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8542 |
25 |
2015-12
175854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1858 |
0 |
2014-05
5231858
1 정은준1
|
113416 |
헤놀러지 6.2.4 설치 이미지나 관련 파일 다운 가능한곳이? (5) |
쌍cpu |
2024-11 |
861 |
0 |
2024-11
861
1 쌍cpu
|
113415 |
올 플래쉬 NAS 제조사는 어디 어디가 있나요?? (14) |
박문형 |
2024-11 |
1074 |
0 |
2024-11
1074
1 박문형
|
113414 |
FAN 40mm 13000RPM 소음 감소 방법 문의 (9) |
흥마 |
2024-11 |
851 |
0 |
2024-11
851
1 흥마
|
113413 |
알리 쿠폰어떻게쓰나요? (7) |
행복하세 |
2024-11 |
804 |
0 |
2024-11
804
1 행복하세
|
113412 |
구형 amd 서버 sata 속도가 너무 안나옵니다. (7) |
김한국2 |
2024-11 |
1005 |
0 |
2024-11
1005
1 김한국2
|
113411 |
HPE 서버 정비.. (4) |
박문형 |
2024-11 |
1044 |
0 |
2024-11
1044
1 박문형
|
113410 |
4gpu 가능한 화이트 보드 있을까요? (2) |
nami |
2024-11 |
664 |
0 |
2024-11
664
1 nami
|
113409 |
hp dl360 gen 10 메모리 오류 문제 (7) |
horipu |
2024-11 |
816 |
0 |
2024-11
816
1 horipu
|
113408 |
나스 내부 연결망 환경에서 네트워크 바로가기 만들기 문의 (3) |
아마카시 |
2024-11 |
1196 |
0 |
2024-11
1196
1 아마카시
|
113407 |
z640 본체 램 호환 권장이.. (4) |
허밍버드 |
2024-11 |
785 |
0 |
2024-11
785
1 허밍버드
|
113406 |
넷플릭스/유튜브 4K 지원되는 안드로이드 TV박스 추천해주실 분 있을까요? (10) |
NaHS |
2024-11 |
957 |
0 |
2024-11
957
1 NaHS
|
113405 |
게시판이동) 사진 有: 서울 내 리눅스 유지보수 업체 있을까요 연구실 컴터가 고장낫… (21) |
transpose |
2024-11 |
1109 |
0 |
2024-11
1109
1 transpose
|
113404 |
뇌를 컴퓨터에 이식하려면 사양이 어느정도여야 할까요? (9) |
소이치로 |
2024-11 |
874 |
0 |
2024-11
874
1 소이치로
|
113403 |
아이언맨 자비스를 집에서 만들려면...... (6) |
냐미냐미 |
2024-11 |
1066 |
0 |
2024-11
1066
1 냐미냐미
|
113402 |
x11sra-ra 에서 emulex 10gb 멈춤 현상 (7) |
금콩커피 |
2024-11 |
868 |
0 |
2024-11
868
1 금콩커피
|
113401 |
3D 마크 돌리면서 테스트 그래프가 꽉 안 찬 경우는 첨이여서요.. (3) |
허밍버드 |
2024-11 |
789 |
0 |
2024-11
789
1 허밍버드
|
113400 |
엑셀에서 타임코드 형식의 값에 1분 혹은 1초씩 더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5) |
회원 |
2024-11 |
910 |
0 |
2024-11
910
1 회원
|
113399 |
정녕 시놀러지 918+는 DSM 6.2.4를 설치할 수 없을까요? (11) |
쌍cpu |
2024-11 |
1412 |
0 |
2024-11
1412
1 쌍cpu
|
113398 |
pmr, epmr (5) |
미담 |
2024-11 |
957 |
0 |
2024-11
957
1 미담
|
113397 |
ddr5 256(64x4) 메모리가 나온게 있을까요? (9) |
naan |
2024-11 |
967 |
0 |
2024-11
967
1 naan
|
대충 HW쪽인지, SW쪽인지 파악은 되지 싶습니다.
엠브리오님 주말 출동하시면 되겠네요. 엠브리오님께 쪽지보내보세요.
앞으로 컴터수리에 리눅스 만지작 가능 및 데이터복구 능력 우수하면 경쟁력이 있겠네요.
제가 복구전문업체도 아니고..ㅋㅋ
게다가 게시글을 본게 너무 늦은 시각이라..
그리고 이미 복구 했을런지도? ㅎㅎ
좋을 것 같습니다.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원래 그런거 만지는 사람들이니...
파일이 없다고 하는 것을 보니.
하드 드라이브 구조나 파티션 문제로 되었습니다.
이제는 드라이버 문제가 아닙니다... 이건 그 다음 문제이고.
우분투가 망가져서
복구해야 되네요.
1) 라이브 부팅후 콘솔로 접근해서
/dev/nvme0n1p2 파티션 상태가 현재 어떤지 체크해보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ext4 root filesystem쪽에 손상이 있거나 initramfs, /etc/fstab에 변화가 있으면 수정해야 합니다.
부팅과정에 보면
fsck.ext4 -a -C0 /dev/nvme0n1p2 돌다가 read-only로 마운트 시켰네요
root filesystem read-only로 올라오면 부팅과정에 문제가 생기긴 합니다.
2) /dev/nvme0n1p2 파일시스템 손상이 있으면 강제 복구해야 하는데
복구하다가 가끔 사라지는 파일도 있으니 중요 데이터는 Live USB 상태에서
네트워만 구성 살려서 다른쪽을 백업을 받아놓은후에
/dev/nvme0n1p2 를 심페소생 시켜야할것 같네요.
3) ext4 강제 복구모드로 돌리는 옵션은 -f 입니다.
4) /etc/fstab 파일을 열어 마운트 옵션을 확인하고, /dev/nvme0n1p2 가 ro 옵션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uuid 확인방법
# blkid /dev/nvme0n1p2
5) grub/initramfs 쪽이 꼬여서 문제인거면 재설치하는게 낳습니다.
몇번 콘솔로 접근해서 try 해보시고 안될것 같으시면
일단 데이터가 없는 root filesystem 영역이면 구성정보만 백업받으시고 재설치 하시는게 빠를것 같네요.
grub 구성정보도 요즘 복잡하게 만들어놔서 꼬인상태이면 initramfs도 물려있어서 풀기가 복잡합니다.
동네 컴수리점에서 빅데이타분석 프로그램 설치 오류를 복구할수 있다면
다른 업종을 하겠죠
또한 동네 컴수리점이 하드웨어 장애교체가 아닌
OS와 솔류선 관련 이슈를 해결할 능력이 있다면
MS 기술지원팀이나 레드헷 지원팀에 가 있거나
유지보수업을 동네가 아닌 전국구로 하겠죠
제일 빠른 방법은 그동안 잘 돌고 있었을테니
문제를 일으킨 사람이 문제를 발생시킨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를 정상일때의 버전을 찾아서
역으로 재설치하면 됩니다
하지만 고장낸 사람이 자기가 뭐를 해서 문제였고
역으로 다시 원복할수 있다면
이런글을 쓰실 이유도 없었겠죠
마지막으로 제일 빠른 해결방법은
저의 경우라면 클린설치입니다
이런부류의 경우
남이 해 놓은건 한가지만 꼬여도 찾고 해결하는데
클린설치보다 몇배의 시간이 걸릴수 있습니다
최초 해당 분석프로그램을 설치해 납품했던 업체 찾으셔서
그 업체에 부탁하시는것이 가장 빠른 해결책입니다
근데... 혹시해서 물어보지만
해당 장비의 구입과 분석프로그램 설치를
동네 컴 수리점에서 하신것일까요?
완전 포맷한 새로운 SSD를 하나 꼽아서 적당한 최신버전 우분투를 USB에 하나 구워서 재설치를 시도해볼 것 같습니다. 아니면 마음 편하게 윈도우 깔거나요.
재설치 없이 복구가 힘들정도로 꼬아버렸네요 (복구하는거보다 재설치가 빠를 수준)
조금 이상할떄 손되지 말고 맡기면 그나마 커널만 복구하거나해서 해결했을껍니다
중요한 데이터가 들어 있다면 백업부터 하는게 먼저일듯 싶군요.
이미 복구는 힘든 상태인 것 같고 재설치 하시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일 듯 싶습니다.
다른분들 조언데로 빨리 중요한 데이터부터 백업을 받고
OS 재설치 후 작업환경 재구성 하시기 바랍니다.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와 맞물려 initramfs 부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저도 경험 했었습니다. grub 복구 모드 진입 후 CLI 에서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를 삭제하고 grub 명령어를 사용하여 initramfs 을 재 생성해야 부팅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마도 장비는 3~5년 정도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부팅 SSD가 못견뎌서 깨졌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장비는 데이터 추출후 대청소한다고 생각하고 오버홀 하시고 부팅 SSD는 다시 사용 가능한지 점검/확인/테스트 후 이상 없으면 다시 사용해도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새 제품 구해서 OS/프로그램 셋팅하세요..
GPU 서버는 전기도 많이 먹지만 그만큼 열도 많이 나기에 전반적으로 일반 서버보다 수명이 짧습니다..
부팅디스크 교체하고 os와 프로그램 재설치하셔야 하고요.
만일 재설치해도 증상 재발하거나, 어떨때 /sbin/init 못찾고 어떨때는 다른 파일 못찾는다고 나온다... 이경우는 최악입니다. 그냥 장비 바꾸는게 낫습니다.
노후화로 디스크 컨트롤러(보통 칩셋에 있음)나 메인보드의 기타 장치, CPU 고장까지 의심할 수 있으니.
동네 컴 수리점들은 윈도우만 깔 줄 아는 곳이 대부분이라 가면 일만 더 크게 만듭니다.
부를려면 공급해준 벤더 엔지니어 부르는게 낫습니다. 조립 컴퓨터라면 저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벤더사 엔지니어 부르시는게 낫습니다. 돌리는 소프트웨어가 리눅스를 요구한다면 그쪽 엔지니어들도 리눅스 알고 있을테니 보고 어떻게 할지 가이드는 해 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