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언 부탁드립니다] NAS를 처음으로 구성 하려고 합니다.

라혼   
   조회 3758   추천 1    

단순히 외장하드 개념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사무실에서 영상편집 데이타 보관 및 외부촬영시 데이타 업로드 목적으로 NAS가 필요해서, 나름 혼자서 구성해보려고 정보를 찾다보니....

너무 어렵네요 ㅠㅠ

개념정리부터 해야 할듯합니다.

게시판 글을 읽어봐도 용어들 부터 이해가 안되는 수준이라서...

혹시 처음부터 차근차근 만드는 방법, 리뷰(?)같은 글이 없을까요?


(틀린 부분이나 더 효과적(가성비 좋은부분) 지적 해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1.시놀XX(불매 비슷한 분위기 글을 봤는데, 그래도 이게 초보자에게 제일 접근이 쉬울 해서..)

  [시놀로지 DISKSTATION DS1515+] 

2.HDD는 

  [WD RED SATA3 [4T, 64M (WD40EFRX)] 

  이걸로 2~4개 넣을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레이드 개념도 좀 희박하네요 ㅠㅠ)

3.UPS 필요 할듯해서 중고로 하나 구입해뒀습니다.ㅋ 

이렇게 구입해서 파워 연결후 공유기 셋팅하는 정도의 지식이면 셋팅이 되는줄 알았는데, 게시판 눈팅을 하다보니 이게 아니지 싶습니다.

가상화, 헤놀... 등 모르는 용어들 

게시판 글을 보다보니 중고PC(50만원선) 구입후 HDD만 넉넉히 넣어서 제작도 가능한것 같은데, 공부할 시간도 넉넉치 않아서 기성품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혹시 말인데요. 요금 지불하고 셋팅해주는 업체도 있을까요? 

전체 견적 130~150정도 생각하고 있는중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라혼 2017-06
아! 혹시 이글도 QnA 에 글 올려야 하나요?
옮기려고 했는데, 안옮겨지네요 불량코드가 들어있다고.. 그러다.. 글쓰기 정지 되었습니다. ㅠㅠ
똥파리 2017-06
외진곳이라 그런가? 답변이 없네요; 관련글은 모르겠고...
1. 초보에게는 시놀로지가 낫습니다.
1515로 가려는 이유가? 얘네들 기간 지나면 사양 관계없이 펌웨어 업데이트에서 구형은 제외합니다.
2. HDD는 그린처럼 가변 RPM만 아니면 될겁니다. 소프트웨어 레이드라 1정도면 무난할 것 같습니다.
3. 서버로 운영할 것 아니면 UPS까지 필요할까 싶습니다만 있으면 좋죠.
중고 PC와 나스와는관리나 편의성에서 천지차이입니다.
세팅은 문제 생길 때마다 맡길 거 아니면 결국엔 본인이 관리해야 합니다.
세팅도 특별히 할 건 없고, 용도에 따라 부분 세팅은 필요하지만 전문적인 지식없이도 무난할겁니다.
여기보단 시놀로지 카페 같은 곳을 둘러 보거나 헤놀로지로 미리 한 번 체험해 보는 게 나을겁니다.
     
라혼 2017-06
ㅠㅠ 감사합니다.  일단 하나씩 더 찾아 보고 정보를 더 취합해봐야겠네요.
Redmilk 2017-06
똥파리님과는조큼 다른 의견이있어서 적어 봅니다.
1. 시놀이 좋습니다. 회사에서 사용하시는 것 같은데~ 회사라면 당연히 정품 사용하시는게 유지관리면에서 좋을듯합니다.
회사의 규모와 사용량등을 모르기에 정확히 어떤기종을 추천을 드리긴 힘들지만 1515+ 충분히 좋습니다.
똥파리께서 말씀하신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한 문제는 저는 크게 걱정할건 없다에 한표입니다만 가급적이면 최신기종이 좋을듯합니다. 이번에 나온 6.1.1버전을 11년모델도 업데이트가 있습니다. 대략 5~6년가량 펌웨어 업데이트 지원이 있으니까요. NAS또한 영구적인게 아니고 언젠간 교체해야 하기에 그부분 생각하시고 모델을 선택하시면 될듯합니다.
2. HDD는 개인적으로 HGST를 선호합니다. 일반적인 HDD 기종은 다 사용해봤는데 제가 운이 좋은건지 HGST가 고장이 없더라구요. HDD는 비슷한 가격대이면
몇푼더주더라도 보증기한이 긴상품으로 구매하시는걸 추천드리며 개인적으론 24시간 열심히 읽고쓰고 HDD에게 열일시키시는게 아니라면 NAS용 HDD가 아니어도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3.UPS는 필수라는 입장입니다. 특히 업무용이라면 더더욱요. 갑작스럽게 전원이 차단되어 시스템에 문제생기면 곤란하거든요. 보험정도로 생각해두시면 좋을듯합니다. UPS가 배터리백업기능도 있지만 전원이 차단되었을때 안정적으로 종료해주는 기능도 있으니까요(NAS에서 설정가능)

추가로 Raid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HDD4개 기준으로 Raid5 추천드립니다.
예로 4개의 4테라 HDD를 Raid5로 묶으면 대략적으로 12테라정도(이거보다 조금안됩니다) 사용가능하며 HDD가 1개에 문제가 생길시에 그HDD만 같은 용량이나 그이상의 용량의 HDD로 바꿔주시면 복구되는 형태입니다. 중요한자료를 보관하신다면 Raid꼭 해주시구요 Raid는 백업의 개념은 아니기에 정말 중요한자료는 외장하드나
PC등에 백업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백업용 NAS한대 더있으면 최고겠지만요^^

그리고 XPEnology를 이용한 자작 NAS만드는건 생각보다 쉽습니다^^ 중고PC하실 필요없이 50~60사이면 기성품과 비교시에 어마어마한 가격대 성능을 뽑아냅니다.
     
라혼 2017-06
[XPEnology를 이용한 자작 NAS] [50~60사이면 기성품과 비교시에 어마어마한 가격대 성능] 이런 제품을 파는곳이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아!  [XPEnology를 이용한 자작 NAS]  이게 키워드 이군요! 감사합니다 ^^
          
Redmilk 2017-06
앗 저의 설명이 부족했군요. XPEnology(해놀로지)가 시놀로지 os 해킹버전 이라고 보시면됩니다. 불법적으로 올리는것이지요 (오픈소스라 불법이아니란말도있고요) 여튼 50정도면 7세대 i3이상 pc를 구입가능한데 그사양을 시놀로지 정품으로 사려면 몇배에해당하는 돈을 지불하셔야해서 그렇게 설명한겁니다. XPEnology를 설치해서 팔지는 않습니다.
자작나스라고 따로 하드웨어가있는게 아니라 pc에 설치히는것이니까요^^
breakersDaD 2017-06
검색엔진에서 헤놀로지로 검색하시면 많은 정보를 찾을수 았을거라 생각합니다.

구형피씨 또는 랩탑에 한번 설치해보시고 익숙해지는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개인적으로 XPenology를 thin mini-itx에 설치해서 사용합니다 (2테라 + 1.5테라 그룹을 분리해서 사용).

마더보드 + 온보드 씨퓨: $65
램: ddr3 4GB - $20
HDD: 보유중이던 백업용 사용
케이스는 굴러다니던 구형 사용

UPS사용을 권하고 싶은데요, 얼마전 제가 사는 동네의 전력 관련 제반 시설이 노후되었는지 일주일에 한두번씩 정전되기가 거의 두달 지속되더니 결국은 1.5테라 하드가 스마트 에러가 나더군요.

백업용으로 쓰던 하드라 3500시간 정도 쓴건데 ups가 있었으면 스마트에러가 생길일은 없었을거라 생각합니다.

데이터는 날려도 되는거라 상관없는데 별로 사용안한 하드가 병이 나니까 조금 아깝고요, 하드 교체하고 데이터 집어 넣으려면 번거로운게 있네요.
     
라혼 2017-06
헤놀로지 감사합니다 !!!
생ㄱ악보다 저 사양에 설치 해도 되나 보네요!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린드버그 2017-06
일단 NAS는 외장하드의 개념보다는 파일 서버에 가까운 개념입니다. ^^

XPEnology, 흔히 말하는 헤놀로지..는 단순히 가성비로는 무척 좋을 수 있겠지만, 유지보수를 할 전문인력이 없다면.. 특히나 업무용이라면 좀 주의하셔야 하리라 생각합니다. 한편으론, 이렇게 자작 하드웨어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 OS로는 다른 것들도 많이 있으니 그런 걸 이용할 수도 있구요. NAS4Free, FreeNAS, OMV 등.. 단순한 파일 서버 용도로는 저사양의 하드웨어로도 충분하긴 합니다만, 사용자 수나 사용 패턴, 용도 등에 따라 달라지겠죠.

아니면 그냥 완제품 NAS를 사용하시는 게 편하겠죠. 시놀로지나 큐냅 등..

UPS는 있어서 나쁠 게 없죠. 어쩌다 정전이라도 되어서 자료가 날아가는 경우라도 생긴다면.. USB가 있다면 절대적으로 좋겠죠.

마지막으로, 어떤 제품/솔루션을 사용하시든간에 가장 중요한 건 별도의 백업 장치를 반드시 마련하셔야 한다는 것. ^^


NAS
제목Page 188/307
2014-05   5132148   정은준1
2015-12   1666806   백메가
2017-06   5181   romanee
2017-06   4722   마스터치프
2017-06   5731   워니니
2017-06   3537   Redmilk
2017-06   6510   Redmilk
2017-06   3571   녹차빙수
2017-06   4618   H4CHI
2017-06   3546   Redmilk
2017-06   3838   우신예찬
2017-06   3242   폴리76
2017-06   5029   호걸
2017-06   4487   스톤콜드
2017-06   5185   H4CHI
2017-06   12229   스톤콜드
2017-06   3016   황진우
2017-06   3759   라혼
2017-06   3550   너자꾸그럴래
2017-06   4160   1z2z
2017-06   3374   sffbig
2017-06   6125   9빼기1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