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ycore 7.0.1 설치 진행중 문제.. 랜카드 인식?

Rainwalk   
   조회 3142   추천 0    

안녕하세요,

화정큐삼님 강의보면 헤놀로지를 설치하고 있는데요, 역시나 예전처럼 고생이 되는군요^^

강의 내용 대로


tc@box:~$ ./rploader.sh serialgen (DS3622xs+/DS918+/DS3615xs/DS3617xs/DS1621+/DS920+/DV3221 중 택1)

tc@box:~$ ./rploader.sh identifyusb now

tc@box:~$ ./rploader.sh satamap now (HBA 카드 유저는 불필요)

요기까지 잘 진행하였고, 


이후에 vi user_config.json 상에 mac1 만 실제 연결된 랜카드 (HP 560SFP+)의 맥주소로 변경해 주었구요

일단 build 명령까지는 진행을 하고, sudo reboot 후에는 네트워크에서 랜카드가 잡히지 않습니다..ㅜㅜ

어렵네요... 

vi로 맥주소를 변경치 않고 그냥 진행하면, serialgen 명령후 나타나는 맥주소가 네트워크에서 잡혀 시놀로지 설치가 진행되는듯 하지만,

설치후 10분 카운트가 지나면 다시 먹통으로 나타나지 않네요.. 아이고 힘들어라...


혹시 제 랜카드 HP 560SFP+가 tinycore에서 지원되지 않는건지요?

그렇다면, 확장 드라이버 설치를 어떻게 하면 되는지 고수분들의 친절한 지도를 부탁드립니다..ㅜㅜ


역시 저한테는 안쉽군요^^


(추가) 아래 캡춰처럼 있지도 않은 mac 어드레스와 ip가 잡히네요 (공유기에서도 확인되요..)... 저건 serialgen 명령어때 나타나는 것이고.. 제가 VI에디터로 

user_config.json 파일을 제 랜카드로 수정했는데... 검색하면 저렇게 뜨고, 설치 진행하면 10분 카운트후에 사라지거나,

설치진행 47% 또는 55% 정도에서 네트워크 문제가 있다고 실패합니다..ㅜㅜ 공유기 네트워크 상에서도 사라지네요.. 헐..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나이쑤guy 2022-04
tc가 확장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추가 시켜 줄건데요 혹시 제대로 add가 되었는지 확인 한번 해보셔야 할듯 합니다
     
나이쑤guy 2022-04
댓 달고 나니 내용이 추가 되었네요...vi로 수정한후 cat user_config.json로 해서 제대로 수정이 되었는지 확인을 한번 해보셔요...sn이나 맥이 수정한데로 되었다면 그때 빌드 하심 되고요
          
최만용 2022-04
네, 수차례 확인하고 빌드하는데도 그러네요...
혹시 확장드라이버 설치나 확인을 어떻게 하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리눅스는 아는게 없고 나스는 수년에 한번 설치하다보니...ㅜ
               
나이쑤guy 2022-04
부트로더 설치된 USB를 윈도우 설치된 컴퓨터에 꽂으면 안에 든 파일을 볼수 있을거에요...custom.gz 파일을 압축파일로 열어서 (전 7-zip으로 열어요) exts 폴더로 들어가면 추가된 ext가 폴더명으로 해서 들어가 있을거에요. 예를들어 pocopico.r8169 이게 있다면 리얼택랜 드라이버 r8169가 자동 추가 된거죠...
                    
최만용 2022-04
너무 감사합니다 나이스가이님..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muro 2022-04
https://github.com/pocopico/rp-ext
여기가 확장드라이버 목록인데... 해당 hp카드는 안 보이네요
10Gbps카드에 지빅 꽂아 쓰시는건가여?
     
최만용 2022-04
네, 그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DSM 설치단계까지 진입하셨다면, 일단 랜카드가 1차로 인식은 한것 같은데,
재부팅 과정에서 사라지거나 DSM 인스톨 과정에서 47%, 55%에서 멈추면 먼가 ko 드라이버가 불안정한 상태 같아 보이는데요.
HBA 카드같은 LSI 컨트롤러는 없는 상태이신거죠?
47%나 55% 멈춘 상태(junior 상태)로 에러메시지 보셨을때 아래 방법으로 로그 올려봐 주시기 바랍니다.

[웹브라우져 ttyd 콘솔접속방식]
http://192.168.1.139:7681/

위 접속이 안되신다면 아래 방법으로 텔넷을 켜고 접속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2cpu.co.kr/nas/37523

id : root 에 암호는 없습니다.

cat /var/log/junior_reason
cat /var/log/*rc*
     
최만용 2022-04
넵 , 감사합니다 화정큐삼님. 
다른 카드는 아직 꼽지 않고 설치만 진행해 보는것 맞습니다. 
진이 빠져서 던져두었는데 다시 해 보겠습니다.
     
최만용 2022-04
다시 조립해서 했는데, 여전히 55% 정도에서 실패로 뜨네요.. 물론 ip주소와 mac 주소는 실제가 아닌 serialgen 명령어시 뜨는 엉뚱한 것이 잡히구요...

말씀하신대로 다시 부팅해서 build 선택해서 Putty 접속후 알려주신 명령어 cat /var/log/junior_reason 쳐봤는데,
그런 디렉토리는 없다고 안나오네요.. 둘 다...
dateno1 2022-04
일단 수동으로 넣은 맥 안 맞는값 같네요

그리고 벤더제는 TC로 잘 안 되는 경우 꽤 있습니다

귀찮아도 기존대로 리눅에서 수동으로 빌드후 그걸로 해보세요

마지막으로 그냥 안 된다고 해도 곤란하니 시리얼로 디버그해보세요
     
최만용 2022-04
맥값은 ifconfig로 확인하고, 보드의 맥주소도 함께 맞는것 확인해서 진행했습니다...
말씀처럼 예전 6.2.3 따라했을때? 방법으로 해보고 싶은데, 그방법으로 7.01 설명은 없어서 따라하기가...ㅜㅜ
          
dateno1 2022-04
https://blog.dateno1.com/?p=3853
https://blog.dateno1.com/?p=3993
이렇게 하면 됩니다

최신으로 받으면 7.1.0 올라갑니다
               
화정큐삼 2022-04
리눅스 수동 방식이라도 결국은 pocopico님 드라이버 밖에는 없을텐데요?
HP 560SFP 카드와 정확히 호환이 가능한 드라이버 제공이 가능할지를 pocopico님께 물어보는게 더 빠르고 정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때로는 추가 드라이버가 필요하다고 요청하면 제작도 해주십니다.
금일도 mvsas 라는 드라이버가 신규 추가 되었네요.
https://xpenology.com/forum/topic/49226-redpill-extension-drivermodules-request/page/6/?tab=comments#comment-277458

HP 560SFP 는 intel X520-DA2 칩셋이네요.
위 인텔 칩셋으로 추가요청을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인텔 X520 칩셋은 ixgbe 에 해당되네요.
TC 안에서는 자동으로 ixgbe 가 내려갔을것 같은데, 아닌가요?
로더 빌딩 로그를 보셔도 됩니다.

https://raw.githubusercontent.com/pocopico/rp-ext/master/ixgbe/rpext-index.json

드라이버 통합팩에는 PROXGB 폴더의 LINUX내 존재하는 파일을 보니
아래와 같이 readme.txt 가 있네요.

This release includes ixgbe Linux* Base Drivers for Intel(R) Ethernet Network
Connections.

The ixgbe driver supports devices based on the following controllers:
  * Intel(R) Ethernet Controller 82598
  * Intel(R) Ethernet Controller 82599
  * Intel(R) Ethernet Controller X520
  * Intel(R) Ethernet Controller X540
  * Intel(R) Ethernet Controller x550
  * Intel(R) Ethernet Controller X552
  * Intel(R) Ethernet Controller X553
- The ixgbevf driver can only be activated on kernels that support SR-IOV. It
  supports all of the above devices except for the Intel(R) Ethernet
  Controller 82598.

ixgbe-x.x.x.tar.gz
ixgbevf-x.x.x.tar.gz

Du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Linux kernel, the drivers are updated
more often than the bundled releases. The latest driver can be found on
http://e1000.sourceforge.net (and also on http://downloadcenter.intel.com).
                         
최만용 2022-04
네, 감사합니다.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사실 진이 빠져서 어제 다시 해체헤 놓고 말았는데, 오늘 다시 조립해서 재시도 해 보겠습니다.
해보면서 로그등 말씀 드리겠습니다~
                    
dateno1 2022-04
증세 보면 디스크 컨트롤러 문제일 가능성과 DSM 부트 실패 (처음 1회는 성공해서 설치 시도 가능하니) 양쪽 다 고려해야한다고 봅니다

제경우 잉텔 온보드 내장이라 수동 컴파일시 아무 문제없이 잘 깔리는 컴도 TC로 시도하니 실패하는 경우 몇번 있었습니다

전에도 애기한적 있지만 TC의 자동 Driver 추가 기능 너무 과도한 드라이버 추가를 시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Extra 제외하면 아무 차이 없을껀데도 부트 실패함)

예를 들어 온보드 + 8111정도라면 Boot-wait을 제외하면 Redpill 기본 추가되는 드라이브를 제외하고 아무것도 없어도 정상작동하는데도, TC로 시도하니 스크롤이 생길정도로 과도한 드라이버를 추가 시도하더군요

그리고 DSM 버전에 따라 다르지만, 저분말고도 Driver 제공하는분 2~3명정도 더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최만용 2022-04
그렇군요.. 역시 어렵네요^^
                         
화정큐삼 2022-04
최신 드라이버 개발은 pocopico님이 거의다 개발해서 맞춰주신다고만 알고 있었는데,
이정도까지 다양한 드라이브를 개발해서 커버해 주시는분이 없을텐데요?

그냥 초기 기본 드라이버 5~6개 정도 개발하고 보유하신 jumkey님과 dogodefi / jimmyGALLAND 정도가 다가 아닐까 싶은데요.
pocopico님 레벨로 랜카드 드라이버까지 보유하고 계신분 혹시 아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저도 궁금합니다.^^

TC가 저렇게 과도한 드라이버를 트라이 하는지는 저도 몰랐습니다.
최근에 와서 로그분석하는 방법을 알았는데,
툴체인으로도 만들어서 한번 비교해 봐야겠습니다.
TC는 DS920+에서 HBA가 전혀 인식이 안되는게 mpt3sas 드라이버 로딩실패가 나와서 다른방법을 찾아보려 고민중였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ateno1 2022-04
대부분 손 놓다시피한듯한데, 초기에 redpill 나왔을때 좀 더 있던걸로 기억하고 있을뿐입니다

TC쓰면 예를 들어 8111 Redpill자체로도 처리 되는걸 Realtek NIC용 올려버리고, 당시에 귀찮아서 일일히 확인도 안 했는데 스크롤이 쭉~ 올라가면서 이것저것 추가되었었습니다 (참고로 당연한 애기지만 불필요한 드라이버 적재는 비추 사항입니다)

툴체인으로 하면 Virtio + BootWait을 제외하면 수동으로 추가 안 하면 아무것도 안 들어가죠

최근 ThinkCentre M710s에서 시험했을때도 TC는 설치 화면까지 가지도 못했습니다

자동 추가되는걸 확인해서 불필요한걸 다 지우면 될꺼라 생각되는데, 편하기땜에 쓰는게 TC인데, 거기까지할꺼면 그냥 툴체인 써도 별 문제 없으니 손이 안 가네요
               
최만용 2022-04
아, 감사합니다.  맥이 뺘져 해체해 놨는데, 조립해서 다시 시도해 보겠습니다
최만용 2022-04
화정큐삼님.  다시 조립해서 했는데, 여전히 55% 정도에서 실패로 뜨네요.. 물론 ip주소와 mac 주소는 실제가 아닌 serialgen 명령어시 뜨는 엉뚱한 것이 잡히구요...

말씀하신대로 다시 부팅해서 build 선택해서 Putty 접속후 알려주신 명령어 cat /var/log/junior_reason 쳐봤는데,
그런 디렉토리는 없다고 안나오네요.. 둘 다...
최만용 2022-04
여전히 같은 증상이네요... 기억해 보니, 예전에 jun 로더로 설치할때도 네트워크에서 사라져서 고생하다 누가 알려주셔서
synoinfo.conf란 파일에 maxLanport 의 수치를 늘려서 해결을 했던것도 같습니다...  혹시 tiny에서 어느 파일에서 이렇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을지 아시는분 계신지요..

제가 서버보드 X10DRLi를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IPMI 랜포트가 기본 LAN이 2개고, 제가 10G카드인 560SFP+를 설치해서 이 보드를 쓰는거라
LAN포트가 많은 거라 그런거 아닌지 싶어서요..
최만용 2022-04
빌드를 하면, 마지막에 아래와 같이 메세지가 나오는데, 맞는지요?

=======================================================================
menuentry 'RedPill DS3615xs v7.0.1-42218 (USB, Verbose)' {
menuentry 'RedPill DS3615xs v7.0.1-42218 (SATA, Verbose)' {
menuentry 'Tiny Core Image Build' {
Caching files for future use
Found /home/tc/redpill-load/cache/ds3615xs_42218.pat, copying to cache directory : /mnt/sdb3/auxfiles
cp: preserving permissions for '/mnt/sdb3/auxfiles/ds3615xs_42218.pat': Operation not permitted
     
화정큐삼 2022-04
DS3615xs 쓰실거면 가능하면 DS3622xs+ 로 빌드해 보십시요. 레드필에선 가장 안정화 되어 있는 플랫폼입니다.
마지막
cp: preserving permissions for '/mnt/sdb3/auxfiles/ds3615xs_42218.pat': Operation not permitted
는 에러메시지가 아닌 경고 메시지 입니다.
에러는 아니니 무시하고 진행하셔도 무방합니다.
          
최만용 2022-04
예, 감사합니다.  3622가 잘 안되서 3615로도 해 보고 있습니다...  지금 ip와 mac까지는 제대로 매칭되어 잡히고 있는데... 설치가 48%에서 계속 실패로 중단이 됩니다..ㅜㅜ 
공유기 상으로 보면 헤놀로지 설치 pc의 ip가 나타났다 사라졌다... 불안정하게 반복되는데, 참...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네요..ㅜㅜ

혹시몰롸 3617로 해보고도 싶습니다.  3617의 build 명은 무엇인지요?... broadwellnk 같은...
               
화정큐삼 2022-04
제가 저 명칭 일일이 찾아가면서 하실 필요없이 더 편하게 스크립트 툴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지금 하나씩 입력하시는 명령어를 한번에 다 수행해줍니다.

tc@box> 상에서 아래처럼 입력해 보십시요.
wget https://github.com/PeterSuh-Q3/tinycore-redpill/raw/main/m.sh.gz; tar -zxvf m.sh.gz;
./m.sh DS3617xs
                    
최만용 2022-04
와... 거의 실시간 답변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해보겠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오늘 밤은 저도 920+/ 1621+ 툴체인으로 빌드 하느라 계속 PC 앞에 있을 예정입니다.
문의 계속 주십시요.
지겨 보겠습니다.^^
최만용 2022-04
아이고... DS3617, DS3615 모두 동일하게 47% 까지만 진행되고는 실패가 되네요....헐... 진이 다시 빠지는 군요.
     
화정큐삼 2022-04
랜카드 호환성 문제인지 로그를 한번 보고 싶은데 어려울까요?
          
화정큐삼 2022-04
47% 멈추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하셔야 합니다.
헤놀 PC 끄시면 안되구요.

[웹브라우져 ttyd 콘솔접속방식]
http://192.168.1.139:7681/

위 접속이 안되신다면 아래 방법으로 텔넷을 켜고 접속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2cpu.co.kr/nas/37523

id : root 에 암호는 없습니다.

cat /var/log/junior_reason
cat /var/log/*rc*
               
최만용 2022-04
바로 해보겠습니닷
                    
화정큐삼 2022-04
잘 안되시나요?
안되시면 안되시는점 바로 알려주세요.
                         
최만용 2022-04
아래 봐주세요~
최만용 2022-04
화정큐삼님, 이렇게 나오네요..
DiskStation> cat /var/log/junior_reason
Exit on error [99] rp ext init exec failure...
DiskStation> cat /var/log/*rc*
START /linuxrc.syno.impl
Insert Marvell 1475 SATA controller driver
Insert basic USB modules...
:: Loading module usb-common ... [  OK  ]
:: Loading module usbcore ... [  OK  ]
:: Loading module xhci-hcd ... [  OK  ]
:: Loading module xhci-pci ... [  OK  ]
:: Loading module usb-storage ... [  OK  ]
:: Loading kernel modules from extensions ...
Loading kmod #0 "i2c-algo-bit.ko" for pocopico.igb (args: )
Loading kmod #1 "dca.ko" for pocopico.igb (args: )
Loading kmod #2 "igb.ko" for pocopico.igb (args: )
Loading kmod #0 "dca.ko" for pocopico.ixgbe (args: )
insmod: can't insert 'dca.ko': File exists
ERROR: kernel extensions "dca.ko" from pocopico.ixgbe failed to load
Exit on error [99] rp ext init exec failure...
Fri Apr 22 11:11:04 UTC 2022
none /sys/kernel/debug debugfs rw,relatime 0 0
     
화정큐삼 2022-04
헤놀포럼에 pocopico 님께 로그 올려서 문의하겠습니다.
예상했던대로 10G 랜카드 드라이버 오류가 맞네요.
          
최만용 2022-04
아유... 너무 감사드립니다.  좋은 개인용 NAS를 갖는게 참 매번 힘들군요..  리눅스 참 어렵습니다.
기다리겠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문의 올렸습니다. pocopico 님이 지금 로그인하고 계셔서 바로 답변이 올것 같습니다.

https://xpenology.com/forum/topic/49226-redpill-extension-drivermodules-request/?do=findComment&comment=277705
                    
화정큐삼 2022-04
혹시 추가로그 요청이 있을수도 있으니 대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근데, 포코피코님이 정확히 분석해 주시겠지만,
제가 얼핏봐도 dca.ko 파일이 중복복사 되는것 같은데요?
인텔내장랜카드가 하나더 있으신건가요?
igb 로 잡히는 랜 드라이브가 있다는건 하나가 더 있다는겁니다.
10GB 하고 이 1GB 하고 같이 쓰실수 없을것 같은데요?
이 내장랜카드는 죽이고 다시 빌드 해보실수 있나요?
                         
화정큐삼 2022-04
답변이 왔는데, 아래처럼 모호하게 답변이 왔습니다.

already solved. Please use pocopico github redpill-load repo

항상 보면 충분한 설명없이 이렇게 답변받으면 참 황당합니다.
어떻게 사용을 하란건지...

일단 제가 제시한 1G 내장랜을 BIOS 에서 먼저 비활성화 시키고 빌드해봐 주시겠어요?
최만용 2022-04
넵. 감사합니다.
서버보드라, 원래 내장된 랜카드 2포트가 있습니다.  이걸 죽이고 다시 해 보고 말씀드릴께요~
     
화정큐삼 2022-04
잘 되시나요? ^^
무소식이 희소식인가요? ㅎㅎ
          
최만용 2022-04
아오... 뭐하나 하는데 이리 걸리는지.. 랜 죽이는데 메뉴얼 보고 점퍼 찾아 설정하고...putty가 자꾸 끊겨서 빌드를 못하고 있네요..ㅜㅜ
잠시만요...
화정큐삼 2022-04
포코피코님 답변을 한번더 받았습니다.
중복성이 문제가 안되게 조정을 해야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igb / ixgbe 두개 랜카드는 dca.ko 사용에 있어 중복성이 있어서 같이 사용하면 안되는 랜카드가 맞는것 같습니다.

When you load extension that use overlapping dependencies the initial script will fail. I modified the script to load the module only if it’s not loaded.
     
최만용 2022-04
보드 랜카드를 죽이라는 말씀이시죠??  지금 계속 빌드 시도하고 있어요... 네트워크 연결이 너무 상태가 안좋네요... 충돌때문인지..
          
화정큐삼 2022-04
서버보드가 듀얼랜 쓰고 있지 않으신가요? 거기에 10G 랜 해서 총 3개 랜카드가 있으신게 아닌지, 보드 모델이 어떤건가요?
igb / ixgbe 가 둘다 살아 있는 상태라면,
TC 도 같은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 드라이버 충돌로 빌드도 영향을 받지 않을까 싶습니다.
둘중 하나는 반드시 확실하게 죽여야 할듯 합니다.
               
최만용 2022-04
위에 적었듣이, 슈퍼마이크로 X10DRLi 입니다.  보드내장으로 기가랜2개, IPMI 1개 있구요, 제가 560SFP+ 카드 2포트짜리를 꼽아서 이 카드를 쓰고 있습니다.
랜 포트만 보면 총 5개가 되는데, 일단 BIOS에서 랜 2개를 DISABLE 했고, 보드 점퍼로 IPMI (SMB)를 죽였습니다.
bios로 죽인게 잘 반영되었는지 확인은 못하겠네요...
최만용 2022-04
헐... 3617 빌드가 안되네요.. 외국 서버가 지금 막힌거 같은데요??
다른 버전으로 다시 해 보겠습니다....ㅜㅜ
     
화정큐삼 2022-04
가능하면 DS3622xs+ 로 해보십시요.
          
최만용 2022-04
네,, 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제 시스템에는 3615/3617 이 더 잘되는거 같아서...^^  해보겠습니다.
          
최만용 2022-04
이상해요... 3622로 하면 아예 네트워크에서 완전히 사라집니다...  3615나 3617로 하면, 네트워크에서 잡혀서 그나마 47%까지는 진행이 되는데...
다시 3617로 한번 해보겠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47%에서 멈추는 현상은 아직도 igb 드라이버가 걷어내지지 않은것 같습니다.
47% 에서 멈추실때 아까 위에 로그 한번만 더 떠봐 주시기 바랍니다.
3622 와 3615나 3617 의 상황이 다른 이유는 아마 랜카드 드라이버를 체킹하는 스크립트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면 알것 같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그런데, 7.1-42661 빌드가 되시나요?  드라이버 리비전 대응이 안되어 있던데요?
지금 7.1-42621 로 빌드 하시는거죠?
그리고 제가 드린 m.sh 은 7.1-42661 빌드 전용이라 사용을 못하고 계실것 같은데요? 그렇지 않나요?
                         
화정큐삼 2022-04
중간중간에 ./rploader.sh clean now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그러면 아까 빌드했던 igb 드라이버 가 계속 잔존해 있습니다.
                         
최만용 2022-04
저는 지금 7.0.1-42218만 하고 있습니다.  ...  7.1 빌드는 그 이후에 어찌하는지 여쭤보려고 했지요..ㅜㅜ
지금 bios에서 죽인 on-board 랜포트에 랜선 꼽아보니 안죽어 있네요...  메뉴얼 찾아서 죽여보려고 보고 있습니다..  확인되면 빌드해 보구요...늦게 감사합니다.
최만용 2022-04
일단 랜을 죽이고 나서(확인완료) 3622는 여전히 빌드후에 네트워크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다시 3615로 해보고 멈추면, 로그화면 떠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화정큐삼 2022-04
네, 기다리겠습니다.^^
          
최만용 2022-04
아이고... 보드에서 랜포트와 ipmi를 죽인 이후로는 3615로도 커널 빌드후에 네트워크상에 나타나지를 않네요..ㅜㅜ  아~  어렵습니다^^
아무래도 지쳐 오늘은 이만 접어야 겠습니다... 늦게까지 너무 감사드립니다.  내일 다시 시도해보고, 로그화면 떠서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하고 편히 주무십시요..^^
               
화정큐삼 2022-04
인텔 랜카드 말고 또 다른 여유분의 랜카드가 있으시다면 ex) r81111e (r8169) 를 하나 붙여서 충돌은 피하면서 로그를 볼 수 있을것 같은데요.
충돌은 피하기는 했으나, 혼자 남은 ixgbe 가 이제는 아예 동작을 못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랜이 자꾸 안붙으면 정말 피곤합니다.
저도 많이 겪어 봐서 압니다.
더 이상 시간을 쓰지 않으시는 방법으로 추가 랜카드 장착으로 시험을 한번 고려해 보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주무신후 내일 답변 주십시요.^^
                    
최만용 2022-04
ㅜㅜ 네, 고려해 보겠습니다... 욕심에 10G 를 구축하고 싶어서 몇장 구해놓아서... 안되면 그리라도 해 볼까 생각해 봐야지요..
늦게까지 감사드립니다~~^^
최만용 2022-04
마지막으로, 죽인 랜포트중 1개만 살리고 다시 시도했더니.. 전과같이 네트워크에서는 잡히지만 여전히 47%에서 실패로 중단됩니다.
이때 로그는...


DiskStation> cat /var/log/junior_reasoncat /var/log/junior_reason
cat: can't open '/var/log/junior_reasoncat': No such file or directory
Exit on error [99] rp ext init exec failure...
DiskStation> cat /var/log/junior_reasoncat /var/log/*rc*
cat: can't open '/var/log/junior_reasoncat': No such file or directory
START /linuxrc.syno.impl
Insert Marvell 1475 SATA controller driver
Insert basic USB modules...
:: Loading module usb-common ... [  OK  ]
:: Loading module usbcore ... [  OK  ]
:: Loading module xhci-hcd ... [  OK  ]
:: Loading module xhci-pci ... [  OK  ]
:: Loading module usb-storage ... [  OK  ]
:: Loading kernel modules from extensions ...
Loading kmod #0 "i2c-algo-bit.ko" for pocopico.igb (args: )
Loading kmod #1 "dca.ko" for pocopico.igb (args: )
Loading kmod #2 "igb.ko" for pocopico.igb (args: )
Loading kmod #0 "dca.ko" for pocopico.ixgbe (args: )
insmod: can't insert 'dca.ko': File exists
ERROR: kernel extensions "dca.ko" from pocopico.ixgbe failed to load
Exit on error [99] rp ext init exec failure...
Fri Apr 22 17:06:54 UTC 2022
none /sys/kernel/debug debugfs rw,relatime 0 0

이렇네요... 오늘은 이만..ㅜㅜ
     
화정큐삼 2022-04
10G ixgbe 랜카드 없이 1G 내장 랜카드만 가지고 7.0.1 설치는 일단 성공해 보신거죠?
랜카드 말고 다른변수는 없는지 사전 확인해 보는것도 나쁘진 않을것 같아서요.


NAS
제목Page 42/308
2015-12   1770646   백메가
2014-05   5245240   정은준1
2022-04   1349   Rainwalk
2022-04   3348   화정큐삼
2022-04   1773   FOXBI
2022-04   1634   sungsung
2022-04   1963   화정큐삼
2022-04   1309   화정큐삼
2022-04   1495   FOXBI
2022-04   1503   stimss
2022-04   2644   퍼싱글
2022-04   2069   화정큐삼
2022-04   1650   Rainwalk
2022-04   1812   나스밍재
2022-04   1807   화정큐삼
2022-04   1452   화정큐삼
2022-04   1657   Rainwalk
2022-04   1329   나스밍재
2022-04   3143   Rainwalk
2022-04   1365   뭐든팔아요
2022-04   1534   막울었어요
2022-04   1468   회로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