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 |
Mikrotik에서 Layer7을 이용한 방화벽 설정 질문입니다. (3) |
살바 |
2015-07 |
9385 |
1 |
2015-07
9385
1 살바
|
166 |
성능 테스트 질문 (4) |
돌문팬 |
2015-06 |
9451 |
2 |
2015-06
9451
1 돌문팬
|
165 |
공유기 UART 복구관련 여쭈어봐도 되겠습니까 ? (2) |
WinRAR |
2015-06 |
8786 |
1 |
2015-06
8786
1 WinRAR
|
164 |
네트웍 문제 판단해주실수 있는분 있으십니까?ㅠ (4) |
AI입니다 |
2015-06 |
9000 |
3 |
2015-06
9000
1 AI입니다
|
163 |
마이크로틱 vpn 장비 설정 관련하여 질문좀 드립니다.... (3) |
최혁규 |
2015-06 |
10820 |
1 |
2015-06
10820
1 최혁규
|
162 |
미크로틱 750GL FastTrack 적용 전후 속도 비교 (4) |
리베이트 |
2015-06 |
13210 |
2 |
2015-06
13210
1 리베이트
|
161 |
동일망에서 ftp 서버 운용 시 스위치 허브 선택은 어떻게 해야… (6) |
흙쟁이 |
2015-06 |
11500 |
1 |
2015-06
11500
1 흙쟁이
|
160 |
미크로틱 ccr 장비 네트워크 구성에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2) |
조스바 |
2015-06 |
9100 |
1 |
2015-06
9100
1 조스바
|
159 |
주니퍼 350M Port 오픈 명령어 (3) |
나기냥 |
2015-06 |
8905 |
1 |
2015-06
8905
1 나기냥
|
158 |
한 컴퓨터에 회선 2개 질문 (2) |
jkh6100 |
2015-06 |
7515 |
1 |
2015-06
7515
1 jkh6100
|
157 |
네트워크 구성 질문 |
돌문팬 |
2015-06 |
5755 |
1 |
2015-06
5755
1 돌문팬
|
156 |
Mikrotik 설정 질문 (pptp client 관련) (3) |
NightHawk |
2015-06 |
7413 |
1 |
2015-06
7413
1 NightHawk
|
155 |
Windows server 2008, RDS 속도 개선 |
지구인이다 |
2015-06 |
6390 |
1 |
2015-06
6390
1 지구인이다
|
154 |
공유기 벽돌되서 UART 시리얼연결로 복구하려고 합니다. (10) |
오방진 |
2015-06 |
17222 |
1 |
2015-06
17222
1 오방진
|
153 |
미크로틱 rb-750g NAT 성능이 궁금합니다. (5) |
리베이트 |
2015-06 |
7633 |
1 |
2015-06
7633
1 리베이트
|
152 |
pfSense 관련 |
포근이 |
2015-05 |
6858 |
2 |
2015-05
6858
1 포근이
|
151 |
Intel 10Gbe Card 종류 질문 입니다. (4) |
비밀이양 |
2015-05 |
10627 |
1 |
2015-05
10627
1 비밀이양
|
150 |
Mikrotik 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
김장우 |
2015-05 |
7161 |
1 |
2015-05
7161
1 김장우
|
149 |
리눅스 [ TAP 및 BRIDGE ]의 차이점이 무었인지요 ? (4) |
전설속의미… |
2015-05 |
10134 |
1 |
2015-05
10134
1 전설속의미…
|
148 |
네트워크와 VPN 관련된 질문입니다~ (공유폴더 연결~) (6) |
Jjun |
2015-05 |
15678 |
1 |
2015-05
15678
1 Jjun
|
하드웨어 CPU 성능이 충분하거나 패킷을 다루기 위한 특별한 H/W 구조를 제공한다고 할때,
1518byte 패킷 전송에 대해 최대 81kpps, 980Mbps 정도의 성능을 보여주고,
64byte 패킷 전송시는 최대 약 1440kpps, 720Mbps 정도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표를 보면 컬럼은 패킷 사이즈에 따른 비교이고,
로우는 리눅스 브리지 모드와 라우팅 모드,
그리고 단순 mac running 및 fib를 통한 fast path 성능과
추가적인 cpu 작업을 필요로하는 filtering등의
성능을 비교한 것입니다.
네트워크 장비의 경우 패킷 bytes 크기 보다는 pps에 따른 처리속도가
성능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고
64byte의 pps가 높을 경우 필터링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Bridge 및 Routing에 있어 H/W 가속기능이 지원되지 않고,
S/W에 의존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장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적은 클럭으로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고사양의 CPU나
병렬 처리 형태의 CPU가 사용된 시스템이 아닌것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급 필터링이나, 방화벽 등등의 고급 프로세싱 룰을 추가할 수록
성능을 기대하기 힘들다고 판단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즉, 되도록 간단한 룰과 500byte 이상의 패킷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으로 운영될 수 있고,
DDOS 같은 공격에 최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미크로틱을 회사의 네트워크에서 여러 용도로 활용한 결과 일반 공유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기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은 틀림 없습니다.
그래도 아직은 모르는 부분이 많아 더 공부를 해야겠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실에 있는 국내에서 테스트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