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IDC 에 들어간 X3220

김장우   
   조회 6862   추천 0    

위에 있는 서버에 아래와 같이 넣었습니다.

원래 AMD용 보드와 하드 한개가 있었는데 다음과 같이 변경했습니다.

X3220
DG35EC
6400 2G * 4
640G * 2

여기에 VM Server 올려서 웹서버랑 메일서버를 각각 올렸는데 이 VM의 NAT가 성능이 영 아니더군요.

물론 IP를 더 받아서 브릿지를 하면 되겠지만 이 업체는 IP를 개당 무려 3만원을 받더라구요. Co-location 비가 48,000원인데(트래픽 5M) IP가 3만원.. 다른데는 비싸야 1만원이고 2개가 기본인데도 있고 그냥 말만 잘하면 그냥 한두개는 그냥 주는데..

뭐 IP를 제공할 의사가 없다고봐야겠죠.. 그래서 선택한게 포트포워딩인데 VM의 NAT성능이 떨어지니 윈도 자체 Routing and Remote Access 를 이용해 볼라구 했더만 VM 구성상 논리적으로 맞지 않아 포기하고 결국은 그냥 공유기를 넣었습니다.

다행이 전원이 5V 1A이라서 PSU에서 따서 넣었습니다.

사진 외쪽 아래 있는 얘가 공유기 있는 케이스 벗기고 나니 크지 않더군요..

예전에 여기다가 ESXi(공짜~!) 를 넣으려 했다가 실패해서 2003 x64에 VM Server(공짜~!) 올렸습니다.
메인보드도 우여곡절이 참 많았는데.. 거쳐간 메인보드만 4종류에 세 종류를 각각 2번씩 바꿨었습니다.

어찌껀 현재 웹서버와 메일서버는 정상적으로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덕분에 IP비용도 줄였구요. 1만원 했더라도 연간 12만원인데 2만6천원짜리 넣고 해결 봤네요.. 혹시나 모르니 스페어로 한개 더 준비 했습니다.

요놈 세팅하느라 3개월이 걸렸네요.. 뭐~ 안해본 테스트 없이 원없이 했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장우 2009-04
사진은 처음엔 IDC 그냥 넣었다가 공유기 추가 작업하면서 찍은거라 핸드폰카메라로 하다보니 많이 흔들렸습니다.
분당김동수 2009-04
랙, 회선 등 총사용료가 한달에 얼마하는 궁금합니다.
저도 하나 넣어야 하는데 돈이 많이 들어 걱정입니다.
MemDB 2009-04
아이디어 멋지네요.. 구글 웹 서버 처럼 UPS 를 내장시키는 생각이 떠 오릅니다.
김윤술 2009-04
전 VM을 올려서 RRAS로 돌리고 있습니다. VM의 가상네트워크 어댑터를 사용하고 실제 어댑터는 NAT용으로 분산시켜주면 예상했던데로 서버를 각각 운영할수 있습니다. 윈도우의 RRAS의 성능은 꽤 괜찮습니다.
윈도우 RRAS 네트워킹 하면 안해본거 없을정도로 구성을 빠삭하게 했다고 자부하고 있습니다만 제가 모르는 OSPF나 RIP구성은 몰라서 패스 했습니다.
윈도우 RRAS로 자사와 본사 VPN도 인트라넷도 구성해보구 게이트웨이 모드로도 구성해봤습니다.
2008서버는 SSL VPN도 지원해서 이것역시 잘되서 윈도우 RRAS만 잘 사용해도 왠만한 방화벽 필터링과 라우터 안부럽다는 생각을 가져봅니다.
최시영 2009-04
알차네요...
이승헌 2009-05
오~~ 안된다. 이런 글을 자꾸보면 업글하고 싶은 충동이....(참아야 해)


제목Page 83/170
2014-05   5251885   정은준1
2015-12   1776878   백메가
2006-02   3166   김동기
2006-02   3569   김동원
2006-02   3780   김동원
2006-02   4408   이선규
2006-02   3042   최경민
2006-02   3181   이선규
2006-02   3216   이광호
2006-02   3248   최진환
2006-02   3880   이광호
2006-02   4534   전요셉
2006-02   2812   김동원
2006-02   3705   김동원
2006-02   3277   김동원
2006-02   5254   김지영
2006-02   4356   김지영
2006-02   4285   안형곤
2006-02   3706   오기룡
2006-02   2714   김정혁
2006-02   3067   이광호
2006-02   3856   김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