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3524 |
0 |
2014-05
523352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9911 |
25 |
2015-12
1759911
1 백메가
|
65177 |
모니터를 사려는대[수정] (6) |
방o효o문 |
2016-03 |
7148 |
0 |
2016-03
7148
1 방o효o문
|
65176 |
centos 뭐 쓰시나요? (9) |
초보IT |
2016-03 |
7283 |
0 |
2016-03
7283
1 초보IT
|
65175 |
USB 포트가 연결이 잘 안되거나 끊기는 증상이 있습니다. (4) |
인디고 |
2016-03 |
10558 |
0 |
2016-03
10558
1 인디고
|
65174 |
windows 10 업그레이드 관련 궁금입니다. (7) |
김민성 |
2016-03 |
8104 |
0 |
2016-03
8104
1 김민성
|
65173 |
서버같은데는 sas 2.5인치를 쓰는데 이유가 있나요? (17) |
sffbig |
2016-03 |
9929 |
0 |
2016-03
9929
1 sffbig
|
65172 |
메모리 한판은 몇개 인가요? (5) |
한효석 |
2016-03 |
4075 |
0 |
2016-03
4075
1 한효석
|
65171 |
파워 상태가 정상인가요? (4) |
Wyse |
2016-03 |
4305 |
0 |
2016-03
4305
1 Wyse
|
65170 |
이것까지 알까 싶지만 혹시 몰라문의드려요.. (2) |
쁘삐 |
2016-03 |
4346 |
0 |
2016-03
4346
1 쁘삐
|
65169 |
상가 주택인데 쓰레기 무단 투기로 골머리 아픕니다... (5) |
stones |
2016-03 |
4371 |
0 |
2016-03
4371
1 stones
|
65168 |
ptz ip camera 관련 질문드립니다. (4) |
이선호 |
2016-03 |
5859 |
0 |
2016-03
5859
1 이선호
|
65167 |
Dell PowerEdge T20 four more 2.5" drives 구할 수 있는 방법? (6) |
아스란 |
2016-03 |
5413 |
0 |
2016-03
5413
1 아스란
|
65166 |
브로드컴 칩셋의 pcie 1x 듀얼 랜카드인데...이게 시스템 특성을 타나요? (3) |
김건우 |
2016-03 |
4069 |
0 |
2016-03
4069
1 김건우
|
65165 |
Perl에서 Thread::Pool 모듈 사용해보신 분 계시나요? |
e5472 |
2016-03 |
4488 |
0 |
2016-03
4488
1 e5472
|
65164 |
미국 이베이에 있지만 실제는 유로화로 계산해야되는(독일제품)은 어떻게 구매해야되… (4) |
김건우 |
2016-03 |
4536 |
0 |
2016-03
4536
1 김건우
|
65163 |
ide 하드에 배드가 생겨서. 안될수도 있지만 복구를 해보려는데... vista 파일시스템… (2) |
김건우 |
2016-03 |
6902 |
0 |
2016-03
6902
1 김건우
|
65162 |
Windows 10 이냐 Windows 8.1 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9) |
나파이강승훈 |
2016-03 |
6175 |
0 |
2016-03
6175
1 나파이강승훈
|
65161 |
laravel 설치를 위한 composer 설치 (2) |
회원K |
2016-03 |
4091 |
0 |
2016-03
4091
1 회원K
|
65160 |
블루스크린이 계속 뜨는데 화면좀 봐주세요.. (6) |
이정동 |
2016-03 |
4507 |
0 |
2016-03
4507
1 이정동
|
65159 |
LSI Raid card 에서 Smart Info 보기 (4) |
나우마크 |
2016-03 |
4464 |
0 |
2016-03
4464
1 나우마크
|
65158 |
혹시 이런 ffmpeg 쉘 스크립트 짜주실 수 있으신가요? 사례하겠습니다. (10) |
두리안 |
2016-03 |
8430 |
0 |
2016-03
8430
1 두리안
|
한국내에서 벤더서버가 2.5인치가 많이 쓰이며
조립서버는 2.5인치가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더 많은 수의 HDD가 들어가면 raid를 더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hot spare 등의 설정도 쉽기 때문입니다.
sas를 쓰는 이유는 hdd의 속도가 sas가 높기 때문 입니다.
sas 3.5인치는 15k 속도지만 sata는 7.2k 입니다.
10k, 15k rpm의 고속으로 도는 만큼 충격과 진동에 유리한 제품이 선호됩니다
즉 SAS 는 SCSI 에서 확장된 만큼 기존에 SCSI 가 ATA 에서 비해 가지고 있었던 잇점을 그대로 가져갑니다.
SCSI 가 ATA 보다 좋은 점은 DISK I/O 현상에 의한 CPU 인터럽트가 현격하게 줄어드는 동시에 대역폭 역시 SCSI 가 ATA 보다 더 효율적입니다.
제 아무리 빠른 CPU 라 한들 DISK I/O 속도에 의해서 CPU 인터럽트 콜이 자주 걸리게 되면, 전체적인 성능이 저하됩니다.
SAS 디스크를 아직도 많이 쓰는 이유는 빠른 CPU 에 SATA3 6Gbps 면 작은 대역폭은 아닙니다만, 기존에 SCSI가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굳이 SATA를 고집할 이유도 없기 때문입니다. (SATA 디스크가 SAS 디스크보다는 쌉니다만, SAS 풀베이를 구성해도 외부 디스크를
사서 FC나 iSCSI 로 붙이는 것보다는 훨씬 쌉니다. )
2. 2.5" SFF 는 윗분들 의견이 정확합니다.
2.5인치 하드던 3.5인치 하드던 플레터 자체는 뜯어보면 2.5인치입니다.
3.5인치 플레터 15Krpm 하드는 현재 없습니다..
이유는 헤드와 플레터를 만드는 기술이 아직 거기까지는 못 만들기 때문입니다..
가져가면 탐색시간도 짧아지는 효과 때문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프로토콜이 안정적이다 ? 그럼 완전 하지 않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것을 제품으로 팔고 있고 사서 쓴다는 말인가요?
물 사이의 공통점은 '물리 인터페이스가 유사하다' 정도로만 보시면 될 듯 합니다.
(SAS 컨트롤러에 SATA 디스크의 장착과 사용은 가능하지만, 이건 SAS protocol 레벨에서 지원해 주는 부분입니다)
그 완전하지 않은 불안정한 방식을 제품으로 팔아왔고 그걸 사서 30년 이상 써왔죠
인데 불안정한 방식 이라고 한다면 데이터 전송을 통해서 쓰고 읽는것이 잘될도 있지만 않될때도 있다로 그렇게 생각 하신다는건데요.
님께서 말씀하시는 불안정한 이란 정의가 뭔가요? 디스크에 데이터를 동일한 시퀀스로 전송해서 쓰거나 읽기가 않될때도 있다는 뜻인가요?
SAS 가 SATA에 비해 효율적인 고속의 프로토콜이다 라고 한다면 몰라도 불안정하다고 하는건 적적한 설명이 아닌것 같군요.
어떤 불안정한 증상이 있는지요?
SATA 든 SATA든 불안정하다는 근거에 해당하는 레퍼런스로 할만한 자료나 글에 대한 URL 을 알려주세요
듀얼 포트와 이중 모드 덕분에 SAS는 더 높은 성능과 신뢰성을 실현하게 되었습니다. 하드디스크의 2개 포트는 다른 케이블을 사용하기에 어느 한 쪽에 문제가 있다면 바로 다른 케이블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에 있어서도 SAS는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SAS는 I/O ErrorDetection(IOEDC)를 사용하여 동시에 데이터의 내용과 위치를 측정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SATA는 내용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SAS는 읽기/쓰기에 모두 데이터 오류를 검사할 수 있지만 SATA는 오직 쓰기에서만 이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HDD가 많아질수록 SAS의 효율이 좋아짐 다중 처리가 많을 수록 SAS의 효율이 좋음
SATA는 Controller를 내장하여 HDD와 CPU가 직접 통신을 하기 때문에 HDD 의 수만큼 CPU에 부담을 주고 IO양에 따라 CPU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SAS는 SCSI Controller가 CPU의 역할을 대신하여 모든 SAS HDD를 제어하기 때문에 IO부하가 발생하여도 SCSI Controller가 IO성능을 조정하여 CPU와 통 신을 하기 때문에 CPU의 부하율이 줄어듭니다.
물리적인 디스크는 좀 다릅니다. SAS나 SATA는 인터페이스일 뿐이고 물리적인 디스크는 얼마든지 붙일 수 있습니다. 컨트롤러만 다를 뿐이죠.
SAS에도 7.2k HDD들이 있고 SATA에도 10k HDD가 있고 동일한 제품이 SAS와 SATA로 나오기도 합니다(대표적인게 WD 벨로시랩터)
2.5인치를 많이 쓰는 건... HDD 밀도를 높이기 위함입니다. 이전엔 2.5인치 HDD의 종류도 별로 없었고 성능도 별로였는데요. 요즘엔 10k SAS 2.5인치라도 1.8TB 짜리가 나옵니다. 7.2k HDD는 따라갈 수 없는 성능인데... 가격도 따라갈 수 없습니다. 켜켜~
또한 소비전력이 매우 착합니다. 거기다 기존 3.5인치 15k에 근접한 성능을 내어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