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xi 6.7에 헤놀.. 삽질많이하고 어젯밤 새벽네시까지해서 겨우 올렸네요.[무한복구,부팅불가,하드없음,하드인식불량]

   조회 3054   추천 1    

안녕하세요.

요번에 10기가비트 랜카드한번써보겠다고 esxi 6.7에 헤놀올리면서 고생많이했네요.

정보공유차원에서 글남깁니다.


저같은경우엔 esxi세팅자체도 아는게없다보니 고생을 많이하고 헤놀자체도 설치하면서

vm상에서 부팅이안되는문제, 혹은 부팅은됐으나 헤놀이 네트웍에 올라오지않는문제, 부팅도되고

네트웍에도 올라왔지만 하드가없어서 진행이안되는문제, 하드에 설치는되는데 무한복구모드...

진짜 설치하면서 발생할수있는문제 하나씩 다 겪고 넘어온것같네요.


일단 저같은 exsi라는 단어자체를 안지 며칠안된 그런 초보자분들이 계시다면 몇가지 핵심적인부분을

알려드리고싶습니다.


1. 설치후 무한복구모드가 들어가거나 혹은 hdd를 여러개 묶기전에 vm이나 기타 헤놀등을 설치하다가

  한번에 진행안될가능성이 초보의경우 매우 높기때문에(저포함) 필요할때마다 바로바로 하드를 클린하게

  만들수있도록 미리 부팅usb하나 만들어두시는게 도움됩니다. 저같은경우엔 esxi세팅후 vm에 rdm으로 드라이브2개를

  미리 올려둔상태에서 헤놀설치하면서 무한복구모드 or 재설치를 헤놀 부트로더를 바꿔가며 한 열번은 넘게 한것같은데

  그때마다 헤놀이 잘못깔려있는걸 깨끗하게 밀어주기위해 윈도우7부팅usb를 하나 만들어둔다음 헤놀설치후 잘못됐으면

  윈7 usb부팅후 rdm으로 잡아둔 하드두개 파티션날리고 다시 클린한상태에서 시작하고 그런식으로 작업했습니다.

  


2.  제품종류를 바꿔가며 시도해보는게 좋습니다.

   저같은경우엔 랜포트를 총 3개를 쓸 예정이었기때문에 918+는 랜포트2개에서 설정을 바꿔도 2개에서 늘어나지않는다는얘기를

   봤기때문에 3615 6.2.3으로 계속 시도하고있었는데 3617 6.2.3로 하니까 무한복구모드는 한방에 문제없이 해결됐습니다.

   확장드라이버같은것은 따로 넣지않았고 헤놀포럼의 6.2.3용 기본부트로더를 받으셔서 vmdk파일로 이미지변환후 사용해보세요.

   (StarWind V2V Converter)

   최신버전을 쓰는게 나름 좋다고 생각되므로 6.2.3으로 3615/3617/918+등을 시도해본후 안된다면 6.2.2로 시도하고 그런식으로  

   접근해야 문제해결에 도움되실겁니다.


3.  하드2개+부팅용USB한개 이런식으로 네이티브처럼 깨끗하게 진행하고싶었으나 한참의 삽질끝에 이렇게해서는 깔끔한세팅이

   되지않는다는걸 개인적으로 느끼고 최종적으로는 아래와같이 세팅했습니다.

   / ESXI OS + VM생성 및 드라이브마운트용 320기가 하드1개 + 헤놀데이터볼륨전용으로 3테라 1개 + 12테라 1개 = 총 3개의하드 /

   usb에 esxi를 설치후 부팅해서 usb의 남는공간에 데이터스토어를 생성후 vm을 만들고 그쪽에 하드두개를 rdm으로 마운트하려했으나

   부팅시 사용된 usb도그렇고 따로 usb를 빈포트에 하나더 끼워봐도 그렇고 usb에는 절대 데이터스토어가 만들어지지않네요.

   데이터스토어를 만들수없기때문에 vm도 생성할수없고 진행이 안됩니다.

   거기다가 나머지 하드2개는 rdm으로 쓸것이기때문에 vm을 만들면안되니 결국 진행이 불가능합니다.

   한 이틀검색계속하다보니 결국 usb에는 vm생성이 불가능하다는 자료가보여서 깔끔하게 그냥 usb없이 320G os용 하드 + 데이터하드2개로

   마무리했습니다. 하드끼워서 설치하고나면 하드드라이브는 usb와는 다르게 esxi를 설치하고 남은공간에 vm을 생성할수있습니다.

   vm생성후 rdm으로 데이터전용으로 사용할 빈 드라이브2개를 걸어주면됩니다. 저처럼 usb에 데이터스토어 왜 안되나 하면서

   찾아헤매이고 시간버리는분 없길바랍니다.


4. grub.cfg에서 편집할부분은 딱히 없는것같습니다. 인터넷보니까 뭐 시리얼번호도 생성기로 생성해서 넣으라는 설명도보이고그랬는데

  그냥저는 맥어드레스하나만 편집했고 사타포트도 그냥 기본값1인데 그거 그냥놔뒀습니다. 근데도 하드두개 잘 잡힙니다.

  아.. 마지막부분에 메뉴띄워주는부분에서 esxi부분제외하고 나머지들은 앞에 #넣어서 주석처리해서 부트로더로 부트시 esxi메뉴로

  바로들어가게 했습니다.


5. vm설정에서 320g하드에 vm만들어준다음 데이터하드추가는 rdm으로 하는게 깔끔한것같습니다. 데이터스토어를 만들어서 써도되는데

  별로인것같습니다. 왜 별로냐고하시면 딱히 지금 설명하긴어려운데 뭔가 삽질한참해보니 이거별로다 싶어서 그냥 전 rdm으로 갔습니다.

  헤놀의 소프트웨어 레이드로 단일볼륨을 쓰고싶기도했고요.(rdm하지않으면 단일볼륨이 불가능한것같진않은데 뭔가 복잡해지는것같았습니다)


6. vm에서 하드드라이브 세팅시 인터넷자료들보면 다들 sata컨트롤러 추가해서 하드드라이브를 sata컨트롤러에 연결하시던데 저는 하드인식에

  문제가있어서 sata컨트롤러로 잡고 들어가면 하드드라이브가 2개인데 1개밖에 안뜨거나 하는식으로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scsi컨트롤러를 추가해서 rdm된 하드2개 scsi 0:0 / 1:0잡고 sata컨트롤러추가해서 부팅용하드(320G)만 sata 0:0으로 연결했습니다.

  이렇게 하니까 하드인식 잘되었습니다. 부팅용하드까지 전부 scsi 0 / 1 / 2 이런식으로 잡아봤는데 이렇게 하니까 저같은경우엔

  초기설치시 하드 1 2 3번의 데이터가 모두 지워집니다. 이렇게 부트이미지가 들어있는번호까지 다 포맷한다는식의 메세지가 나와서

  부트이미지가 들어있는곳까지 포맷해도되는건가?? 싶은마음에 데이터저장용 드라이브 2개만 메세지가 나오는쪽으로 시도하다보니

  scsi로 잡지않은 번호는 메세지가 안뜨더군요. 그래서 그냥 부트이미지용 하드번호엔 sata로 걸어줬습니다.


좀 정신없는 글이 되버렸는데... 종합적으로 저의 설치기를 정리하자면 이렇겠네요.



esxi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검색 => 설치마친후 데이터스토어를 3테라 12테라에 막 잡아서 vm만들어보고 하다가 이거좀 아니다싶어서 rdm검색.

rdm하기전에 vm만들어야된다는거 알아서 vm을 esxi가 설치되어있는 usb의 빈공간에 만들려고 삽질중 결국 usb엔 못만든다는거 알아서 하드추가.

하드추가후 거기에 esxi설치후 vm까지 잡은후 다시 rdm검색해서 3테라 12테라 rdm까지성공.


esxi는 일단 준비가 다 된것같아 그때부터 헤놀부트이미지받고 편집하고하면서 설치시작 부팅안되고 헤놀안올라옴. 부트이미지최신버전으로

새로다운로드. vmdk파일로 이미지변환후 vm에 넣어주고 다시부팅. 부팅성공. 헤놀검색되서 들어갔지만 하드없음메세지 or 하드정상인식안됨.


검색계속하다가 결국 scsi 컨트롤러 + sata컨트롤러 조합으로 하드정상인식.(scsi컨트롤러 반가상화모드선택)

인식후 dat파일 설치했으나 무한복구모드. 윈7 usb로 계속 재설치때마다 usb로 새로부팅해서 rdm드라이브 두개 파티션삭제반복.


계속시도하다고 검색하다가 답이없어서 3615말고 3617로 해보자싶어서 3617로 부트이미지 새로만들고 vm에 다시넣어주고

윈7usb로 파티션또 날리고 처음부터 다시설치. 성공.


지금보면 별것아니라서 다 작업하는데 한시간도 안걸릴것같은것들이 모르고 경험이없으면 사람을 이렇게 힘들게 할수있다는걸

뼈저리게 느낀 며칠이네요.


저같은 esxi가 뭔지 진짜 안지 며칠안된 그런 초보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합니다.

저도이제 설치해서 돌아가는것까지는 만들었으니 최적화하고 세팅마무리하면서 천천히 작업해봐야겠네요.

그럼..뿅..

super cpu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지존컴퓨터 2020-10
본문에 잘못된프로그램명을 써놔서 수정했습니다. winimage(x) = > StarWind V2V Converter(o)
RIGIDBODY 2020-10
헤놀은 정품시리얼 없으면 Dsphoto, Moments에서 동영상 썸네일 생성이 안됩니다. 기존 정품 시놀로지 시리얼을 넣으시거나 타오바*에서 구매하셔서 넣을 수 있습니다..
화정큐삼 2020-10
결국 성공하셨군요.
제가 어제 찾아보았던 2013년 가이드에 이어서
2020년 업데이트 버전 ESXI 설치가이드가 될것 같습니다.
저도 알려주신대로 한번 따라해 보겠습니다.
저는 하스웰에 918+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화정큐삼 2020-10
어제 새벽까지 ESXI 6.7 ISO USB에 구워서 HDD에 설치연습 해봤습니다. 메일로 받은 라이센스도 입력하구요.
그런데, OS는 USB에 설치되는것 보다는 별도의 HDD에 설치되는게 안전하다고 하셔서
ESXI HDD를 좀 빠르고 쌩쌩한놈으로 골라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HDD베이가 풀로 차서 따로 1개를 마련해야 해서 고심중입니다. ㅜㅜ
     
지존컴퓨터 2020-10
USB보다 하드가 안전하다기보다는 USB라는 저장매체에는 ESXI에서 VM을 생성하지못합니다. 그게 하드드라이브가 필요한 가장큰 이유죠.
나라사랑 2021-07
저도 지금 고생하고 있습니다.
vm상에서 부팅이안되는문제, 혹은 부팅은됐으나 헤놀이 네트웍에 올라오지않는문제, 부팅도되고
네트웍에도 올라왔지만 하드가없어서 진행이안되는문제, 하드에 설치는되는데 무한복구모드...
이러합니다.
918+ 는 전혀 헤놀이 네트웍에 올라오지 않는문제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3615 설치를 하니 또 무한 복구가 되어버립니다.

dell PowerEdge T420 CPU: 6 CPUs x Intel(R) Xeon(R) CPU E5-2420 v2 @ 2.20GHz
여기에 설치를 하려고 하는데 정말 안되네요.
위 918+ 네트웍에 올라오지 않는 문제 어떻게 해결을 했는지 정확하게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NAS
제목Page 91/307
2014-05   5131418   정은준1
2015-12   1666197   백메가
2020-10   2279   요요요니
2020-10   2005   준14
2020-10   1586   준14
2020-10   3466   지존컴퓨터
2020-10   4286   테츠
2020-10   3470   한효석
2020-10   2765   nas초보초보
2020-10   2478   마망고
2020-10   3055   지존컴퓨터
2020-10   2276   별마
2020-10   1961   nas초보초보
2020-10   2341   지존컴퓨터
2020-10   2363   만곰이
2020-10   1700   만곰이
2020-10   2598   지존컴퓨터
2020-10   2428   joon517
2020-10   3847   민사장
2020-10   1999   어꾸기
2020-10   1892   지존컴퓨터
2020-10   1684   Geano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