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9865 |
0 |
2014-05
524986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5172 |
25 |
2015-12
1775172
1 백메가
|
113682 |
암호화폐 무지한 질문... (12) |
회원 |
2024-12 |
842 |
0 |
2024-12
842
1 회원
|
113681 |
Broadcom HBA 9400-16i 에 케이블은 뭘 쓰면 되는지요? (8) |
미수맨 |
2024-12 |
681 |
0 |
2024-12
681
1 미수맨
|
113680 |
윈도우 cmd에서 ftp 전송 문의 드립니다. (6) |
팔코 |
2024-12 |
1078 |
0 |
2024-12
1078
1 팔코
|
113679 |
메일을 오프로드에서 .... 온라인 처럼 사용 가능한가요? (7) |
밥알1김형근1 |
2024-12 |
776 |
0 |
2024-12
776
1 밥알1김형근1
|
113678 |
SATA SSD 커넥터 파손 수리 관련. (13) |
딸긔꼬마 |
2024-12 |
1027 |
0 |
2024-12
1027
1 딸긔꼬마
|
113677 |
어떤게 가성비 nas일까요? (29) |
원탱이방굴이 |
2024-12 |
1416 |
0 |
2024-12
1416
1 원탱이방굴이
|
113676 |
MegaRAID 9361-8i 비프음 4번 반복에 인식 불가 문제 문의드립니다. (14) |
Kaos |
2024-12 |
981 |
0 |
2024-12
981
1 Kaos
|
113675 |
윈도우11 업그레이드가 업데이트 화면에서 아직 안되네요 (16) |
범이님 |
2024-12 |
1065 |
0 |
2024-12
1065
1 범이님
|
113674 |
요즘 해석용 워크스테이션 CPU는 어디가 대세일까요 (5) |
neapolitan |
2024-12 |
1107 |
0 |
2024-12
1107
1 neapolitan
|
113673 |
(납땜 질문) 헤더핀 납땜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18) |
우제 |
2024-12 |
1172 |
0 |
2024-12
1172
1 우제
|
113672 |
노트북 추천해주세요 (4) |
영산회상 |
2024-12 |
828 |
0 |
2024-12
828
1 영산회상
|
113671 |
NAVIX 다운 받아보신 분 있나요? (10) |
통신버필 |
2024-12 |
1086 |
0 |
2024-12
1086
1 통신버필
|
113670 |
NAVIX 다운 받아보신 분 있나요? (4) |
박문형 |
2024-12 |
1139 |
0 |
2024-12
1139
1 박문형
|
113669 |
[완료] (9) |
꾸띠웍 |
2024-12 |
866 |
0 |
2024-12
866
1 꾸띠웍
|
113668 |
이거 쓸만 할까요? (6) |
Sakura24 |
2024-12 |
847 |
0 |
2024-12
847
1 Sakura24
|
113667 |
storj 를 백업용으로 쓰려는데 질문드립니다. (코인아님) (3) |
검은콩 |
2024-12 |
775 |
0 |
2024-12
775
1 검은콩
|
113666 |
스마트폰 방전 후 무선충전되나요? (4) |
Noname1 |
2024-12 |
716 |
0 |
2024-12
716
1 Noname1
|
113665 |
온라인 중고거래가 별로 없는 물품의 시세를 알아 볼 방법이 있을까요? 온라인 장터? (15) |
농부76 |
2024-12 |
888 |
0 |
2024-12
888
1 농부76
|
113664 |
cpu점유율과 온도 질문좀 하겠습니다. (5) |
Papi |
2024-12 |
863 |
0 |
2024-12
863
1 Papi
|
113663 |
구글 제미니에서 음성 대답 끄는법? |
미수맨 |
2024-12 |
773 |
0 |
2024-12
773
1 미수맨
|
팁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해서 팁이 눌어붙거나 타면 납이 팁에 안붙습니다..
납땜은 많이 해볼수록 기술이 늘기는 합니다..
능숙하신 분들은 자기가 원하는 납과 인두 그리고 온도가 있습니다.. (이 온도는 메뉴얼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많이 해보면서 정해지는 것입니다..)
납은 무연납인가요?? 아니면 유연납인가요??
420도의 온도 설정은 무엇을 기준으로 한 것인가요??
페이스트나 플럭스 등은 사용하시나요??
420도로 둔 기준은 딱히 없습니다.
헤더핀에 안 대고 있을 때는
팁에 납이 잘 붙기는 합니다,
팁에 납을 녹인 상태에서 납을 헤더핀에 대자마자 굳어버리는것도 말씀주신 그러한 문제일까요??
페이스트 플럭스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납이 잘 흐를려면 페이스트를 발르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보통 실납 가운데에 페이스트가 들어 있습니다..
헤더핀에 대자마자 굳어버리는 것은 납땜기 용량이 작아서 일 수도 있습니다..
대략 최소 50W 이상 납땜기가 사용하기 편하고 중급 이상되게 되면 70W 급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마 교제로 사용되는 저가형 인두도 20W는 되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https://hakkomall.com/goods/catalog?page=1&code=0001&popup=&iframe=
국내에서 아마 재일 많이 알려진 것이 하코 인두기 인데 온도 조절 안되는 제품도 20W에서 시작합니다..
그걸론 거의 아무것도 못할꺼에요
https://www.youtube.com/watch?v=vCZGDcUMhAU
https://www.youtube.com/watch?v=JADI1N-K9Yc&t=738s
https://www.youtube.com/watch?v=5ROYKfcwudU
https://blog.naver.com/roboholic84/220608565801
https://kbdlab.co.kr/index.php?mid=board_CDST33&document_srl=122815
https://m.blog.naver.com/jogog/222071669182
능숙하신 분은 페이스트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말로 고수일수록 페이스트 사용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건 좀 옛날 말이라고 봐야 하고요..)
페이스트는 몸에 안 좋습니다.. (일종의 발암 물질)
땜납 작업시 환기가 잘 되게 하고 연기는 최대한 마시지 말아야 하며 작업 후에는 손을 깨끗히 씻으세요..
아버님이 납땜을 하셨다면 그때 사용하였던 납땜 도구들이 아마 있을 것입니다..
아버님께 기술 전수 받아보세요..
더해서 8w인두기도 한몫 할겁니다. 가뜩이나 실납도 저질이라 플럭스를 듬뿍 바르고하면 플럭스가 인두기 온도를 낮춰 버리는 효과마져 생기니 납땜하다가 멘탈 나가버리죠.
굵은거랑 가는것 제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일단 플럭스 없이 녹여보고, 안 녹으면 조금 바르고 다시 해보세요
좀 익숙해지면 저절로 감이 오긴할껍니다
납은 유연납 (Pb/Sn 60:40, or 63:37), 브랜드는 케스터, 알파메탈, 희성, 0.8mm 제품 (Rosin Core)
인두팁은 T12-B
인두는 TS100 (알리 등에서 팝니다.), 60-70W 정도
솔더 페이스트의 경우는 안 쓰는 게 제일 좋지만, 가끔 납의 퍼짐성이 좋지 않은 경우 어쩔 수 없이 쓰는 경우가 생깁니다. 쓰실 경우 깨끗하게 IPA 99%로 닦아내시면 됩니다.
납을 녹일 땐 팁을 부품 다리(Lead)와 실장면(Pad) 사이에 대고, 밀어넣듯이 납을 녹여넣습니다.
가끔 잘 안 녹는 경우는 열전도를 늘리기 위해 인두팁에 납을 조금 먹여두어도 됩니다.
꼭!! 환기는 필수입니다.
싸구려 납 쓰시면 저런 경우가 만고, 희성 알미트 kr-19ra 구하셔서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T12 위주로 정착한지 몇년 됐지만 1~20년 전에는 25w 짜리 세라믹 인두로도 작업들 다 했었습니다.
위의 것 하나 작업을 위해서 납땜 장비를 구매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돈 낭비일 수 있습니다..
아시는 분중에 납땜하시는 분에게 작업을 의뢰해서 작업하던지 어떤 장비를 구하는 것이 좋은지 문의해보는 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납땜용 납도 1KG 단위면 돈이 꽤 나갑니다..
그 외 일제,독일제 등의 납땜 인두기는 의외로 짝퉁이 꽤 있습니다..
https://www.comsmart.co.kr/cmart/shop/list.php?ca_id=h050&sort=&sortodr=&page=1
일종의 가성비 제품을 구하신다면 ProsKit 제품 알아보세요..
전반적으로 이 회사 제품은 가성비제품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제품이 대만산이라 품질이 최소 중간은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