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G 서버용 외장 랜카드 사용에 문제가 있어 질문드립니다.

핸즈   
   조회 2240   추천 0    

받기 보내기 패킷의 크기가 작은 트래픽들이 제컴에 수시로 들어오고 다시 특정 포트를 통해 외부에 있는 메인 서버컴으로 나가고를 반복 합니다.


들어오고 나가는 패킷의 크기는 평균

최소 98Kb 에서 ~ 900Kb 수준이고

간혹가다 최대 9MB까지는 순간적으로 트래픽이 들어오고 

다시 나가는일도 생기는데 9MB짜리 패킷이 이용될때는

연속적으로 들어오지도 않코 들어오면 1회성에 한해 들어오고 나가기 때문에 큰패킷이 생길일은 흔치 않습니다. 


문제없이 서버컴이랑 통신이 되다가도 간헐적으로 

인터넷은 완전끊킨거도 없이 잘되고는 있으나 

(윈도우이벤트뷰어확인중)


특정 프로그램에서 네트워크 이용률이 확 떨어져서 트래픽이 정체(1시간이상 100Kbyte미만)가 되는 현상이 생겨서 공으로 돌때가 있습니다. 동시간대에 다른 컴은 문제가 없는것도 매번 먼저 확인 했구요ᆢ

(ISP 트래픽 제어 문제도 있긴 한거 같고 이문제는 보류중이긴 한데 동시에 다른 문제가 있을수도 있겠단 생각 입니다.)


호스트에 윈10Pro 설치하고 호스트에 WSL2 가상화 엔진

하나만 사용하고 호스트에 설치한 가상화 플랫폼은 윈도우 버전인 Docker Desktop 한개 사용중입니다.


제컴에 내부적으로 문제는 없는거 같고 컴마다 모두

윈도우 이벤트뷰어를 보고있긴 한데 에러가 나올만한 정황은 전혀 안보입니다.


동시간대에 운영중인 다른 노드컴들이 10대가

또 있는데요ᆢ

개네들은 다른 ISP 트래픽을 사용하고 있고

트래픽이 정체되는 똑같은 증상들이 생기는 컴이

3대가 더 있습니다.


문제가 될려면 모든컴이 동시에 다 그래야 하는데 

특정 컴들만 해당 현상들이 나오네요ᆢ


그래서 문제되는 컴에만 다른 랜카드로 교체해보고

추이를 보려하는데 적당한 PCIe용 서버용 랜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외장 랜카드 스펙은 1G UTP 1P용 짜리면 됩니다.


USB 3.0 1G 리얼텍 랜카드는 

수신버퍼랑 송신버퍼 설정해줄 값이 너무 작은 제한이

Receive Buffers 16 / Receive URBs 6 / Transmit Buffers 16 / Transmit URBs 3

기본값 그대로 사용시

트래픽이 꽤 안정적이긴 한데 다른 사유로 

USB 타입 랜카드만 사용을 안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모든컴에 랜카드 속성에 점보프레임은 비활성화 했고 송신버퍼는 256MB 수신버퍼는 512MB로 통일해서 돌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역폭 문제도 있을까바

윈도우 전송대역폭 말인데요ᆢ 예는 미니멈값으로. 저장한상태에서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대역폭을 최대한 확보해주려고 마지막에 윈도우비활성화도 해둔상태입니다.


서버용 외장랜카드로 자잘한 패킷을 문제 없이 돌릴만한게 

리얼텍꺼 빼고 어떤 모델로 꼽아 쓰는게 낳을지요? 

아니면 제가 놓치고 있는 다른 부분이 있으면 다른 피드백도 알려주시면 참고 하겠습니다.


문제가 예상되는 피드백은 최대한 고심해서

수렴할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안철현 2024-07
서버용 외장(USB) 랜카드는 없습니다.

인텔 싱글포트 PCIE X1 용으로는
PRO 1000 CT / PT single (중고)
i210 (중고/신품)
정도가 시장에서 구할 수 있슴니다.
     
핸즈 2024-07
문제가 된 랜카드가 c612칩셋 보드 사용하는 온보드형
인텔 I210 랜카드 입니다. AMT관리포트는 바이오스에서 비활성화 시켜둔 상태고요ᆢ

감사합니다. I210 외장랜카드로 포함 다른랜카드도
꼽고 후기 남겨 놓겠습니다.
          
dateno1 2024-07
210이면 서버에도 들어가는 무난한넘인데요?

그넘이 애먹이면 선택지가 별로 없어져요

문제 생길 각오하고 225/226 가시거나, 별 차이 없겠지만 219 가시거나, 꽃게 가야겠죠 (브로드컴같은건 시중에 중고 제외하면 거의 있지도 않음)
               
핸즈 2024-07
210이 그래도 무난하긴 하나보네요ᆢ

210은 드라이버 버전 신형으로 교체시 그런 빈도수가 상 중 하 로 나누자면 상인데 중정도 좀덜하는 변화가 있는거 같긴 합니다ㆍ 감으로 하는데 기분 탓이겠죠?

반면 꽂개는 15~16년도(eee같은 불필요 옵션생략)이 드라이버에서 돌릴때도 변화가 있었던거 같애요ᆢ 그현상 빈도수가 줄어든 느낌요ᆢ

브로드컴 하나 있는데 믿었던 개도 문제의 현상이 생기드라고요ᆢ 시간날때 하루 스톱워치 켜서 한번만더 확인 사살 해봐야 겠습니다.

인텔은 200 번대 300번대 씨리즈로 순정값으로
천천히 테스트 해바야 겠네요ᆢ
                    
박문형 2024-07
집에서 사용하는 PC가 인텔 7세대 i210 인데 2018년 구입해서 지금까지 애먹인 적 자체가 없었습니다.. 윈도우즈 10이고요..

드라이버는 심심하면 인텔 패키지로 최신 버젼으로 올려주었습니다..

트래픽은 24시간으로 돌리는 것은 아니지만 저녁에 6시간이상 돌리며 그럭저럭 꽤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인터넷은 LG U+ 반기가 입니다.. 통신사 공유기 사용하고 IPTV도 있습니다..


무슨 문제인지 모르겠지만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는 칩셋들이 다 문제를 일으킨다면 랜카드 자체보다 다른 쪽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그 다른쪽은 무엇인지는 현재는 전혀 모르죠..
박문형 2024-07
1G 서버용 인텔 랜카드면 보통은 문제는 없습니다..

https://www.2cpu.co.kr/sell/593365?&sfl=wr_name%2C1&stx=%C3%D6%C0%E7%C1%A42cpu&sop=and&page=4

여기서 인텔 서버용 제품 구하시면 될 듯합니다..

문제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모델이나 마더보드 모델은 어떻게 되나요??



컴퓨터 노드가 10개가 있다는 것은 스위치 허브가 있고 랜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인데

어떤 스위치 허브를 사용하고 케이블은 대략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핸즈 2024-07
컴 모두 HP Z840 WorkStation 중고 이고
보드도 똑같이 순정 c612칩셋 x99용 듀얼 E5-2683V4 입니다.  본문글 마지막에 보드 바닥 사진 올려났어요ᆢ

컴모두 메이저 스위치 허브는 안쓰고
(스위치 자체도 공인IP 할당 카운팅 됨으로 자제중)
일반 IPTIME 6008-IGMP 허브에만 꼽아 사용합니다.

다른 지인 명의의 SK통신사들이 총2군대 입니다.
컴은 총10대

1>
NAT모드인 CAT5e 방벽선에서 위에 적은 6008 허브에 꼽고  그 허브에서 노드컴 5대 직결후 각각 공인IP 받습니다.

2>
나머지 5대는 다른집에 포진해 있구요ᆢ
똑같은 위 구성으로 컴5대 사용중입니다.

문제 되는 컴은 두집에서 특정컴들이 그래요ᆢ
문제가 안되는컴은 끝까지 문제된적 없구요ᆢ
문제가 되는 컴들은 아직 없애진 않고 다른 랜카드로 교체를 해볼까 합니다.
          
박문형 2024-07
들어오는 통신사 인터넷이 반기가라서 1차적으로 스위치가 일반 IPTIME 6008-IGMP 허브 로 보여지네요..

허브 따라 틀리지만 저런 작은 허브는 포트를 풀로 채우고 부하 좀 주면 뻗는 경우도 있습니다..

문제되는 시스템은 Ping 이라도 하루 정도 돌려서 패킷 에러가 나는지도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케이블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케이블도 어느 정도 품질이 되어야 속도도 잘나오고 패킷에러가 적어집니다..

개인적으로는 LS전선에서 나오는 주문제작한 케이블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보는데 이것은 일반 중국산 케이블 가격의 거의 2배라서

어찌 보면 쓸데 없는 곳에 돈쓴다라고 할 수 있지만 데이터 트래픽이 많은 곳에서는 차이가 나긴 합니다..

중국산 케이블중 그럭저럭 괜찮고 가성비 있는 제품은 랜스타케이블입니다..

 HP Z840에는 HP 361T PCIe Dual Port Gigabit NIC 제품이 인증되어 있네요..

 HP 361T는 인텔 i350 랜 칩셋을 사용합니다..

인텔 i350 칩셋 랜카드는 짝퉁이 많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핸즈 2024-07
반기가 맞구요 벽선이 UTP 4P 8가닥이라
100메가 나올일은 없는거 같구요ᆢ

관리형 스위치도 사놓고 몇번 쓰다 안쓰게 되고
6008 허브만 쓰게되네요ᆢ

6008 허브가 8P짜린데요ᆢ4포트 채우고 1년도 못되서 쓰던 포트가 2개씩이나 죽어서 옆포트에 꼽고 쓰다 허브 또사다 꼽고 쓰네요ᆢ 싼마이는 안되나 봅니다. 기가라이트 지원하는 관리형 스위치도 또 있는데 가격은 6008허브에
두배라 포트사망될일은 적어질수도 있겠네요
기가라이트 지원 관리형 스위치가 넥스트사일겁니다. 안팔리니까 펌웨어 업뎃도 안나오는ᆢ

핑테스트는 가끔 하는데 손실률 0%에요ᆢ
쓰는 케이블까지도 한개씩 랜테스터기에 꼽아도
정상이고 LS산전께 낮다는데 일단 들고가봅니다.

핑손실은 배제하고 케이블쪽 문제는 관리형 스위치 쓸때 케이블 검사했을때 패스한 기억도 있네요ᆢ

벽포트 랜잭도 짤라서 짱짱하게 다시 해도 증상들이 나오니. 환장합니다.

Z840에서 검증된 i350칩셋에 눈길이 가네요ᆢ

짝퉁이슈도 많다는데 그건 광케이블만 아니면
저는 크게 해당 없지 않을까요ᆢ
                    
박문형 2024-07
반기가라인 == H6008-IGMP == 메니지먼트 스위치 === 각 컴퓨터

이렇게 연결시 이상없이 동작한다면

H6008을 단순한 신호변환기 정도로 사용하고 밑에 메니지먼트 스위치를 달아서 사용해도 될 듯합니다..

인텔 i350 짝퉁은 가상화가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인텔 오리지날이나 HP 361 정품 구하시는게 재일 낫다라고 생각합니다..
                         
핸즈 2024-07
일단 전에 관리형 스위치 이놈을
NEXT-POE3105GF 한대 더사다놓긴 했는데요ᆢ얘는 점보 9014byte지원+기가라이트도 지원하고 덤으로 IPTV IGMP기능까지 있다보니 IPTV 트래픽도 별도로 사용되고 웹으로 관리페이지 진입되요ᆢ 예는 8만주고 새거사다논걸
다시 노드컴에 붙여 바야겠네요ᆢ

연결구성은 단체가입자라 모뎀이 없어요ᆢ
구성 연결도ᆢ
벽선(Nat모드,4P8가닥,기가라이트선)에서
NEXT-POE3105GF스위치에 꼽고

스위치에서ᆢ
노드컴1대 꼽고
공유기wan포트에 한가닥 꼽고
IPTV 셋톱은 공유기Lan포트에 꼽고

이래되면 통신사입장에선
공인IP 3개 사용하는걸로 잡히겠네요?

평소에 공유기는 잔류 트래픽이 들어가니까
꺼버릴거고요ᆢ 공유기 끄면 IPTV셋탑도 트래픽이 같이 차단 되겠지요ᆢ

노드컴엔 랜카드 HP 361정품꼽고
랜속성가서 점보프레임 9014byte로
킬까요? 말까요?

노드컴에 사용하는 트래픽이 많어야9MB고
평소 1MB미만 수준이라ᆢ 오히려 키면
부작용(장시간 100 Kbye 수준으로 하락됨) 날수 있나요ᆢ?
                         
박문형 2024-07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점보프레임은 자잘한 전송이 많은 경우 더 방해만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우선 디폴트로 동작시켰을때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정상동작하는지 보아야지요..
                         
핸즈 2024-07
반기가라인 == H6008-IGMP == 메니지먼트 스위치 === 각 컴퓨터

예기해주셨는데ᆢ
일단 H6008허브는 빼버리고ᆢ
(트래픽간섭)
선두에 반기가라인은 벽선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벽선에서 노트북 직결시 공인IP잡히고 속도측정시 업다운 500MB 나와요ᆢ증폭의 의미는 제방에선 자유롭습니다.

제가 생각한 연결 2가지 방법중
 어느게 더 트래픽 간섭이나 통신사 트래픽 제한되는 빈도수를 조금이나 줄일수 있을까요ᆢ

1번 구성:
벽선 == 통신사공유기wan ==
통신사공유기lan==메니지먼트 스위치업링크포트 ===메니지먼트 스위치 랜포트==
노드컴직결 (HP361T 랜카드)
ㅡ>공유기 밑단에 IPTV셋탑직결ᆢ 평소 공유기전원 OFFᆢ 필요시만 ONᆢ

2번구성:
벽선==메니지먼트 스위치업링크포트 ===메니지먼트 스위치 랜포트==노드컴직결
(HP361T 랜카드)
ㅡ>스위치밑단에 공유기 직결.. 공유기 밑단에 IPTV셋탑직결ᆢ 평소 공유기 전원
OFFᆢ 필요시만 ON예정ᆢ

점보프레임 비활성화하는 모토로 가구
두가지 구성 모두 사용하려는 매니지먼트스위치는 한개입니다.
참고로 UTP용 1G 업링크포트가 없는 매니지먼트 스위치도 하나더 추가로 보유중입니다.
                         
박문형 2024-07
전에 사용하였던 것이 스위치 허브 직결이기에

2번 구성으로 먼저 시도해보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술이 2024-07
1G 대역폭은 리얼텍도 전혀 문제 없구요 오히려 호환성 문제도 거이 없습니다. 인텔이 호환성 문제가 비일비재하게 많이 일어납니다.
USB 3.0 외장 리얼텍커 랜포트 부족으로 서버용도로 사용하는게 몇대 있는데 너무 안정적이여서 합격입니다.

인텔은 간혹 VMQ 문제로 가상화 이슈가 좀 있습니다. 윈도우 계열은 문제가 없는데 리눅스나 FreeBSD 이런쪽이 VMQ 이슈를 보이더라구요. 비활성 해야 문제 없는 경우도 있었습니다.(혹시나 성능 떨어질려나 했는데 다행히도 없음)

그리고 1G 정도 대역폭은 구지 점보프레임 그런거 건드리지 말고 기본값으로 쓰길 바랍니다. 그런거 건들여서 이슈되는 케이스도 흔해요.

2.5G 인텔 계열은 왜이리 쓰레기 같이 만들었는지 좀 당황했습니다.
     
핸즈 2024-07
말씀주신 USB 3.0타입의 리얼텍 유선랜도 사용하다가
트래픽 정체현상이 너무 심했어요ᆢ

단, 동기화되는 부분이 있는데 동기화는 안정적입니다만ᆢ

트래픽이 100kbyte 수준으로 나오는 빈도수가 너무 많아서 USB타입은 거릅니다ㅜㅠ
아래 버퍼 수신 발신 기본값 사용중ᆢ

Realtek USB GbE Family Controller (U1 RTL8153 칩셋)
Receive Buffers 16 / Receive URBs 6 / Transmit Buffers 16 / Transmit URBs 3



버퍼가 낮으니 트래픽도 낮아서
 정체되는 시간이 누적되면 제입장은 손해에요ᆢ
이상태로 컴을 1년 돌려봤는데 외장랜이나 내장랜
비교해보면 쓸게 못되드라고요ᆢ
          
술이 2024-07
USB 3.0 대역폭이 5G 인데 1G 랜카드가 무슨 정체현상이 발생하나요 말이 안되고 그건 OS 문제이거나 다른게 문제를 일으키는 겁니다.

10G도 아니고 겨우 1G 따위를 버퍼 이야기 할 요즘은 전혀 아니죠.
          
dateno1 2024-07
이것저것 너무 애먹이는게 많은거보면 OS의 설정같은거부터 의심해보셔야할꺼같아요
제온프로 2024-07
외부를 상대로 서비스를 돌리는 것에..

WSL + 도커

이런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하는데는 없습니다.  .. 느리기 때문에.

윈도우 위에  Hyper-V 로 리눅스를 돌리고 그 리눅스가 도커를 돌리고..

무거운 호스트 (느린가상화 엔진 (리눅스OS (가상화 (서비스) ) ) ) )

얼마나 번거롭겠나요..

그냥 리눅스에 도커만 해야지..

그리고 스위치와 랜카드의 점보프레임은 일치 시켜야 됩니다. ...... 끄면 않되요...
     
핸즈 2024-07
일단 저는 클라이언트측 '을' 입장이라ᆢ

사용중인 컴 호스트 윈도우 OS에

 WSL + 도커외에

메인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유저들에게 배포한 일반 윈도우용 프로그램이 하나가 더있어서요ᆢ

그 프로그램이 리눅스용 버전으로 대체해서
조만간 출시를 한답니다.

메이저 스위치는 사용안하고
IPTIME 6008-IGMP 허브 쓰고 있는데

점보 프레임 활성화시
1.통신사 모뎀 + 단자함내 통신사에서 꼽아놓고간 허브
2.통신사 공유기는 미사용중

1번은 점보프레임 지원유무도 불분명해서 꺼났어요ᆢ 미지원이거나 9014byte가 아닐수도 있고 제가 취급하는 순간 트래픽이 100메가이상 사용하는것도 아니어서요ᆢ
          
제온프로 2024-07
WSL 의 의미가..

윈도우 >> Hyper-V >> Linux 라는 의미 입니다.
     
핸즈 2024-07
제온프로님ᆢ 스위치와 랜카드의 점보 프레임은 다시 켜둘건데ᆢ 둘다 점보 프레임 9014byte 지원해요ᆢ

그런데 전 트래픽 이용률 수준이
윈도작업관리자 ㅡ성능ㅡ이더넷ㅡ
여기서 "보내기"가 최대로 9MB까진 그것도 어쩌다 한번 뜨긴 하고 평소에 "보내기" + "받기" 둘다 동시에
9MB / 9MB 도 떠요ᆢ 그이상은 뜨는일이 없구요

반면에 평소에는 노다지
보내기 346Kb
받기 160Kb
이런 수준으로 자주 터집니다.(제가 돌리는프로그램에서
 이정도 트래픽은 정상이라 바요 이런식으로 돌리는 컴이 10대 원격으로 보는데 트래픽 이용률이 통계대로면 평균 이렇다는것.)

제가 사용하는 트래픽대로라면 점보9014byte로 1년 돌려봤는데ᆢ오히려 받기 보내기 패킷이 시간이 지나면 어느시점부터는 받기 보내기가 100Kbyte 미만으로 고정되서
확떨어지는 문제가 있는데ᆢ

질문 입니다.
점보프레임 옵션을 활성화 할때 권장 하는
트래픽 이용률은 어느 수위 부터 사용하는게 낳을까요?
평균 트래픽이 최소 300MB 이상 자주있을때 키는게 낳은지요ᆢ? 아니면 트래픽이 byte든 Kbyte든 무시하고

 일단 켜볼까요?

점보는 내부망에서 유선연결시 PC끼리
대용량 파일 전송시 비약적으로 성능향상이 있다는 정보만 알고 있는데ᆢ 트래픽 1메가 수준 환경에서 쓰면 오히려 1MB 미만으로 나와서요ᆢ
김황중 2024-07
장애포인트가 많다보니 꼭 찝어내긴 어려우나
글쓰신 내용중에 답이 있을것 같습니다
동일 시스템 10대중 3대 이상

그럼 이 3대의 위치를 문제 없는곳과 바꿔보세요
바뀌었는데도 같은 지점의 문제가 계속 발생된다면
스위치 불량이나 회선 불량

문제점 발생지점이 다르게 나온다면
장애 PC장비나 장애PC의 프로그램 셋팅 문제

일단은 장애포인트를 찾으면서 시작하는것이 우선 아닐까 싶네요
핸즈 2024-07
댓글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가 되었어요ᆢ
좀더 집중하면 해결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핸즈 2024-07
박문형님











마지막 댓글 주셨는데요ᆢ
거기에 리댓글을 이젠 더이상 못달게 되있네요ᆢ

이곳 커뮤니티 점수가 미달되서 그런건지는ᆢ

암튼 저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요ᆢ

점보프레임 기능이 NW 필드에서 제대로 사용을 안하는
기능인거 같은데 그래서 사용하면 IDC 센터경우 트래픽
할증 요금만(방화벽차단) 오를테니 서버소유주만 불리해지니깐요ᆢ

암튼 점보는 대용량 트래픽에서 특화된 부스트업 기능이라
트래픽 빈도수가 낮은 서버에서는 역효과가 나는건 감으로
느끼는데 정확한 정보와 사례를알고싶에 반복적으로 댓글을 단겁니다. 

Z840에 인증된 HP 361T는 이곳 장터에 매물이 없어 네이바 블로그 타고 구했는데

중고 10만에 가상화 올라오는지ᆢ테스트후 입금 예정입니다. 어제 오늘많이 배우고 갑니다.

추가질문은 기회가 오면 또 올릴게요ᆢ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05/5724
2015-12   1761228   백메가
2014-05   5234883   정은준1
2024-07   2224   김황중
2024-07   1297   song05
2024-07   1877   삐돌이슬픔이
2024-07   1405   김황중
2024-07   2005   이창준
2024-07   1576   구차니
2024-07   1443   L2스위치
2024-07   1571   션한맥주
2024-07   1322   KWKIM
2024-07   1509   화정큐삼
2024-07   1251   무쏘뿔처럼
2024-07   1075   뚜뚜김대원
2024-07   4223   twopaik
2024-07   2241   핸즈
2024-07   1690   박문형
2024-07   2369   딥마인드
2024-07   1514   승리의샌디…
2024-07   1611   Sakura24
2024-07   1433   makeyz
2024-07   1362   Sakura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