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부하로 눌러 붙은 매립형 콘센트 교체

   조회 8598   추천 0    


앞전에 총무로 일했던 고시원에서는 방마다 이런 전력량계가 달려있었습니다.

층과 층사이의 계단에 숨겨져 있었는데요 이 전력량계를 확인하여 

어느방에서 전기를 어느정도 사용을 하는지 유추가 가능했었습니다.

고시원인지라 개인적으로 전기세를 추징하기는 어렵고 확인용으로만 달려있었습니다


모델마다 조금씩 다르는데 500 Rev /1kW 와 600 Rev 1kW 제품이 있었습니다

즉 가운데 동그란 판이 500바퀴 돌면 전기 사용량이 1kw /600바퀴 돌면 1kW입니다.

보통 500바퀴 짜리는 30-40초에 한바뀌씩 돌면 한달 예상 소비전력량은 170-180kW 입니다.


그런데 어느날 새로 입주하신분께서 10-15초에 한바뀌씩 개량기가 도는것을 확인을 했습니다

대략 6개월 정도 입주하다가 가셨는데 한달에 전기를 450kW 정도를 사용했습니다


(2016년당시)

고시원은 계약전력 8kW로써 하루 15시간 X 30일 X 계약전력 8 = 3600kw 로써 한달누적량이 3600kW를 

넘지 않으면 과징금은 안나왔습니다 디지탈 계량기 이지만 계약전력 19kW 미만은 순간 피크치를 

넘겨도 과징금은 안나왔었습니다 3600kw 겨울철 풀로 채우면 42만원 정도 나왔던듯 싶습니다.


6개월뒤 퇴실을 하신뒤에 점검을 하러 들어 가봤습니다.



이렇게 콘센트가 살짝 눌러 붙어 있었습니다.


첫번째 커버를 제거하자 확연히 눌러 붙은게 보였습니다.


매립형 콘센트를 구매해왔는데 건물의 연식을 묻길래 2001년도 건물이라고 했더니 무언가를 하나더 줬습니다

사진상으로 표시되지 않지만 첫번째 사진에 비해서 콘센트가 앞으로 뚝 티어 나온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옛날 건물에는 요즘 나온 콘센트가 맞지 않는다고 공간을 조금 늘려주는 무언가를 하나더 뒤에 넣어서 뚝 티어 나왔습니다.



손재주가 없어서 그런지 몇번 분해조립해봐도 아랫부분이 안맞아서 대충 조립했습니다.

제가 돈받고 일한것도 아닌데 너무 재능기부를 ....ㅠ,.ㅜ





에어컨으 코드도 완전히 눌러 붙어 있었습니다


이런 코드를 구매하여 코드도 깔금하게 수리를 했습니다.






그런데 역시 싸구려는 한계점이 보입니다 저 콘센트에 전기 코드 몇번 꼽았다 뺐다 

반복하니 접지용 핀이 안쪽으로 휘어 지더니 부러저 버렸습니다

해당건물은 접지가 없어서 아무 쓸모 없는 기능이긴 합니다.


우리집에 시공할때는 좋은넘으로 해야 겠는데 어떤 브랜드가 쓸만한 건지 모르겠습니다.


PS

정전이 오랫동안 유지되었다거나 자주 정전이 되었다면 계량기를 필히 확인을 하시길 바랍니다.

디지털 검침 기능이 있는 모델(2016년기준) 정전이 되면 시간이 안갑니다 만약에 자기집 검침일이 19일 이라면

18일에서 19일로 넘어가는 자정 12시에 자동으로 검침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검침된 숫자를 2-3일 안에 검침원이 확인하여 반영시킵니다

만약에 5시간 동안 정전되어 있었다면 자정이 아닌 5시간 후에 검침이 됩니다.  

그러니 정전후 전기 들어오면 현제 시간과 디지털 계량기의 시간이 맞는지 확인해 보세요 

몇년전 5-6시간 장기 정전이 있었는데 두달 뒤에서나 계량기 시간이 다른다는걸 인지했는지 A/S 하러 나왔었습니다


활동정지및 탈퇴
🌸🌷🌺운수대통 알림판🍀💞💯
🎶🎵🎴🍌🍒🍆🍅
그동안 운수대통을 아껴주셨어 감사합니다.
🍓🍐🥭🍎🍍🍉🍊🥒🥦🥕
활동정지및 탈퇴
박문형 2019-05
계속 타는 곳만 타는 듯한데

그 라인 어딘가 쇼트 같은거 된 것 아닌가요??

그리고 아시겠지만 에어콘 / 전열기 /전기 후드 같은 것은 15A로는 모자릅니다..

전용으로 더 굵은 선을 빼야 합니다..
     
운수대통 2019-05
이게 1.4평 월 13만원 고시원 방입니다 창문형 엘지 에어콘 LW-035 /550W급의 에어컨이 달려 있습니다.
에어콘 코드에는 7A /220V로 표기 되어 있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15A와 동등한 걸로 교체 했습니다

옛날에 짓어진 건물이라 방마다 일반 30A 과부화 & 단락용 차단기가 붙어 있습니다
각층 매인에 부터 누전차단기로 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한 10년전쯤 짓어진 건물이면 차단기가 A/C,전열,전등  구분되어 있겠지만
그냥 방 하나당 차단기 하나씩과 전력량계가 붙어 있습니다.
GEUN 2019-05
콘센트기구가 오래되어 내부 핀이 느슨해져 접불로 열이나서 녹아내린것으로 생각되네요.
빛을찾아서 2019-05
화재의 위험이 높아보이네요.  안쪽 전선도 확인하시고 교체하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차단기 동작이 안한걸로 봐서는 누전보다는 사용 전류보다
전선 규격이 작거나 노후화되서 열이 발생해서 녹은거 같네요.
     
운수대통 2019-05
내부의 전선을 확인했을때 탄화된 흔적이나 변색된 것은 없었습니다
이때 입주자가 라디에이터 3kW 제품을 사용했었습니다

옛날건물이라 30A 일반 차단기라서 허용 규격이하 였던듯 합니다
건물이 2001년 새워진것이고 한달이 멀다고 입주자가 변경되는데요
수많은 사람들이 거쳐간곳이라 어디서 부터 눌러 붙었는지는 모릅니다
입주자가 들어오기전부터 눌러 붙은건지 입주자가 온뒤에 붙은건지
방이 50개가 넘었으니 일일이 모두다 확인이 어려 웠습니다.
안형곤 2019-05
저 자리만 콘센트 삐꾸(도기로 된거) 들어간거 사용해보세요.

예전에 전열기 사용하니 지속적으로 녹아버리던게 없어지더군요.

그 도기가 heatsink 역할을 합니다.
김준유 2019-05
내부 전선의 경화도를 체크해 보는게 필요합니다. 접불로 인한 스파트로 파손된 거면 그나마 다행인데 과열로 인한 파손일 경우 본선의 전선 피복도 열경화로 인해
합선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체크해 보시길...
특히 전등 전선의 경우 열경화가 된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감안해서 보시길...


제목Page 66/96
2014-05   5243018   정은준1
2015-12   1768334   백메가
2019-06   4367   사랑하라
2019-06   5496   사랑하라
2019-06   5667   사랑하라
2019-05   6745   잊혀진자
2019-05   8599   잊혀진자
2019-05   7332   잊혀진자
2019-05   5321   eugeneshin
2019-05   4027   eugeneshin
2019-05   4442   eugeneshin
2019-05   4721   임민규
2019-04   5198   김준연
2019-04   4236   컴잘못
2019-04   4394   오늘은좋은날
2019-04   3947   sinabro
2019-04   3882   sinabro
2019-03   4433   1CPU지창훈
2019-03   8138   김준연
2019-03   5094   psychic5
2019-02   5698   파란꿈
2019-02   4808   sinab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