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760 |
25 |
2015-12
179376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756 |
0 |
2014-05
5268756
1 정은준1
|
113199 |
HP z1G9에서 Rocky linux 설치가 가능할까요? (4) |
나는난난나다 |
2024-10 |
1261 |
0 |
2024-10
1261
1 나는난난나다
|
113198 |
VMware workstation에서 드라이브 연결 문의 (15) |
이창준 |
2024-10 |
1035 |
0 |
2024-10
1035
1 이창준
|
113197 |
혹시 회원님들 중에서 중국산 전기밴 타시는 분 계신가요? (11) |
정은준1 |
2024-10 |
1900 |
0 |
2024-10
1900
1 정은준1
|
113196 |
엔비디아 옵틱스 (레이트레이싱) 유료 교육이 있을까요?? (2) |
Landa |
2024-10 |
1128 |
0 |
2024-10
1128
1 Landa
|
113195 |
차가 오래 되니까 별게 다 신경 쓰이네요. 라디오가 잘 나오다가 리어 열선만 켜면 (5) |
신은왜 |
2024-10 |
984 |
0 |
2024-10
984
1 신은왜
|
113194 |
요즘 수랭 쓸만한가요? (23) |
액체와컴퓨터 |
2024-10 |
1880 |
0 |
2024-10
1880
1 액체와컴퓨터
|
113193 |
미니pc만들 itx 보드 추천바랍니다 (12) |
김민수2 |
2024-10 |
1311 |
0 |
2024-10
1311
1 김민수2
|
113192 |
HP Z840 BIOS UPGRADE 과정에 뻑났을때 대응 방법 아시는분? (3) |
gebi |
2024-10 |
1686 |
0 |
2024-10
1686
1 gebi
|
113191 |
하드디스크 인식 불가 또는 느림 TT (5) |
무쏘뿔처럼 |
2024-10 |
1359 |
0 |
2024-10
1359
1 무쏘뿔처럼
|
113190 |
[컨설팅] hci 외산장비 도입하려는데 솔루션이 좋을까요? (3) |
김진관 |
2024-10 |
702 |
0 |
2024-10
702
1 김진관
|
113189 |
본체에서 듀얼 사운드바 사용할 방법이 있나요? (13) |
전일장 |
2024-10 |
1190 |
0 |
2024-10
1190
1 전일장
|
113188 |
대용량 HDD 볼륨 소용량 SSD를 조합해서.. (22) |
isaiah |
2024-10 |
1318 |
0 |
2024-10
1318
1 isaiah
|
113187 |
RAID 카드 배터리 리필 문의 (19) |
아마데우쓰 |
2024-10 |
1190 |
1 |
2024-10
1190
1 아마데우쓰
|
113186 |
RAID 카드 배터리 리필 문의 (1) |
박문형 |
2024-10 |
719 |
0 |
2024-10
719
1 박문형
|
113185 |
퇴직금 세금... (5) |
Rich |
2024-10 |
1136 |
0 |
2024-10
1136
1 Rich
|
113184 |
시놀로지 NAS 공유폴더 볼륨 변경 관련 문의 (2) |
L2스위치 |
2024-10 |
923 |
0 |
2024-10
923
1 L2스위치
|
113183 |
775 개조제온에다Nvme 장착할려고 하는데 (10) |
미래1 |
2024-10 |
1248 |
0 |
2024-10
1248
1 미래1
|
113182 |
UPS 문의 드려봅니다 (8) |
romanee |
2024-10 |
1070 |
0 |
2024-10
1070
1 romanee
|
113181 |
aruba instant on 장비(AP)에서 크롬캐스트 연결 오류 (2) |
딸긔꼬마 |
2024-10 |
1217 |
0 |
2024-10
1217
1 딸긔꼬마
|
113180 |
hp 또는 델 어댑터 변환젠더 써보신분 .. (9) |
2CPU최주희 |
2024-10 |
1173 |
0 |
2024-10
1173
1 2CPU최주희
|
데이터 다 깨지고 나서 눈물 흘리는 방식을 상상하고 있는겁니다. 데이터 쓰기는 바로바로 적용을 해야되고 캐싱을 이용하면 읽기 캐쉬가 죄다 SSD로 들어가서 하드 IO는 적어지긴 하겠으나 디스크를 절전모드로 동작하면서 데이터 크래쉬 나는 위험성은 없어야 됩니다.
작동방식 자체가 안정성을 떨어뜨릴것 같은 구조는 아닌데 안정성이 좋지 않나 보군요.
안타깝게도 원하시는 기능에 딱 맞는 솔루션은 없습니다.
배터리 같은 걸로 보호되는 램디스크 같은 걸 만들어 놓고 별도로 그런 기능을 구현한다면 혹시나?
https://ko.wikipedia.org/wiki/I-RAM
ssd 를 지우는 방식으로 스크립트 짜는 방법도 검토해보세요..
꽤 수요가 있을 법한 작동방식이라 자동으로 영리하게 작동하는 뭔가가 있을 줄 알았는데 의외네요.
백업이 필요할 때 주기적으로 HDD 로 백업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다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원하시는건 SSD+HDD 로 구성해놓고 SSD캐시를 활용하려고 하시는 것 같은데요.
헤놀로지에서 SSD캐시 잡는 것과, TrueNAS 에서 ZFS를 쓰면서 L2ARC를 SSD 캐시로 잡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자주쓰는 데이터는 SSD를 쓰겠지만, 지정한 시각에 HDD로 넣도록 동작하게 설계는 되지 않은것 같습니다.
ZFS 사용하는 스토리지 구축시 메모리 용량을 크게 가져가면 되지만 아무래도 비용이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메모리 용량을 크게 키워도 이 메모리에 데이터가 가득차면 어짜피 디스크 억세스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애초에 메모리 마구 할당한다고 해서 디스크 IO의 빈도가 줄어드는 형식이 아닌것 같아서 염두에 두고 있지 않습니다.
SSD로 구성된 저장소를 정해진 룰로 HDD로 구성된 저장소로 백업...
뭔가 뭔가 내가 신경 안써도 합처서 신박하게 돌아가는 그런게 있을것 같았서 찾고 있습니다.. 뭐 없나 보네요.
Data Tiering 기술은 Hot Disk 와 Cold Disk 로 다 계층화 해서,
Hot Disk(SSD) 에서는, 일반적으로 입출력이 빠른 SSD 나 NVME 에 데이터로 우선 데이터를 입/출력을 하고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적은 데이터를 Cold Disk(HDD) 로 내려 보내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이는 HDD의 스핀들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가 아닌 대용량 스토리지에서 입출력을 빠르게 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대부분의 HCI 솔루션들도 이런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만, 최근에는 All Flash 의 경우로도 많이 나오는데,,
요즘은 SSD나 NVME가 싸져서 굳이 HDD를 쓸 이유가 없기 때문에 All Flash 로도 많이 제안됩니다.
시(헤)놀로지 의 경우에도 이런 캐쉬기능을 위해서 SSD 를 장착해 인/아웃풋을 개선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Logic은 모르겠습니다.
관련 무료나 비 상용 Solution 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대체적으로 상용 스토리지의 경우 해당 기능을 거의 가지고 있습니다.
최종요구 구현내용은 : HSM(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같아보이네요.
Cache 동작은 사용자가 Flush에 직접적으로 시간과 데이터에 관여하는 구조는 아니라서
페이지 단위 플러쉬(2KB, 8KB, 16KB, 또는 64KB)
파일기반 HSM을 구현하시려면 상용SW도 제법 있는데 대부분 자체 구현해서 쓰는게 편할겁니다.
예전에 느려터진 ODD나LTO로 HDD있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옮길때 HSM구현 SW들이 제법있기는했습니다.
요즘은 사업성이 떨어져서 찾아보기 힘들겁니다.
Caching 이나 Tiering 기능을 쓰는건 느려터진 HDD에 좀더 부스터를 달아주는 개념이 더큽니다.
파일기반 HSM을 구현하시는 방법은 하기 나름인데 손이 많이 갑니다.
간단하게 회원님들이 말씀하신것처럼 주기적으로 증분백업이나 마이그레이션 하시는게 안전합니다.
그게 귀찮으시고 자동화를 원하시면 메타정보를 참조해서 바뀐 파일만 찾아서 별도 hdd풀로 넘겨야 하는데
메타데이터 기반 파일시스템 개발하시면 되지 싶습니다.
그러나 캐슁메모리로 사용하는 SSD는 읽기 쓰기가 극심하기에 수명이 짧고 이 때문에 SSD는 MLC 타입의 기업용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SSD가 죽어버리면 속도면에서 답이 안나오기에 두개이상을 설치해서 미러링 셋팅해 사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위의 언급한 제품들은 현재 다 단종이고 SSD도 어디까지 지원하는지 모르기에 우선 모델 확인후 메뉴얼이나 설치 가이드 부터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
현재 최신 레이드카드는 HDD 보다는 NVME 지원 성격이 강하고 캐쉬 메모리도 8GB까지 탑재되기에 옛날 레이드 카드와는 많이 다릅니다..
딱히 빠른건 아니였지만 쓰다보면 가끔씩은 꽤 빠르다고 느껴지는 순간들이 있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