아실테지만 사실 반드시 백업을 해야 될 대상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은 결과물인 데이터들입니다.
그전에 고스트 원본 윈도우가 에러 발생시 고스트로 복원 안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많이 좋아졌나요?
무료로 사용 가능한 Aomei/wimlib같은넘들도 있다보니 관심도 안 생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