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기] 공유기 안테나 연장선을 통한 연장 실패기입니다.

   조회 16405   추천 2    

간단히 정보만 남겨놓을께요..

집에 R7000을 사용중이었는데... 서버때문에 고민하다가...

현관쪽에 있는 단자함으로 공유기를 옮기려고 테스트를 해봤는데...

현관쪽에 공유기를 놓으니.. 안방에서 안테나가 1칸이 되버리더라구요...

그래서 고민을 하고 찾아보던중... SMA연장선이 보이더라구요...

그래서 SMA연장선을 구입해서... 공유기는 단자함에 넣고...

안테나만 거실쪽으로 가져오면 좀낫지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래저래 찾아봤지만.. 많은 정보는 없고.. 머 수신률이 조금 떨어진다는 글만 몇게있더라구요...

그래서바로 3미터짜리 3개를 구입해서... 실행에 옮겼는데...

결과는 대실패입니다...

거실티비 밑에 있을때는 집안 어디서도 안테나가 빵빵했는데...

연장선을 사용한결과... 안테나 바로 밑에서도.. 안테나가 하나줄더니...

안방으로 가니.. 1칸 겨우 유지하네요... 간혹 끊기기도하고요...


결론은 SMA연장선으로 공유기의 안테나를 연장하실려고 하시는 분들은...

하지마시고 차라리 리피터를 하나 구입하시는게 더 낫다... 라고 생각드네요...

이에스 2016-04
대략적으로 말하지만
일반적인 얇은 sma연장선으로는 1m당 1db이상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 mimo 효과때문에 안테나는 3개가 같은곳에 있는게 좋습니다 (물론 같은곳에있더라도 약간 떨어져야함)

일반적인 공유기 안테나는 1~5db 정도되는 작은안테나이며 공유기자체 출력도 쎄지않아서 연장은 최대한 짧게해야됩니다..
추가적으로 RP-SMA , SMA 콘넥터를 잘 구분하고 사야됩니다.(제생각엔 이부분 잘못사시지 않으셨을까 생각이 들기도함)
비슷해보여도 약간틀립니다. SMA , RP-SMA 조합에 따라 결합이 되기도 하지만 중앙심선이 연결되지않습니다.
     
알카서스 2016-04
일반적으로 공유기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자가 RP-SMA단자아닌가요?
기성품으로 판매하는제품도 일반 SMA단자는 없는것같고...
대부분 RP-SMA단자인것 같고.. 잠간껌색해봐도 안테나 제품들도 대부분 RP-SMA단자여서 구입을 했거든요...
          
이에스 2016-04
R7000는 제가 검색해보지 않아서 잘모르겠네요
보통은 RP-SMA가 기본이라고 생각하시는게 맞습니다.
IPTIME이 RP-SMA를 보통쓰는 관계로 국내일반적인 케이블도 RP-SMA가 많긴합니다.

예전에 버팔로같은경우는 SMA였죠...

다른곳에서도 문제가있을수있습니다. +_+ 문제점을 잘찾으신다면 좋은결과가있을겁니다..
               
알카서스 2016-04
일단 r7000도 rp-sma를 사용하는것같네요...
좀더 테스트가 필요할것같긴한데 장비나 그런게 없으니 애매하네요 ㅎㅎ
무아 2016-04
그렇게 쓰실려면 꽤 고가의 연장선을 써야 할 겁니다. 물론 공유기 쪽의 컨넥터도 꽤 좋은 것이어야 할 것이구요.
아.. 그리고 기존에 산 것이 제대로 연결된 것인지 확인해보려면 연장선 끝의 안테나에서 측정된 신호 크기와 (단자함에 넣은)공유기 쪽 커넥터 쪽에서 측정된 신호 크기를 비교 해보시면 대충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알카서스 2016-04
네 일단 커넥터는 맞는것같은데...
3미터 연장했는데 이렇게 신호가 뚝 떨어지는게 맞는지 싶네요 ㅡㅡ
김성기1 2016-04
인터넷 찾아보면 케이블에 따른 손실을 계산하는 웹페이지가 있습니다.
http://www.timesmicrowave.com/calculator/
3미터면 대충 10 feet 정도 되니 한번 계산해보세요.
실측을 해봐야 정확하겠지만 대충 참고는 할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알카서스 2016-04
정보 감사합니다..
일단 더는 시도해보기 쉽지 않다고 판단돼서....
관로에 랜선하나를 더 포설하기위해서...
지금은 요비선과 랜선을 구입해놓은 상태네요...
공유기 안테나 연장은 하지 않는게 좋아보이네요 ㅎㅎ
일단 저잡음 증폭기를 통과한 RF신호는 패턴을 지나갈 때마다 감쇄를 합니다. 케이블도 예외는 아니죠. 그리고 보통 가정용공유기 안테나의 이득이 대략 2~5dB짜리인데 안테나까지 경로가 길어지면 이걸 다 까먹어버립니다. 혹자는 이걸 또 극복한다고 9dB, 12dB짜리 안테나를 달기도 하는데... 방사 패턴이 차이가 나서 대부분은 원하는 결과가 제대로 안나옵니다.

케이블과 단자의 연결상태가 별로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전에 제가 안테나를 달지 않은 상황과 비슷한 것 같아서요. ^^;
     
알카서스 2016-04
안테나를 달지 않고 측정해보니 더많은 손실이 발생하더라구요..
결론은 안테나가 연결이 안된건 아닌데...
케이블이 싸구려라 그런것같기도하네요
MSmikoto 2016-07
역시 연장선은 효과가 없네요 ap를 하나 더 다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습니다


제목Page 45/63
2016-04   19672   박문형
2016-04   10819   포올
2016-04   12168   Dmitri2021
2016-04   8491   Dmitri2021
2016-04   9518   올빼미잠와
2016-04   16406   알카서스
2016-04   10538   포올
2016-03   10519   신은왜
2016-03   16816   cclim
2016-03   15135   유정호샤콘느
2016-03   14734   깜박깜박가
2016-03   8402   무기명
2016-03   27280   송석후
2016-03   9069   the촌놈
2016-03   16425   낙원전자
2016-03   11034   윈98
2016-03   6602   윈98
2016-03   8917   전주갈매기
2016-03   11699   깜박깜박가
2016-03   17455   근원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