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M 7.2.2 + ApolloLake 성공했습니다

dateno1   
   조회 2272   추천 0    

일단 구버전 redpill에서는 호환성 일으킨다는 조합 시도해서 성공했습니다


사용한 부트로더는 ARC 24.08.27입니다


기존이랑 다른 부트로더인지라 먼저 부트로더를 바꾼후 7.2.1로 부트해서 작동하는걸 확인 -> 제어판에서 7.2.2 pat 올려서 업글 -> confiig mode로 부트 -> 7.2.2로 다시 빌드 이렇게 진행했습니다


모든 옵션은 기본옵인지라 설명 생략합니다


코덱 관련 내용 DSM 릴리즈노트에 있었지만, 그냥 엡만 수정했고, 커널등은 그대로인지 체크해보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다 정상인데

애는 호환성 에러 일으키네요


USB NIC 붙여두신분들은 아직까지 7.2.2로 업데이트하는걸 미루셔야 할꺼같습니다


하지만 Config Mode로 부트후 Modules 메뉴에서 Force Copy로 부트로더가 쓰는 모듈들을 DSM에 삽입해버리니 저런 패키지 있던없던 아무 상관없이 RTL8156 호환됩니다 (제거해버림)




추신 : 웃기는건 클린 설치후 하면 7.2.2로 업글 설치가 되는데, 기존 쓰던건 업글 시도하면 웬지 모르게 실패하네요 (21 직행)




맨날 삽질만 하고 삽니다

http://www.2cpu.co.kr/hardware_2014/44147
컴 케이스 작다고 불타거나 하지 않아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바람곰돌 2024-08
흠...아직은 좀 기둘렸다 올려야겠네요 아직 저 같은 쫄버에 초보는 못 올립니다^^
화정큐삼 2024-09
ARC가 항상 RR 의 소스를 복사해 오는걸로 아는데,
이번엔 DS918+와 관련된 shim 패치 ( DSM 업데이트시 에러코드21, DSM 설치시 파일손상 메시지:에러코드21 원인 해소용 7.2.2용 H2OFFT-Lx64-0815 BIOS 파일 누락 패치)
lkm 을 동기화를 안했더라구요.
https://github.com/PeterSuh-Q3/redpill-lkm/commit/153ebab2e2f1a7dfd7b601573cac6eab54451360
https://github.com/AuxXxilium/arc-lkm/blob/main/shim/block_fw_update_shim.c

그래서, 어떻게 ARC가 DS918+ 7.2.2 에서 문제가 없을까 싶은데요.
어쩌면 RR 의 lkm 을 몰래 끌어다가 ARC 24.8.27 을 빌드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rr 의 wjz304 님은 arc 가 자꾸 무단복사해가는걸 막으려고 lkm repo를 히든까지 했는데,
이건 깃헙 제3자 계정통해서 뚤은게 아닌가도 싶네요.
https://github.com/RROrg/rr-lkms
     
dateno1 2024-09
RR은 7.2.2 설치하니 부트로더 밖에 안 되고, 리커버리까지 뜨지도 않아서 설치 진행자체를 못했습니다

지금 좀 웃기는건 클린 설치했을때는 7.2.1 -> 2 업글 잘만 되더니 기존에 쓰던넘을 똑같이 올릴려고하니 21 직행해버리네요
화정큐삼 2024-09
아, 맨 마지막에 추신으로 올리셨군요.
그럼 ARC 도 lkm 을 RR 이나 제 mshell 처럼 패치해야 합니다.
ARC 개발자가 아직 못알아 차린 모양이네요. ㅎㅎ
이분은 wjz304 님과 저 하고는 COMM 을 안하는 사이입니다.

ARC 팬이시라면 넌지시 한번 알려드리시죠? ^^
     
dateno1 2024-09
딱히 특정 부트로더 선호하진 않습니다

그냥 눈에 띄는걸 하나씩 시도해보고 잘 되는것 정착할뿐입니다

이전에는 i14n이던가 썻는데, 개발 중단되어서 별 수 없이 또 이주시도중입니다

ARC 뭔가 좀 이상한게 ARC에도 목록ㅇ SA6400 있는데, 이게 ARC-C랑 좀 다른거같아요

ARC-C는 잘 되는 하드웨어도 SA6400 고르고 시도하면 리커버리까지 가지도 못하거든요; (...)

ARC-C 전자동인거땜에 좀 맘에 안 들어요

예를 들어 nvmesystem이던가 NVMe만으로 설치하게 해주는거라던가 addon 좀 추가해줄려고해도 저넘은 전자동으로 설정 모드 들어가면 자동으로 리빌드하고 부트해버려서 아무것도 못건드려요

저넘 유일한 장점은 지금까지 시험해본것중 SA6400 제대로 호환 잘 되는건 저넘밖에 없습니다 (나머지는 하드웨어 많이 탐)

타이거/로켓 이상에서 QSV 살릴려면 SA6400 써야하니까요
          
화정큐삼 2024-09
로더간의 히스토리를 잘 모르시는것 같아서 제가 정리를 좀 드리겠습니다.
레드필 로더가 개발되고 계속 Fork 되서 나오게 된 계보가
최초에는 TCRP 하나뿐 이였는데,
TCRP(pocopico님) , ARPL(fabio님) 두가지로 갈리였습니다.

ARPL 은 TCRP 를 흉내내서 더 발전시킨 형태로 xml 기반이 아닌 yml 기반으로 환경설정을 가져가는 특징이 있구요.
EUDEV 방식을 사용한다는점과 DSM 6.2.3 까지 사용되었던 Jun 모드 방식을 쓴다는 점이 큰 특징입니다.

TCRP 에서는 제가 Fork 를 해서 TCRP-mshell 을 개발했구요.
ARPL 에서는 중국 상하이 개발자 wjz304 님이 ARPL 을 i18n 로Fork 해서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후 i18n 을 Fork 한 독일개발자분의 ARC가 나왔는데,
라이센스 해킹 위주로 Addon 들은 어느정도 독자개발을 하시는것 같은데,
ARPL 로더의 기본틀은 i18n 으로 부터 계속 복사해서 동기화 하는 상태입니다.
그 과정에서 i18n 과 ARC 개발자 사이에 싸움이 있었구요.

i18n 은 다시 rr 로 이름을 변경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rr 이 여러가지 시험적인 개발을 많이 하고 앞서가고 arc 는 복사를 해가기 바쁜 로더입니다.
저도 rr 을 일부 참고 하기도 하고 rr 개발자인 wjz304님과 협동해서 이슈나 문제를 해결해 가기도 합니다.
에러코드 21 문제도 일단 제 아이디어로 lkm 패치를 시작했는데, 계속 유저분들꼐 피드백을 받아 안정화가 정착되었는지를 확인중에 있습니다.

SA6400 을 언급하자면 가장 안정화된 로더는 rr 입니다.
               
dateno1 2024-09
문젠 실재로 시험해보면 ARC-C뺴고 보드 꽤 심하게 타더군요

디버그 귀찮아서 안 해봐서 상세 사항은 불명입니다 (일부 보드는 시리얼 헤드도 없어서 디버그 할려고해도 쉽지 않음)

대륙산 듣보잡 보드같은걸로 시험하다보면 부트로더 꽤 까탈스럽게 굽니다 (Addon 1개로도 부트 불능 되기도 할정도 까탈스러움)

다만 위에도 적었지만 옵션을 일체 변경 불가능한 황당 사항이라 실사용으로 적합하냐고 물으면 미묘해서 쓸 맘은 안 생기네요 (nvme only로 구성불가인것도 문제지만, kvm module을 따로 안 올려서 그런지 kvm도 작동 안 합니다)

어차피 시놀 순정엡을 안 쓰다시피해서 라이센스 뚤는부분이 필수가 아니다보니 부트로더 이전에는 큰 문제가 없으므로 한동안 기다려볼 작정입니다

어떤식으로 돌아가는지는 잘 알고 있지만 중간에 뭔가 크게 바꾸기라도 한건지 ARPL이라 붙어있을때보다 호환성이 더 나쁘진 느낌은 있습니다 (SA6400이 아니더라도 옛날부터 많이 쓰이던 DS918+, 거기서 소폭 변경된 920, 심지어는 시퓨 요구사항도 따로 안 붙는 3622xs같은거까지 ARPL계열론 잘 되는데도 부트로더 바꾸면 애먹입니다)
                    
화정큐삼 2024-09
레드필 로더가 먹통이 되는 상황을 속시원하게 보는 방법은 로그 모니터링 입니다. (이걸 디버깅으로 보시는것 같네요.)
아주 잘 아시겠지만, 랜 모듈이라도 속시원하게 붙는 경우는 TCRP 의 경우는 http://IP주소:7681 포트 root 계정 접속해서
/var/log 하위에 로그들을 싹 살펴보고 판단을 할 수가 있습니다.
개략적으로 주로 보는것이 /var/log/linuxrc.syno.log 이고 여기서도 문제가 잘 안보이면
/var/log/messages 까지 들어갑니다. 이번에 에러코드 21 을 잡은건 이 로그를 상세분석해서 처리했습니다.

랜모듈 마져 먹통이라 IP할당을 못받는 상황에서는 다른방법을 써야 하는데, 위에서 언급하신 COM1 시리얼 포트를 통한 모니터링 입니다.
여기선 커널패닉까지 확실하게 눈에 들어오니 확연하게 문제점을 바로 알아차릴 수가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최근 보드에서는 이 COM1 시리얼포트를 제공하지 않는 추세라 이 포트를 확보하는게 쉽지가 않습니다.
인텔 4세대급 까지는 대략 보이다가 그 이후 세대의 보드에선 구경하기가 어렵습니다.
산업용 보드나 M-ATX 크기 이상의 보드에서는 상위세대급 이라도 가끔씩 있는 경우가 있구요.
최근에는 PCI-E 형 시리얼 인터페이스카드를 하나 구입했는데, 레드필에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COM1 어드레스에 맞추는걸 실패해서 결국 제대로 활용을 못해봤습니다.
알리에 있는 DIP 스위치로 COM1 어드레스를 조정가능한 아래와 같은 눈여겨 보고 있는데,
이것도 헤놀에 사용해 보셨다는 후기를 제가 제일먼저 올려야할 판이라 일단 구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제품도 안되면 또 돈을 버리는셈이겠죠. ㅎㅎ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6444493287.html?spm=a2g0o.cart.0.0.231356baVKYJnP&mp=1&gatewayAdapt=glo2kor
VM 의 경우는 가상시리얼 포트라도 제공되니 문제점은 쉽게 알아 볼 수가 있습니다.

ARC 는 제가 사용을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RR 의 경우는 Addon 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유저에게 자유도를 주었습니다.
저는 각 Addon 간의 상관관계가 고려되지 않아서 가끔씩 mshell 에도 이  Addon을 적용하면서 충돌하는것을 RR 개발자 분께 알려드리기도 합니다.

많이들 사용하시는 후기가 있는 보드로 설치하면 성공률이 높겠지만,
대륙산 듣보잡 보드라면 거의 후기가 없어서 선구자가 되실 수 밖에 없을것 같네요.

NVMe Only 구성으로 처음부터 DSM 신규설치가 가능한 솔루션은 아직 어떤 로더도 나오진 않았습니다.

제 mshell 을 사용해보신 경험이 있으신건지 모르겠지만 SA6400 설치해 보셨으면 합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tinycore-redpill/releases

SA6400 은 커널 5를 사용하는 Epyc7002 플랫폼기반의 모델로 인텔 11세대 이후 모델에서 호환성이 좋습니다.
SA6400 은 유저분의 요청으로 RR 에서 가장 안정화된 버전인 24.7.1 버전을 적용했습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tcrp-modules/blob/main/all-modules/releases/epyc7002-7.2-5.10.55.tgz

DS920+ 의 경우도 최근 유저분의 요청으로 RR 의 버전중에서 랜카드 안정성이 제일 좋다는 24.7.0 버전을 적용했습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tcrp-modules/blob/main/all-modules/releases/geminilake-4.4.302.tgz
레드필은 모듈을 서로 호환해서 쓸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가져다 쓸 수도 있습니다.

RR 의 모듈은 계속 버전업 하지만 시험적인 면이 많아서 최신버전이 개발되도 바로 따라가진 않습니다.
써보고 가장 안정적이라고 판단되는 버전에 오랫동안 머물고 있습니다.
                         
dateno1 2024-09
아뇨

디버깅할꺼면 당연히 시리얼로 실시간으로 봅니다 (이런식이니 하드웨어 의존적으로 되버립니다)

부트로더는 잘 되지만, 시놀쪽이 안 되는건데 그쪽 로그도 거기 남나요?

일반적 데탑처럼 시리얼 헤드라도 붙어있으면 거기 케이블이라도 꽃겠는데, 그조차 안 주는 보드는 정말 답 안 나옵니다

일부 AIC용 칩셋은 시놀 호환이 되었던거같은데 결국 사둔게 없습니다 (일부 부트로더경우 module로 ch341a같은거 제공되는거보니 이쪽 호환 범위도 넓힐 수 있을꺼같긴합니다)

링크 Wch384라 되어있는데 이거 아마 시놀에서 바로 붙진 않아서 모듈이라도 컴파일해야 할꺼에요

ARC는 통상대로 선택지가 있습니다만, ARC-C는 전자동이라 일체 아무것도 못 건드려요 (자동이라 편하긴한데, config mode가 왜 존재하는지 모르겠습니다)

https://auxxxilium.tech/wiki/arc-loader-arc-loader/addons/
nvmesystem이라고 존재합니다 (M Shell도 메뉴 있던데 다른 기능인가요?)

다만 ARC에서 SA6400으로 고르니 부트자체가 안 되서 시험을 못해봤습니다

최초 신규 설치가 아닌 임시 디스크 장착후 설치하고 제거하는거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
M Shell 시험결과입니다

하드웨어는
https://blog.dateno1.com/?p=6656
에서 소개한 CWWK X86 P5 development board 4*M2 NVMe expansion board + 16G + SATA 128G SSD*1 + USB 16G입니다

:7681로 접속하는건 제공되지 않는지 접속 불가였고

udhcpc: broadcasting discover
무한 걸려서 ctrl + c로 취소하고 메뉴 가서 설정 진행하였습니다
model, version, mac1, mac2, serial
만 수정하고 나머지는 기본값을 사용하였습니다

SA6400 + 7.2.1 + Random Serial + Native MAC 획득으로 진행후 정상 부트 확인 -> 제어판에서 7.2.2 파일 올려서 업글 -> 부트로더 7.2.2로 다시 빌드순으로 진행했습니다

lspci -nnk
lsmod | grep i915
ls /dev/dri
dmesg | grep i915
의 결과는 정상이니 트랜스코딩 작동할꺼라 추정됩니다

2차 빌드시 Addon정돈 변경해볼려고했는데, 메뉴가 어딧는지 못 찾아서 포기했습니다

cpuinfo 작동 제대로 안 되는지
Intel N100 Unknown()
이라 뜨네요

나머진 별 특이사항 없습니다 (KVM은 잊어버리고 안 해봄)
화정큐삼 2024-09
듀얼랜 이상에서는 udhcpc: broadcasting discover 가 동작되도록 했는데,
역시 문제가 좀 있는것 같네요. 선택적으로 처리를 하던 더 안정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개선해야 할것 같습니다.

nvmesystem Addon 은 모든로더의 스크립트가 동일합니다.
오리지널은 호주의  007revad님 스크립트로 부터 출발했습니다.
https://github.com/AuxXxilium/arc-addons/blob/main/nvmesystem/all/usr/bin/nvmesystem.sh
https://github.com/PeterSuh-Q3/tcrp-addons/blob/main/nvmesystem/src/nvmesystem.sh
둘다 rr 에서 복사해 온거라 주석만 틀리고 토씨하나 안틀리네요. ㅎㅎ


이렇게 메뉴 찾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로더 빌드 전에 이 Addon 부터 먼저 추가해 주셔야 합니다.


     
dateno1 2024-09
엥?

저게 전부인건가요?

보통 에드온 몇십개는 되어서 저거밖에 없길래 다른 메뉴 있거나, 외부 파일 수동 업로드하는 방식인줄 알았습니다

참고로 다른 보드로 시험 (모듈은 e1000e  + r8125)했을때는 무한 안 걸리네요

네트워크가 다르다보니 환경 차이인지 보드 차이인지는 불분명합니다
          
화정큐삼 2024-09
mshell 에서의 Addon 은 번들로 기본포함된 것들이 16개가 있고
https://github.com/PeterSuh-Q3/redpill-load/blob/master/bundled-exts.json
각 모델별 Addon 은 여기 custom_config.json 에서 2개 ~ 3개가 결정됩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tinycore-redpill/blob/main/custom_config.json#L2540

그리고 옵션으로 선택 가능한것은 위에 보시는것처럼 3개 입니다.

udhcpc 에 10초 타임아웃을 걸어서 방금 수정배포 했습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tinycore-redpill/commit/f93209420dd153688d8b51a03449cbd840d3528b

메뉴 다시 들어가 보시면 이 스크립트 자동 적용되실겁니다.
10초안에도 응답이 없으면 넘어갈것 같습니다.
               
dateno1 2024-09
저 보드로 다시 시험하는건 먼 훗날이 될꺼같아서 바로 시험은 못해보겠네요 (이미 치워버림)

기본값으로 꽤 많이 적용된 상태네요

Module쪽은 어떤지? (이쪽도 자동인가요?)



이외에 아까 까먹고 시험 못했는데, 혹시 SAK6400서 KVM 고쳐져있나요?

처음 SA6400 지원이 추가되었을때는 해당 부분 안 되어서 VM을 돌릴 수 없었습니다 (심하면 부트시킨 순간 엡이 먹통되기도 했음)
                    
화정큐삼 2024-09
기본값으로 적용되어 있어도 상관관계가 충분히 검증된 상태라 지금까지
Addon 간의 충돌로 로더가 불안정한적은 없었습니다. 그점은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모듈은 각 플랫폼별 (아폴로레이크.제미니레이크.Epyc7002 등)로 통합모듈(필요한 모든모듈을 다 담고 있음)화 되어 있습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tcrp-modules/tree/main/all-modules/releases
처음 TCRP pocopico님 버전에서는 로더를 경량화 하려는 목적였는지 필요한 모듈만 lspci 에서 Detect 해서 가져가는 방식였는데,
ARPL 의 통합모듈이 오히려 편리하다는 점을 받아들여서 지금은 모든 로더가 이런 통합모듈 방식입니다.
과거 DSM 6.2.3 에서 쓰였던 JUN 로더도 통합모듈였죠.

SA6400 은 VM 에서 한가지 미완성된 부분이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중국개발자 Jim3ma 님이 대부분을 개발하고 완성해 주셨는데요.
당시 로더도 USB형 로더에 기반을 두고 있어서
VM 에서 주로 사용되는 SATA형 로더로 기동시 KP에 자주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유일하게 VM 안에서도 USB형 로더로 만들수 있는 Proxmox 가 유일한 대안입니다.

제가 KVM 은 사용을 못해봤는데,
KVM 도 이렇게 USB 메모리 에뮬레이트 기능이 제공이 될까요?
그렇다면 KP없는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될것 같습니다.
                         
dateno1 2024-09
아뇨 그쪽 VM이 아닙니다

시놀에서 제공되는 VM기능 애기입니다

사소한 문제지만 cpuinfo관련 버그 하나 더 발견했습니다

ES/QS 사용시 ARPL은 Intel 0000같은식이었는데, M Shell은 오리지널 시놀 모델 이름이 표기되네요

이외에 부트중 뜨는 메세지에서 r8125야 할 부분이 r8169라 떠버리네요
Setting MAC Address (생략) 이부분입니다
                         
화정큐삼 2024-09
시놀로지 VMM 을 말씀하신거군요. KVM 이 아닙니다. ㅠㅠ
VMM 이 다른 커널4 기반에서는 AMD/Intel 플랫폼을 맞춰야 기동하는데,
SA6400 의 경우는 Intel 을 가리지 않습니다. 제가 얼마전 기동되는것 확인했습니다.

cpuinfo 도 Addon 형태라서 제가 직접 개발하진 않았습니다.
저희 2CPU 에도 활동하시는 FOXBI 님이 개발해 주신건데요.
최근에 바쁘신지 버전업을 못봤습니다.
오늘 다시 한번봐야 겠네요. N100 지원하는지...

r8125 는 2.5G 인데, 아마 모듈은 r8169 에서 파생한 모듈로 기억합니다.
이걸 디바이스 정보에서 빼오는게 좀 뒤섞여 있어서 그럴겁니다.
                         
dateno1 2024-09
?

저 기능 KVM 기반이고, 필요한 모듈 이름도 kvm입니다
lsmod|grep kvm
kvm_intel            154448  4
kvm                  434147  1 kvm_intel
irqbypass              2808  5 kvm,vfio_pci
이런식으로 나올껍니다

ES/QS쪽은 리부트 몇번하니 고쳐졌습니다 (여전히 이름과 클럭이 제대로 안 나오지만 일단 기존대로 0000이라 나옴)

아마 저부분 출력하는 스크립트의 오류일껍니다

위에는 r8169, 밑에는 8125라 나오고 있습니다



애기가 좀 탈선했는데, 혹시 SA6400에서 저것 시험되었나요?

과거에는 저거 안 고쳐져서 트랜스코딩이랑 둘중 하나 저울질해야했습니다
                         
화정큐삼 2024-09
사무실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적 (제대로된 네이티브 환경도 없음) 이라서
이따 퇴근후에 네이티브 SA6400 에 VMM 기동해서 kvm 모듈이 어떻게 동작되는지 보겠습니다.
이렇게 기동하면 트랜스코딩은 어려울것 같구요.

그냥 11세대 이상에서 네이티브 iGPU 로 SA6400 트랜스코딩은 무난히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ateno1 2024-09
트랜스코딩쪽은 이미 점검해봤는데, 어제 까먹고 VM을 안 돌려봤네요
                    
화정큐삼 2024-09
뤼튼의 답변인데, 일단 된다는것 같네요.


저도 오늘 시간되면 KVM 에서 SA6400 한번 돌려 보겠습니다.
일단 윈도우가 없어서 MACOS 에서 해봐야 겠네요.

qemu-system-x86_64 -hda /path/to/your/image.img -usb -device usb-host,hostbus=1,hostaddr=1
화정큐삼 2024-09
몬터레이에서 홈브류로 qemu 설치하고 qemu/kvm 가상머신 만들어 볼까 하는데,
MacOS 에서 -enable-kvm 활성화는 많이 제한적이라고 하네요.
MacOS 에서 잘 안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긴하네요.
일단은 해보겠습니다.

qemu-system-x86_64 -hda ~/tinycore-redpill.v1.0.4.3.m-shell.img -usb -device usb-host,hostbus=1,hostaddr=1 -m 4096 -enable-kvm
qemu-system-x86_64 -hda ~/tinycore-redpill.v1.0.4.3.m-shell.img -m 4096 -smp 3 -netdev user,id=net0,hostfwd=tcp::2222-:22 -device e1000,netdev=net0
qemu-system-x86_64 -hda ~/tinycore-redpill.v1.0.4.3.m-shell.img -m 4096 -smp 3 -netdev tap,id=net0,ifname=tap0,script=no,downscript=no -device e1000,netdev=net0
화정큐삼 2024-09


QEMU 는 사실 처음써보는데, 아주 재밌네요.
위 이미지에서처럼 serial0 가상포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쪽으로 접속해 보시면
KP 가 나는지 볼수 있습니다.
일단 제가 처음 부팅한 SATA형 SA6400은 KP가 나진 않았습니다만, 몇번 부팅과정에서 날 수도 있습니다.
화정큐삼 2024-09
SA6400 에서의 VMM 아주 잘 동작합니다. 말씀하신대로 VMM 을 설치하면 kvm 모듈이 올라오네요.
제가 인텔 N100 은 없어서 다른 세대로 시험했습니다.
반드시 따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관리] 메뉴에서 Open vswitch 활성화 해주셔야 VMM 기동 됩니다.

1. 7.2.1 인텔 G5500



2. 7.2.2 인텔 i3-7100T

     
dateno1 2024-09
다행히 잘 되나보네요


드뎌 11세대 이상에서 VMM이랑 Transcoding 저울질 안 해도 되겠네요


NAS
제목Page 5/308
2014-05   5240764   정은준1
2015-12   1766252   백메가
2024-08   2273   dateno1
2024-08   836   별밤
2024-08   895   아나구짱
2024-08   1015   1z2z
2024-08   719   부산약쟁이
2024-08   1469   김민철GC
2024-08   962   chotws
2024-08   1737   EYESSHOT
2024-07   1545   제온프로
2024-07   1135   orikingston
2024-07   925   chotws
2024-07   1104   orikingston
2024-07   892   소음기
2024-07   1429   RedStar
2024-07   1342   신우섭
2024-07   1034   유호준
2024-07   931   EM10
2024-07   1321   잠팅V
2024-07   974   신우섭
2024-07   2136   땅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