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7111 |
25 |
2015-12
177711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2111 |
0 |
2014-05
5252111
1 정은준1
|
2578 |
Addonics CF2SATA + Sandisk 8GB 133배속 MLC 벤치마크 (2) |
조영욱 |
2007-10 |
4591 |
96 |
2007-10
4591
1 조영욱
|
2577 |
STAT Converter - CSP336-2S (1) |
정은준 |
2007-10 |
3948 |
82 |
2007-10
3948
1 정은준
|
2576 |
1U2SR |
정은준 |
2007-10 |
3620 |
103 |
2007-10
3620
1 정은준
|
2575 |
ULK-300 - Host-to-Host Data bridge controller |
정은준 |
2007-10 |
3664 |
85 |
2007-10
3664
1 정은준
|
2574 |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 SCSI Card (4) |
김정일 |
2007-10 |
3671 |
75 |
2007-10
3671
1 김정일
|
2573 |
ver2 render test (x2 3800@2.4) (1) |
이승현(承) |
2007-10 |
3412 |
75 |
2007-10
3412
1 이승현(承)
|
2572 |
김승권 회원님의 320-2E 테스트 입니다. (18) |
손견권 |
2007-10 |
4468 |
84 |
2007-10
4468
1 손견권
|
2571 |
라온디지털의 VEGA와 EVERUN입니다. (6) |
방효문 |
2007-10 |
3652 |
79 |
2007-10
3652
1 방효문
|
2570 |
Winbench 99 사용 방법 (6) |
손견권 |
2007-10 |
3691 |
90 |
2007-10
3691
1 손견권
|
2569 |
디지웍스 코리아 메모리방열판[실버]+OCZ메모리 쿨러 (1) |
김대성 |
2007-10 |
3610 |
83 |
2007-10
3610
1 김대성
|
2568 |
[re] FreeNAS를 이용한 iSCSI 구현 |
정용우 |
2007-10 |
4022 |
83 |
2007-10
4022
1 정용우
|
2567 |
SAS 외장 케이블입니다. (2) |
오기룡 |
2007-10 |
4601 |
68 |
2007-10
4601
1 오기룡
|
2566 |
[re] FreeNAS를 이용한 iSCSI 구현 (1) |
오원택 |
2007-10 |
4809 |
74 |
2007-10
4809
1 오원택
|
2565 |
2CPU render test [TYAN S2466N-4M] |
정일석 |
2007-10 |
4064 |
94 |
2007-10
4064
1 정일석
|
2564 |
xeon X3210 렌더링 테스트 결과입니다 (8) |
허필 |
2007-10 |
4873 |
165 |
2007-10
4873
1 허필
|
2563 |
SATA 컨트롤러 테스트 (9) |
김우택 |
2007-09 |
5914 |
91 |
2007-09
5914
1 김우택
|
2562 |
AMD, 트리플 코어 프로세서 출시 계획 발표 (9) |
김성진 |
2007-09 |
4073 |
77 |
2007-09
4073
1 김성진
|
2561 |
MY-SSD(16G.2.5"IDE) HD-Tune자료입니다. (6) |
오성기 |
2007-09 |
5326 |
80 |
2007-09
5326
1 오성기
|
2560 |
[re] FreeNAS를 이용한 iSCSI 구현 |
김장우 |
2007-09 |
4299 |
83 |
2007-09
4299
1 김장우
|
2559 |
아래 seagate firmware AAK에 관한 article과 제 결과의 대조 (2) |
김호성 |
2007-09 |
3878 |
98 |
2007-09
3878
1 김호성
|
어플리케이션의 반응이 바로바로 오는 것은 참 좋습니다. 인텔의 경우 컨트롤러가 독자적인 제품이니 그렇다치더라도 보통 중소기업의 MLC방식은 써보지는 않았지만 파일전송이 주 된 작업이 아니라면 OS상에서의 체감속도는 디스크방식의 하드디스크보다는 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같은 MLC라고 해도 OS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맥관련 포럼을 찾아보면 OS X에서는 프리징 현상이 발견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대신 패럴이나 뱀웨어 윈도우를 실행하면 가상웨어 상에서 프리징이 나타난다고 합니다.(역시 직접 써보지 않아서....) 파일시스템의 차이로 인한 문제라고 생각되기도 하고 여하튼 구동환경에 따라 MLC도 쓸만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프리징보다는 웨어레벨링기능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가 관건일 것 같네요.(라이프타임워런티가 아닌 이상 웨어레벨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아마 배드섹터 금방 볼 것 같은데요..)
DB나 웹서버같은 가혹한 환경에서 운용될때 그 진가를 발휘한다고 봅니다.
전 그냥 HW엔지니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이젠 더 이상 개발자도 아니지만) 넘치는 호기심을 주체하지 못해서
마련해 보았지요.
암튼 개인용도라면 sas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보다(controller+hdd) ssd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낳다고 봅니다.
그리고 평석님 말씀대로 체감상으로는 삼성이나 인텔이나 차이를 그닥 못 느끼겠네요. 그냥 신제품 쓰는 맛에 인텔을 쓰고 삼성을 처분하려구 합니다만, 가격대비 체감성능으로는 삼성 ssd 참 좋은 기기인것 같네요.
SSD 지름에 있어서 그보다 나은 선택은 없을것 같습니다. ^^
여기 재미난 벤치가 있습니당 ^^
언제쯤 저도 사용해 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