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 NAS 구성하는 분들께 드리는 깨알같은 팁

RuBisCO   
   조회 2539   추천 1    

대부분의 마더보드의 바이오스엔 AHCI 쪽에 Staggered Spin Up 기능이 있습니다.

하드디스크의 경우 스핀업시의 소비전력이 스펙상의 평균 소비전력보다 훨씬 높아지는 편인데 시스템에 따라서는 디스크를 여러개 달다보면 스핀업이 감당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니면 DC to DC 처럼 제한된 출력만 사용가능한 조합을 하고 싶은 상황에서도 비슷한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전원계통의 부하를 줄여주기 위해서 스핀업을 순차적으로 늦춰서 걸어주는 기능입니다. 

평균소비전력 대비 PSU의 출력 마진을 넉넉하게 잡지 않더라도 스핀업 부하를 시간적으로 분산시켜 감당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라 꽤 쏠쏠합니다.

특히 일반 ATX PSU에서야 여유가 있어서 괜찮지만 대개 DC to DC의 경우 효율은 NAS의 평균 이용구간에서 높은 편이지만 대신 출력이 많이 제한되는데, 이렇게 스핀업 부하를 줄여주면 부족한 공급용량에 스핀업으로 순간적으로 심하게 걸리는 것을 막아줍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나이쑤guy 2023-03
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덕분에 한 가지 알게 되었네요
송진홍 2023-03
오~ 레이드 카드에만 있는 기능인 줄 알았는데
메인보드에서도 기본으로 제공할 거라고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네요..
개인적으로는 매우 유용한 정보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추천 드립니다)

PS : 좀 찾아보니 AHCI 생길 때 추가된 기능이네요..
      그럼 꽤 오래전에 생긴 기능이었을 텐데 여태 몰랐다니..^^;;
화란 2023-03
BIOS에 없어도 알아서 순차적으로 하드디스크를 스핀업 하고 있는 메인보드는 걍 쓰면 되는건가요 ??
     
RuBisCO 2023-03
아마 그런경우엔 드라이브 세팅 부분에 Spin Up Device 세팅이 있을겁니다. 기본값으로 활성화 된 상태에서 해당 드라이브의 스핀업 드라이브 여부를 설정할 수 있게 해놓았을거에요.
청춘 2023-03
5개 정도는 필요 없다고 검색되는데 ..5개정도는 설정 안해도 될까요?
     
dateno1 2023-03
파워 용량 나름입니다

파워만 넉넉하면 10개 넘어도 필요 없을 수 도 있습니다
          
청춘 2023-03
조언 감사합니다
     
RuBisCO 2023-03
파워 용량에 따라서 다릅니다. DC to DC로 딱 120W 150W 이렇게 소비전력 턱걸이 할 수준만 맞춘 정도시면 무조건 켜는게 좋겠지만 일반 ATX 파워 같은걸 사용하시면 안켜도 무방하죠.
죠슈아 2023-03
Staggered Spin Up 기능이 있다는게 팁 인가요?
자작 NAS를 raspberry 같은 임베디드 타입의
ARM cpu를 사용하지 안는다면 일반 pc를 사용할테고
마더보드의 바이오스엔 AHCI 를 언급한 것은
x86 cpu를 의미 하는것이 분명한데요

일반적인  cpu 전력소모가 60w를 넘고 메인보드 메모리 전력이
최소 20w를 소모 하는데.   
80w는 기본적으로 필요 합니다

120w 이면 40w를 disk에 할당 할 수 있다고 생각 하겠지만
DC2DC 이라면 5v 전력이 1/3 이하를 갖기 때문에
5v 는 10w 가 되겠죠.  그러면 디스크를 최대 2개 장착
가능 합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안정성을 위해 최대 전력에 80% 수준에서
운영해야 하므로 디스크는 하나 밖에 허용되지 안습니다

이런 퍼워버짓으로 NAS를 DIY 하는 분이 계신가요?
그냥 USB 외장 하드로 쓰시는게 어떠신지요?
     
RuBisCO 2023-03
일반적으로 SATA 3.5인치 하드디스크 소비전력에서 대부분, 특히 대부분의 소비전력을 차지하는 모터 구동전력은 12V 출력에서 소비합니다. NAS에 구태여 비싸고 느리고 작은 2.5인치를 사용할 이유는 없으니 5V 출력이 발목을 잡을 일은 없습니다. 그리고 저전력 세팅은 일반 데스크탑 보드에는 실부하전력 30W대의 펜티엄/셀러론이 있고, 온보드로는 저전력 프로세서(아톰이나 랩탑, 제온D 등)를 얹는 보드들도 있습니다. 이런 세팅에선 DC to DC로 세팅해서 전력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일반 ATX파워들의 경우 용량은 크지만 저전력세팅에서 실제 사용하는 구간은 효율이 낮아 소비전력이 커지죠.
          
죠슈아 2023-03
5V 출력이 발목을 잡을 일은 없습니다.
==>
HDD 소비 전력을 찾아 보세요. 검색 해보시면 .. 디스크 표면에고 소비 전력이 표시되어 있어요.
이것은 평균 소비 전력이고 최대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자료르 검색해보셔야 합니다. 
스핀들 모터 구동은 12V 이지만  5V 전력 소모를 모시할 수준은 아니죠.
그래서 ATX PSU에서 5V 전력이 낮기 때문에 다수의 HDD를 장착하려면 우선 5V 전력이 큰 PSU를 선택해야만 합니다.
               
RuBisCO 2023-03
5W출력 소요는 2.5~3W 언저리입니다. 그래프에서 스파이크를 찍어도 5W를 채 못찍습니다. 대개의 DC to DC 컨버터에서 피크로는 5V-10A 정도 출력을 잡는데, 출력을 대개 보드의 온보드 장치에 10W 정도 나눠주더라도 HDD 너댓개가 감당이 안되는 레벨은 아닙니다.
                    
죠슈아 2023-03
120W DC to DC 컨버터 기준으로 5V-10A  라고 하시는 것인가요? 
피크 값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 ?  Max로 산정해야지요.

마더 보드는 약 10 ~ 20W 를 소모 합니다.
Power budget 계산을 최소로 하시면서 PSU는 피크를 말하시고 있군요.
DDR 메모리는 개당 3W ~8W 를 소비 합니다. 이것을 계산에 넣고 있나요?
                         
RuBisCO 2023-03
극한을 기준으로 Peak 대 Peak 기준 계산을 해드렸는데, 평균 전력 기준으로 계산하게 되면 디스크 개당 5V 2~3W 사이의 전력소요를 지속출력 5V-8A로 견디는 것이니 오히려 더 여유가 생깁니다. 최소로 한게 아니라 그게 당연한겁니다.
그리고 DDR 모듈의 소비전력은 고가의 OC램들을 집어넣는게 아니면 개당 2~3W 사이입니다. 8W까지 치솟는건 전압과 클럭을 높인 OC 상황에서 이야기입니다. 저전압 SODIMM은 소비전력이 더 낮아집니다. 거기에 추가로 말씀드리면 램으로 들어가는 파워레인은 12V 출력에서 나옵니다. PSU의 12V 공급에서 DDR4까지는 마더보드의 VRM에서, DDR5는 모듈의 VRM에서 메모리로 공급합니다. 거기에 마더보드의 소비전력은 보드 온보드 구성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만,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보급형 보드에서라면 팬리스구성에서 온보드 기가빗랜과 PCH의 소비전력을 합쳐서 10W 언저리입니다. 베이트레일 세대 이후의 아톰이나 U,H라인을 사용하는 SoC, SoP 구성으로 CPU에서 모든  I/O가 내려오는 보드들은 그보다도 적어집니다. 거기에 대부분의 경우 소요전력은 12V 입력에서 끌어와서 자체적으로 변압해서 나머지 파츠에 공급합니다. 5V를 메인보드에서 직접 사용하는 구성은 USB 출력 정도에 한정되죠. 키보드+마우스를 포함한 자잘한 USB 액세서리 더해봐야 고성능 USB 스토리지 연결하는거 아니면 10W로 차고 넘칩니다. OC를 위한 설계마진이나 각종 부가장비들이 들어간 고가형 보드, 산업용보드들은 분명 더 먹긴 합니다만 그런 구성은 애시당초 DC to DC 구성으로 NAS를 구축하는거라면 이용하지 않는 편이죠.
턱주가리아 2023-03
이야 꿀팁이네요. 이런 설정이 있었다니


NAS
제목Page 24/308
2015-12   1764151   백메가
2014-05   5238718   정은준1
2023-03   1081   턱시도고양이
2023-03   1784   SnowDrop
2023-03   4969   개발네발
2023-03   1543   조이
2023-03   2515   행복한망치
2023-03   1048   마왕
2023-03   1351   Chobo01
2023-03   1754   이순신
2023-03   2146   RuBisCO
2023-03   1315   Jjun
2023-03   1381   죠슈아
2023-03   1355   plug5
2023-03   1149   죠슈아
2023-03   1607   마왕
2023-03   2528   마왕
2023-03   2270   gdpoint
2023-03   2047   Brutus
2023-03   2195   화정큐삼
2023-03   2540   RuBisCO
2023-03   1581   행복한망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