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YCORE DS918+ DSM 7.0.1 설치 성공(3622 실패)했습니다

   조회 2171   추천 0    

초보에게 답글로 많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타이핑이 느려서 말이 짧은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제 하드웨어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CPU               I5-11400

M/B                GIGABYTE W480M VISION W(국내가 너무 비싸서 아마존 직구)

RAM               삼성 시금치 3200MHZ 8G x2

NIC                 HP 544QSFP 40G/40G 듀얼 어뎁터(멜라녹스OEM)

                        스톡 이더넷 펌웨어 fw-ConnectX3-rel-2_42_5000-MCX314A-BCB_Ax-FlexBoot-3.4.752.bin 적용

                        따로 이더넷 모드로 바꾸지 않아도됨

HDD               WD Ultrastar DC HC310 6TB 8개

M2.NVME     삼성 PM981a  1TB x2

POWER         ENP 7140B(시끄러워서 팬은 녹투아 NF-A4x20 PWM으로 교체)

CASE             알리에서 구매한 핫스왑 8베이(시끄러워서 팬 두개 NF-A9 PWM으로 교체)

 

저소음으로 할랬더니 팬 값이  좀 들었습니다. CPU 팬도 바꿀지 고민중입니다....

HDD는 최대 전송속도를 높이기 위해 적당한 용량과 가격을 고민했는데 6TB x8개면 향후 5년은 문제 없을것 같습니다.

사실 용량 허용치 안에서 최대로 하고 싶었는데 HDD 가격이 너무 비싸네요ㅜㅜ

 

여기서 부터 삽질이 시작됩니다.

PCIE 방식의 로우 프로파일 M2.NVME 카드를 알리에서 구매했으나 W480M 보드에서 용량이 1TB로 인식됨

MSI X570 유니파이에서는 2TB로 RAID0적용되어 인식되는걸로 보아 카드 호환이 안되는것으로 보임

W480M 보드의 M2 슬롯에 2개 설치

 

BIOS에서 VT-D 비활성화

10세대 이상의 CPU는 하드웨어 트랜스코딩이 안된다고하여 DS3622로 설치시작

 

핫스왑 베이 1,2,3,8번에 HDD 징착해놓고 ./rploader.sh satamap now  실행하니 800, 000102  이렇게 잡히고

HDD 위치가 제대로 설정되지않아서 설치가 안되 8, 00 으로 수정하니 HDD 위치 제대로 인식됨

NVME는 터미널 접속해서 파일수정해도 인식 안됨

 

user_config.json 편집하여 MAC1, MAC2, MAC3, MAC4 추가

인텔 듀얼랜 중 1번인 I225-LM 2.5기가랜은 드라이버가 없어서 사용 불가, 2번 1기가랜은 드라이버 자동 추가됨

멜라녹스 듀얼랜 드라이버 수동추가 , 자동추가 전부 인식 안됨

랜카드 수량 적는 항목을 빠트려    "netif_num": "4",  추가했으나 인식안됨

MAC1~3 주소 적는걸 한줄 밀려서 쓰고 설치하여 USB의 GURB.CFG 파일 편집하여 MAC주소 변경 완료ㅜㅜ

 

아무리해도 멜라녹스 듀얼랜과 NVME 인식이 안되서 918+로 바꾸기로 함...

 

위에서 수정한데로 DS918+ 설치하니 한번에 문제없이 설치되고 멜라녹스 듀얼랜 인식됨

NVME는 터미널 접속하여 파일 수정하여 재부팅하니 캐쉬로 인식됨

단순 볼륨말고 RAID0으로 만들기 위해서 

강좌란의 mdadm --create /dev/md4 --level=1 --raid-devices=1 --force /dev/nvme0n1p3 참고하여

mdadm --create /dev/md3 --level=0 --raid-devices=2 --force /dev/nvme0n1p3 --force /dev/nvme1n1p3

실행하니 레이드0으로 인식되어 볼륨생성 성공

 

멜라녹스 듀얼랜은 워크스테이션과 DAC 케이블로 직결하고 IP 수동 지정하여 440GB 파일 복사 테스트하니 꾸준히

2.7GB/S 나옵니다. 나스에 윈도우깔고 테스트 했을때는 링크 어그리게이션 설정 문제인지 1.6GB/S 였는데 좀 더 잘나오긴

하지만 3GB/S이상 기대했는데 아쉽습니다.

PCIE 3.0 인데도 발열이 상당하네요. 73도까지 올라가서 시놀로지 종료되어 버려서 방열판 2개 추가 예정입니다.

 

이전에 쓰던 DS215J가 너무 느려서 자작하기로 한건데 3일 넘게 삽질했네요.

일하고 와서 졸린거 참아가면서 했더니 실수도 많았던것 같습니다.


6개월넘게 24시간 풀로 돌리면서 재부팅 한번도 없이 안정적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화정큐삼 2022-02
윈도우에서 파일 복사 속도를 높이려면 본드나 링크 어그이게이션 관련은 모두 끄고
멀티채널 SMB3 로 적용해 보십시요.
이렇게 해서 랜카드 갯수의 합산수 만큼 보장되야 맞습니다.

윈도우 쪽에서도 이 속도를 보장해줄 수 있는 랜카드 수량과 속도도 맞춰줘야 합니다.
저는 1G 랜카드 8포트 4포트씩 분리해서 시험해 봤는데, 맥, 윈도우 모두 4배수 확인했습니다.
속도가 서로 다른 랜카드를 조합했을때는 정확히 어떤 속도의 랜카드로 따라가는지는 모르겠습니다.
     
dateno1 2022-02
제대로 안 묶이던지, 하향 평준되요 (1 + 2.5 = 2)
     
현정사랑 2022-02
멀티채널 SMB로 해서 측정한 속도입니다. 1기가를 아예 빼고 다시 측정해봐야겠습니다
     
현정사랑 2022-02
1기가 연결 상관없이 2.7GB/S 나옵니다. 작은 케이스 안이라 그런지 오픈형 PC에서 쓸때보다 발열이 더 심합니다...
dateno1 2022-02
40G로 가신건가요 (해당 디스크 구성(하드 8개)이면 10기가 방어도 힘듬)

그나마 10세대는 내장 그래픽으로 될 가능성이 있지만, 11~는 아직 방법이 없습니다

SSD + RAID0 조합은 상당히 위험합니다 (예전에 문제되어본적도 있고, 성능도 생각만큼 안 나옴)
     
현정사랑 2022-02
SSD RAID0은 임시파일용이라 전송속도만 올릴려고 한것입니다. SSD RAID는 랜덤엑세스 성능등이 안올라가서 아쉽네요
          
dateno1 2022-02
SSD는 묶으면 그런 부분 느려집니다


NAS
제목Page 50/308
2015-12   1767171   백메가
2014-05   5241877   정은준1
2022-02   2275   몽동이
2022-02   2791   강기창
2022-02   5242   여너니
2022-02   1789   화정큐삼
2022-02   2172   현정사랑
2022-02   1919   몽동이
2022-02   3017   화정큐삼
2022-02   1575   BruceHong
2022-02   2190   NAS고장났다…
2022-02   1597   첼디
2022-02   1876   Otario
2022-02   2053   현정사랑
2022-02   1566   블랙펄
2022-02   2180   maronet
2022-02   2946   dadami
2022-02   3635   1z2z
2022-02   2053   화정큐삼
2022-02   3242   닉name
2022-02   3389   stones
2022-02   2287   한쿡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