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온 스케일러블 클럭 낮은거 가상화 사용할때 체감되는부분이 있나요?

   조회 1060   추천 0    

제온 목록 뒤져보다 Xeon Gold 6138이 20코어 40스레드에 TDP 125와트 정도라서 무난해보였는데 클럭이 기본이 2GHz 부스트가 3.7GHz정도로 생각보다 너무 낮아보이는데 단순히 윈도우 가상화 올리고 나스서버 굴리는 정도면 체감 안되는수준인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9
정보가 정확하지 않아서 모라 이야기 하기 힘들고 셋팅해서 돌려 봐야 알 수 있습니다..


어떤 가상화 OS를 사용하는지

어떤 OS를 몇개나 어떤 상태로 돌리는지

그 각각의 OS안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돌리는지

에 따라 다 틀려집니다..


가상화는 여러대의 컴퓨터가 돌아가는 것을 하나의 컴퓨터에 합쳐 버리는 것으로 각각의 여러대의 컴퓨터의 시스템 사양을 합친 것보다

한대의 시스템의 사양이 더 좋아야 됩니다..


그리고 리얼 타임으로 동작하는 게임 같은 것은 일반적으로 가상화에서 돌리기에는 부적절합니다..
박문형 2024-09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products/sku/120476/intel-xeon-gold-6138-processor-27-5m-cache-2-00-ghz/specifications.html

https://en.wikichip.org/wiki/intel/xeon_gold/6138

최대 터보 주파수는 구현하기도 어렵고 (셋팅도 따로 해야 하고) 1개의 코어가 최대 속도로 동작할 때 스피드입니다..

인텔 쪽에서 속도 이야기를 할 때 입다물고 이야기를 안하는 것이있는데 올코어 터보 주파수 입니다..

이것은 모든 코어가 최대 속도로 동작시 스피드를 이야기 합니다..

두번째 링크에서 올코어 주파수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자료가 있습니다.. 아마도 2.7GHz 인가 봅니다..

일반적으로 호스팅 회사에서 사용하는 CPU는 옛날부터 2.4GHz 제품을 재일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2.4GHz 이하로 동작하면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느리다라고 봐도 됩니다..

그리고 현재는 5GHz 가까히 속도가 올라가는 시스템도 있지만 옛날 기준에서는 3GHz 정도 되면 빠른 시스템으로 봐도 됩니다..

워크스테이션 같은 쪽은 프로그램에 따라 코어 갯수보다는 속도가 더 중요합니다..

워크스테이션쪽에 쓰이는 특수 전용 프로그램 (캐드 프로그램 등)은 아직까지 CPU코어 1개만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가격도 굉장히 비쌉니다.. (프로그램만 수천만원에서 억단위 되는 프로그램이 꽤 있습니다..)

VMWARE도 기업용 유료 버젼으로 가면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프로그램만 억 단위가 넘어갑니다..
dateno1 2024-09
체감 성능이 어떤지 궁금하시면 하이퍼바이저 깔기전에 해당 게스트 OS 깔아보세요

유물이 되어버린 스카이 + 3.7Ghz의 조합이니 체감 성능 기대하시면 안 됩니다

아직 하드웨어 구매전이라면 똑같이 스카이 + 부스트 3.7Ghz인 데탑용 시퓨 하나 사서 써보세요

호스트 전체 성능이야 코어 개수*클럭이겠지만, 체감 성능은 결국 싱글 코어 성능에 비례하니 윈10/11 돌려보면 꽤 한숨나옵니다 (요즘 모바일도 5Ghz 찍는 시대인데 저런 구형 + 낮은 클럭이니까요)

거기다 구형이 전성비 좋아보인다는건 성능이 형편 없다는 의미가 됩니다 (특히 올코어 클럭이 형편없다는 소리입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항상 신형이 구형보다 전성비 낫습니다)

서버같은거 돌릴꺼라면 체감 느려도 업데이트나 컴파일같은거 안 하는한 참으면 되니 문제 안 되겠지만, VDI같은게 목표라면 추천하고싶지 않습니다
Noname1 2024-09
gold 6138 올코어부스트가 2.7GHz라고 되어있는데
낮아보이진 않습니다;;;

윗 분 말씀대로 요즘데탑 5GHz는 하니 이거랑 비교하면 많이 느리긴하겠네요
     
dateno1 2024-09
2.7이라고 요즘 시퓨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저거 스카이입니다)

7~8년전 시퓨의 구형 아키텍쳐 + 낮은 클럭의 콤보입니다 (그래서 더 느립니다)

멀티코어 안 먹는 작업을 안 하더라도 그냥 부트 속도부터 느리다라고 느낄 수 있을 수준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11경우 은근히 무거워서 요즘 시퓨조차 터보 꺼버리면 (대충 저정도 클럭됨) 꽤 인내심 자극당합니다)

어느정도인지 궁금하시면 nonK 달린 데탑 켜서 터보 부스트 BIOS에서 꺼버린후 30분만 써보세요 (구형 시퓨니 그거보다 조금 더 느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Noname1 2024-09
커피레이크 i7 노트북 발열문제로 터보부스크 끄고 2.2GHz로 썼었는데 그거랑 비슷하겠네요.
그냥저냥 쓸만합디다..요즘 데스크탑환경 생각하면 취급해선 안 될 것 같군요
               
dateno1 2024-09
그나마 10이면 간단히 쓸 순 있는 수준이죠

다만 11 깔면 업데이트라던가 뭔가 무거운거 걸릴떄마다 한숨 나올꺼에요

요즘 빠른 컴 환경에 익숙해진 상태에서 그런 속도 쓰라고하면 혈압 오를꺼같음
          
항공모함 2024-09
흠 그럼 쓸만할지도요 학교에 비치된 컴퓨터가 딱 스카이레이크 i7이였던걸로 기억하고 그거써본결과 인터넷이 상당히 느려서 문제였지 CPU로 느리다고는 생각은 안들었어요
               
dateno1 2024-09
그건 터보 부스트 걸려서 3.5~4기가쯤 나올떄 성능일테니 그거보다 조금 더 낮은 수준이라 생각해주세요

인터넷이나 문서 작업같은건 괜찮을껀데,  영상 재생만 해도 힘들어할꺼에요 (이게 그래픽 하드웨어 가속이 되는 리얼머신과 가장 차이나는 부분인데, 그래픽 할당 안 해주면 조금만 그래픽 부하 걸리면 시퓨 쭉쭉 빨아당깁니다)

그래픽 가속 안 되면 무조건 다 시퓨로 처리하는데, 반투명 창만 잡고 흔들어도 몇백Mhz쓰던게 난대없이 기가단위로 빨아당깁니다
                    
항공모함 2024-09
어 그럼 구형 GTX라도 하나 장착해야하는 수준이려나요?
                         
dateno1 2024-09
여러대 할당할꺼면 가상화 가능한거 쓰시고, 소량이면 쿼드로가 나을꺼에요
                         
항공모함 2024-09
집에 RTX TITAN은 있는데 예는 전기 너무 많이먹어서 안되니깐 쿼드로또 알아봐야되나
술이 2024-09
코어가 많아서 느리진 않아요. 대신 클럭빨이 후달려서 빠르게 처리하는건 없어요. 저 시퓨 여러개 사용하고 있는데 부하걸려서 느려지는건 없어서 좋긴 하지만 빠릿한 그런게 전혀 없기 때문에 그냥저냥 고만고만하게 씁니다. 가성비는 최고죠. 저기 시퓨가 살짝 아쉬워서 6140으로 쓸려고한게 있긴 있습니다.
3.7G 부스터클럭 안나오구요 펌웨어 업데이트 안된 서버만 3.0 정도 뽑아주드라구요. 업데이트 된놈들은 2.7G 맥스 고정 됩니다.
     
항공모함 2024-09
이건 신기하네요 펌웨어 업데이트 유무로 3.0뽑을수도 있고 2.7맥스고정이라는게


QnA
제목Page 76/5726
2014-05   5246791   정은준1
2015-12   1772091   백메가
2024-09   1476   뚜뚜김대원
2024-09   1737   펜스리
2024-09   1065   osthek83
2024-09   1039   강프로
2024-09   1244   나나나나나
2024-09   1299   파란스머프
2024-09   1287   핸즈
2024-09   930   미수맨
2024-09   1246   안토니오반만
2024-09   1073   dateno1
2024-09   1033   바다늑대
2024-09   1143   냐미냐미
2024-09   1094   엠브리오
2024-09   1305   이승익
2024-09   1372   짱님
2024-09   1497   narumir
2024-09   1078   항공모함
2024-09   1061   항공모함
2024-09   1136   Sakura24
2024-09   1188   이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