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ycore 에서 멀티랜이 안됩니다

   조회 2051   추천 1    

ds3622로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멜라녹스 듀얼랜이 잡히질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ConnectX3로 감지되어 드라이버 자동으로 추가되었습니다.


서버 포럼의 헤놀로지 멀티 랜 사용하기.(Feat. DS918+)글에서는 

1. grub.cfg 수정하기 에 mac1만 있다면 아래처럼 mac2, 3등을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라고 되어있는데 

tinycore 이미지에서 grub.cfg를 열어보니 

이런 내용이 없습니다.

그래서  user_config.json에 적어봤는데 적용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root@box:/home/tc# vi user_config.json


{
  "extra_cmdline": {
    "pid": "0x5595",
    "vid": "0x0781",
    "sn": "20C0SQRVADQHM",
    "mac1": "D85ED38367A8",            인텔 2.5기가랜은 IG-88님이 드라이버 없다고해서 포기했습니다.
    "mac1": "D85ED38367A9",            인텔 1기가랜 자동으로  e1000e 드라이버 추가됩니다.
    "mac2": "0002C939C760",             MCX314A-BCBT 1번포트 자동으로 드라이버 추가
    "mac3": "0002C939C761",             MCX314A-BCBT 2번포트 자동으로 드라이버 추가

    "SataPortMap": "8",                         사타 8포트는 되는데 nvme 2포트가 안되서 일단 이렇게 했습니다.
    "DiskIdxMap": "00"
  },
  "synoinfo": {

          "internalportcfg" : "0xffff",
          "maxdisks" : "16",
          "support_bde_internal_10g" : "no"

},
  "ramdisk_copy": {


}

dsm7 설치하니 


LAN 포트 1 만 보입니다.

vi /etc/synoinfo.conf

vi /etc.defaults/synoinfo.conf 들어가보니

maxlanport는 9로되어 있어서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user_config.json 에 추가해도 안되는데 grub.cfg에 저렇게 다 적어야하는것인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화정큐삼 2022-02
저도 메인,백업 헤놀이 둘다 듀얼랜인데, 실제 tinycore 사용해 보니
user_config.json 에는 mac1 만 정의되고 사용되는것 같습니다.
mac2 를 사용하기 위해선 어쩔수 없이  grub.cfg 를 손을 대야 하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용환경이 네이티브 신지 VMWARE 인지 모르겠네요?
DS3622xs+  사용하신다고 했는데, grub.cfg 의 내용은 DS918+ 인것도 이상하구요.
네이티브는 첫번째 USB, Verbose 를 사용하셔야 하고 가상인경우 두번째 SATA, Verbose 를 쓰셔야 합니다.
     
화정큐삼 2022-02
그리고 grub.cfg 의 mac1, mac2 손을 보시더라도 맥주소가 ":" 값을 인식할수 있는지가 확인이 된것이 아니라서요.
원래 user_config.json 형식대로 ":"  빼고  12개 문자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정사랑 2022-02
네이티브입니다
dateno1 2022-02
일단 실재 grub.cfg를 보시고, 터미널 접속해서 장치 인식및 드라이버 상태를 보세요
춘삼띄 2022-02
user_config.json의 Mac주소 아래에 netif_num=2 추가하시면 될꺼에요.
netif_num=[랜카드 수량]
11qkr 2022-02
저는 2개의 lan 이 잡히는데 듀얼랜 기능은 동작 속도 향상 되는지 모르나
esxi 에서  2개의 lan이 잡힙니다...(자신의 랜 드라이브 2개 추가 조건)

1) 네트워크 어뎁터 2개 추가
2)  "mac1": "XXYYXXYYXXYY",
로 설정하야 lan 카드 정상적으로 연결 가능 합니다
netif_num=2 는 추가 하지 않았습니다.
====== 이하 user_config.json 기본은 lan은 1개의  mac 1개의 구성 입니다 ===========
{
  "extra_cmdline": {
    "pid": "0x5678",
    "vid": "0xffff",
    "sn": "1860PDN00abcd",
    "mac1": "XXYYXXYYXXYY",
    "SataPortMap": "66",
    "DiskIdxMap": "0600"
  },
  "synoinfo": {

          "internalportcfg" : "0xffff",
          "maxdisks" : "16"

},
  "ramdisk_copy": { }
}
==============
드라이브는
./rploader.sh ext apollolake-7.0.1-42218 add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ocopico/rp-ext/master/e1000/rpext-index.json
#./rploader.sh ext apollolake-7.0.1-42218 add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ocopico/rp-ext/master/e1000e/rpext-index.json
./rploader.sh ext apollolake-7.0.1-42218 add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ocopico/rp-ext/master/vmxnet3/rpext-index.json
./rploader.sh ext apollolake-7.0.1-42218 add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ocopico/rp-ext/master/r8125/rpext-index.json
./rploader.sh ext apollolake-7.0.1-42218 add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ocopico/rp-ext/master/mpt3sas/rpext-index.json
춘삼띄 2022-02
사용 환경마다 조금씩 다른가 보네요.
저는 네이티브로 Z87보드에 918+ 사용하고있구요, 처음에 user_config.json에 mac1, mac2 두개(정품 sn + 정품 mac 주소)를 설정해도 mac2가 인식이 되지 않더라고요.
user_config.json에 netif_num=2 추가한 뒤부터 Lan카드 2개 모두 정상인식 했습니다.
현정사랑 2022-02
위에 답변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댓글부터 달고 했어야했는데 죄송합니다. 일마치고 오니 몽롱한 상태에서 댓글 보자마자 매달려서 설치하면서 졸았습니다.
DS3622xs로 설치했는데 멜라녹스 듀얼포트 인식 안되었습니다. netif_num=2 써도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도저히 안되서 DS918+ 로 설치했더니 멜라녹스 2개 포트중 1개가 인식되었습니다. netif_num=2 추가하고 maxlanport=8로 설정하니 전부 인식되었습니다.
NVME 2개 인식 안되던것도 DS918+로 설치하니 인식되어서 디바이스 숫자랑 경로 수정해서 RAID0으로 묶었습니다.
DS3622xs 에서 인식 안되던게 DS918+에선 그냥 되는건 하드웨어가 근래에 나온것이라 그런걸까요?
     
화정큐삼 2022-02
로더 빌드과정에서 계속 저렇게 수동으로 추가하신 드라이버가 전부라고 생각하고 계신것 같은데요.
가이드에도 설명 드렸듯이 드라이버는 저렇게 수동으로 설치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build 옵션으로 실제 빌드하는 과정에서 멜라녹스와 관련된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추가되었을것 같은데요.
DS3622xs+ 와 DS918+ 를 바꿔가시며 제작하는 중간에도 POCOPICO님이 이 멜라녹스 드라이버 안정화를 계속 작업하고 계셨을겁니다.
우연히 안정화전 드라이버가 직전에 사용된것이고 최종 사용하신것이 안정화된 드라이버가 맞아 떨어진것 같아보입니다.
DS3622xs+ 와 DS918+용 드라이버가 달라서 각각 별도 작업을 했을것 같은데요.
정확히 어떤 드라이버가 멜라녹스 드라이버인지 그간의 드라이버 버전 변화사항은 어떤지 추적을 해봐야 상세한 이유가 확인 가능할것 같습니다.
          
화정큐삼 2022-02
멜라녹스 관련 드라이버는 mlx4_core 딱 하나가 보이는데요?
헤노롤지 포럼에서 피코포코님이 계속 언급하신걸 본것 같습니다. 드라이버 변화사항이 확인되면 알려드리겠습니다.
               
현정사랑 2022-02
여기도 댓글 달아주셨네요. 918로 일단 완료하고 NVME SSD간 전송속도도 2.7GB/S로 전보단 잘나와서 일단은 설치과정 메모해놓은걸로 계속 업데이트 해봐야겠습니다.


NAS
제목Page 50/308
2015-12   1766004   백메가
2014-05   5240527   정은준1
2022-02   2275   몽동이
2022-02   2790   강기창
2022-02   5239   여너니
2022-02   1788   화정큐삼
2022-02   2171   현정사랑
2022-02   1919   몽동이
2022-02   3016   화정큐삼
2022-02   1574   BruceHong
2022-02   2188   NAS고장났다…
2022-02   1596   첼디
2022-02   1876   Otario
2022-02   2052   현정사랑
2022-02   1566   블랙펄
2022-02   2179   maronet
2022-02   2943   dadami
2022-02   3632   1z2z
2022-02   2049   화정큐삼
2022-02   3240   닉name
2022-02   3387   stones
2022-02   2286   한쿡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