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GA] PLEX 트랜스코딩 쿼드로 효과가 있을까?

MnkRed   
   조회 13824   추천 6    

 늘 궁금하고 누군가 시도한 흔적을 발결할 수 없어 이번에 가온누리님께 메모리 구매하러 다녀오면서 싸게 파셔서 가져온 쿼드로 k600활용기를 적어보려 합니다.


우선 k600은 1GB메모리에 192개의 쿠다코어가 있습니다. 전력소비량은 41W로 3216보다 많은 전력을 쓰는 녀석입니다.

무튼 k600과 일반 1080의 랜더링 속도만 보았을때 별차이가 없는등 쿼드로는 특정 업무에 '귀속?!' 되어있습니다.

어쨌든 이와 별개로 저에게 필요한 기능은 [ PLEX에서 '속도'의 향상이 있는가! ] 의 문제였고 개인적으로 인코딩은 CPU의 영향이 크기때문에 관계가 없다는것만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x3216같이 저전력 저성능의 CPU에서 트랜스코딩을 하기위해 추가적인 쿼드로 VGA의 사용은 어떤 이점이 있는가...가 의문이었으며 드디어 실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먼저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GTX 등의 라인업인 그래픽카드에서 CUDA코어는 인/디코딩용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자체바이오스에 락이 걸려있습니다.

그러나 쿼드로라인업에서는 CUDA코어를 사용한 랜더링이 가능하기때문에 분명 성능향상이 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먼저 VGA설치전 상태를 한번 확인해 보도록하겠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2%의 CPU사용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모니터링 툴에 의한 사용량입니다.


휴대폰으로 plex를 구동해 트랜스코딩해 보았습니다. 

소스는 1080p 영상입니다. ( 영상 코덱부분은 잘 모르지만 x264코덱에 mkv컨테이너입니다. )

출력은 마찬가지 1080p 원본으로 스트리밍된 상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처음 스타트 하면서 트랜스코딩이 시작되기 때문에 CPU사용량이 미친듯?! 치솟습니다.

일반적인 스트리밍의 경우 어느정도의 트랜스코딩이 완료되면 그지점까지 트랜스코딩을 잠시 쉬었다가 다시 근처에서 트랜스코딩을 하는 방식으로 시간이 지나면 천천히 CPU사용량이 떨어졌다 올랐다를 반복합니다.



그러나 위와같이 시간이 지나 안정기에 접어들어야함에도 그렇게 되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주목할점은 I/O wait인데 영상 소스가 있는 디렉토리는 같은 서버에 있는 다른VM의 헤놀로지에 얹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plex서버에 nfs마운트 된 상태로 사용중인데 I/O wait이 별로 부하를 받지 않습니다.

이말인즉 내부 통신속도정도의 트랜스코딩속도가 나온다는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제 k600을 얹고 plex서버에 올려줍니다.





그리고 재기동을 해 줍니다.





위와 같이 활성화 상태가 되면 해당 VM에 PCI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제 테스트 해 봐야겠습니다.


같은 소스의 시작부분입니다. CPU사용량이 보이시나요? 트랜스코딩으로 24%정도의 사용량으로 아래위를 출렁입니다.

그와 동시에 I/O wait 수치가 보이시나요? 역시 예상대로 93%에 육박하는 사용량을 보여줍니다.  

기존의 전무하던 I/O 사용량에 비하면 엄청난 사용량입니다. 단순 CPU사용량만 비교해도 절반가량이나 떨어진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어느정도의 시간이 지나 트랜스코딩한 분량이 일부 차오르면 CPU가 휴식기를 가집니다. 위와같이 CPU사용량이 조금 줄게 됩니다.



테스트차 구간을 변경해 보았습니다. 그러자 다시 CPU사용량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CPU사용량이 그리 높지 않았습니다.



혹여 기존에 트랜스코딩된 자료가 남아 CPU사용량에 변화를 보이는가 싶어 다른 소스로 테스트를 해 보았지만 역시나 동일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굉장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볼수 있었으며 의미있는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이상 K600의 사용기였습니다.


여기 사용기 올리는 게시판 맞나요?;;


rm -rf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송진홍 2018-05
테스트 하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굉장히 유의미한 테스트 군요...
고급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MnkRed 2018-05
아 감사합니다. 패스스루 테스트시에 ESXi에 오류가 발생해 잡는데 걸린시간이 더 길었습니다. ㅠㅠ
루비믹스 2018-05
궁금했던것을 실험을통해 풀어주셨네요.
잘 읽고 많은 정보 얻었습니다.
수고하셨고 감사합니다.
     
MnkRed 2018-05
감사합니다. 만약 누군가 같은 고민을 하신다면 이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Redmilk 2018-05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새로운 것을 알아 갑니다.
실험글은 무조건 추천이라 배웠습니다.
추천 누르고 갑니다.^^
     
MnkRed 2018-05
감사합니다. 딸기우유님ㅋㅋㅋㅋㅋ
          
Redmilk 2018-05
딸기우유....아닙니다!!
남자아이디가 딸기우유라니 ㅠㅠ
               
MnkRed 2018-05
목욕후 한잔이죠. ㅋㅋㅋㅋ
춫추추처처처천
     
MnkRed 2018-05
가.. 감사합...니니... 다아.....!!
dongcheol 2018-05
앗... 이제 드디어 PLEX가 .GPU트랜스코딩 안정화가 되는건가요???  1년가까이 기다렸는데... 이제 사정권에들어온것 같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MnkRed 2018-05
안정화까지는 아니지만 굉장히 쓸만큼의 성능은 보여주는것으로 확인됩니다. 다시 따로 글을 작성할 계획입니다만 테스트때 알게된 사실인데 영상의 컨테이너에따라 CPU부하율에 차이가 보인다는점인데요..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MP4의 형식은 CPU에 거의 부하가 없습니다. 프로세스 리스트를 보면 트랜스코딩이 없는것으로 보아 DLAN만 활성화 되는데 PLEX에서 컨테이너에따라 적당히 구분을 할 수 있는것 같습니다. 저는 패스권 구매하고 사용하는데 엄청 좋습니다. 그렇지만 추천할만큼은 아닌것 같기도하고... 무튼 쿼드로 k600을 사용하는것은 추천드릴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가격대비 성능이 너무 좋습니다.
          
dongcheol 2018-05
음..  패스는 구매해서 사용하고있고요.. K620 과 RX560 이렇게 소지중인데....  서버를 다시 구성해야겠네요...음...  다음 게시글 기대하겠습니당~
박문형 2018-05
여기는 하드웨어 갤러리란이나 사용기 정도의 글은 괜찮습니다..

질문 글만 아니면 됩니다..
김대원 2018-06
매우 유용한 지식입니다.
하지만 추가 vga를 설치하면 idle소비전력이 급증하지않을까요?
예를 들어서 아톰시스템에 헤놀 구동시 20w전후 전력량을 소비합니다.  부하와 상관없이 신기하게 20w전후 소비합니다.
추가 vga를 설치한다면 사용하지 않아도 제 생각에 60w를 넘길 것으로 추정되는데 가정에서 사용하면 전기료 문제가 있지않을까 생각됩니다.
김대원 2018-06
참고로 ds플레이어로 4기가 이하의 4k동영상을 무인코딩으로 문제없이 돌려봤습니다.
문제는 일부 안돌아가는 동영상이 가끔 있었습니다.
weing 2018-06
패스스루 방식이 아닌 가상 VGA 방식(RemoteFX) 같은 방식에서도 작동되면 참 좋을것 같습니다
추천 드립니다
     
DDAYs 2018-06
이론적으로만 생각해 보면 가상 VGA 방식도 작동 될것 같네요..
가상 OS에 그래픽 카드를 연결해서 가상 OS의 그래픽 성능을 높였고, 그것을 검증한 실험이잖아요.

윈도우의 Remote FX를 살펴보면, 호스트 OS에서 그래픽 카드가 인식이 되고 나면 그걸 일정부분 가상머신에 나누어 주는 방식 입니다.
ESXi에서 패스 쓰루는 그래픽 카드 전체를 가상 머신에 주니까 그것과는 비교하기 어렵지만, 호스트  OS의 그래픽 카드가 엄청 좋다면 패스쓰루에 근접한 성능을 내어 줄지도 모르죠..

어쨋든 Remote FX도 서버의 가상머신의 그래픽 카드를 가속해 주는것 이기 때문에 가상 OS에서 그래픽 가속이라는 결론적인 부분은 동일하게 적용이 되니,
작동이 될것 같네요.
Olorin 2018-07
gpu 트랜스코딩이 잘 되나보군요. 궁금하던 사안인데 실험으로 결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GPU 사용률은 얼마나 됐으려나요...? 동시에 10개의 트랜스코딩을 할 정도면 K4200 정도는 돼야겠죠?


제목Page 41/283
2014-05   5258059   정은준1
2015-12   1782895   백메가
2018-08   7922   pass
2018-08   8213   Midabo
2018-07   11449   페르세우스
2018-07   7461   경박한시민
2018-07   9664   캔위드
2018-07   10400   통통9
2018-07   9836   김건우
2018-07   6043   김은호
2018-07   7965   스모모군
2018-07   7322   Jjun
2018-06   15846   페르세우스
2018-06   9975   박건
2018-06   11194   알파고
2018-06   12616   통통9
2018-06   10394   박문형
2018-06   11148   jack33
2018-06   9379   고양이는애옹
2018-06   9540   알파고
2018-05   13825   MnkRed
2018-05   8720   천상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