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rotik hap ac3 무선 세기 문제

ketchup   
   조회 4552   추천 0    

2층에 공유기를 설치 하였고 1층 까지 커버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넷기어 나이트호크 x6s를 쓰다가 ax무선을 쓰고 싶어서 넷기어 ax5700으로 교체를


했습니다. 커뮤니티 가입 후에 1층에 약한 전파를 커버하기 위해 미크로틱 hap ac3로 바꾸었는데, 무선 강도가


더 약해진것 같습니다. mikrotik 제품이 무선세기가 더 센것 아닌가요? 혹시 무선랜을 더 세게 할 수 있는 옵션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박문형 2022-01
와이파이 무선기기들은 나라 설정을 함으로써 그나라의 무선법에 출력을 맞추도록 되어 있습니다..

국내 전파법에서 17dbm 이상 와이파이 무선 출력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어기면 벌금입니다..

벌금이 꽤 셉니다..

각 방 마다 무선의 상태를 좋게 하려고 하신다면 매쉬 무선기기를 알아보심이 좋아 보입니다..
ketchup 2022-01
기본적인 세팅으로서의 Hap ac3 무선성능은 다른 기기에 비해 어느정도 인가요?
     
블랙펄 2022-01
wap ac모델 사용중인데 좀 그닥이네요.무선죽이고,시스코ap전용장비사용합니다.
          
박문형 2022-01
시스코면 무선기기의 표준 장비이고 기업용 AP장비라고 봐야죠..
박문형 2022-01
저는 써보지 않았으니 모라고 이야기 하기는 힘들고

집에서는 구형 핸드폰 3개가 다이고 집도 크지 않기에 일반적인 유무선 공유기도 큰 문제없이 사용중입니다..

https://www.batna24.com/en/mikrotik-hap-ac3-wifi-performance-test

만일 이 모델이라면 중타 이상은 퍼포먼스가 나올듯 합니다..

(미크로틱 제조회사가 구 소련지역의 회사이기에 기본적인 무선기술은 개인적으로 더 낫다라고 생각합니다만 기기마다 다르겠죠.. )

그리고 각 회사 공유기마다 무선을 비교 테스트 한 곳이 없으니 모라고 이야기하기는 힘들 듯 합니다..

그리고 무선은 환경에 굉장히 많은 변수가 생깁니다..

제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와이파이 무선은 와이파이 안테나가 눈으로 보이는 곳 정도를 최대 거리로 생각합니다..

무선이 왔다갔다 하는 두 지점에 장애물이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현재 산꼭대기 나 논 밭이 넓게 펼쳐진 곳  아니면 거의 전지역이 와이파이 과밀도 지역입니다.. (특히나 2.4G)

외부의 와아이파이 영향도 많이 받는다는 것이죠..

철근 콘크리트 벽도 무선감쇠가 심하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박문형 2022-01
제가 보는 관점은 아무리 와이파이 공유기 1개의 성능이 좋아도 말씀하시는 1/2층 전체를 1개의 와이파이 공유기로 커버 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기에

여러 개의 AP 기기(유무선공유기)를 설치하고 그것을 통합관리하는 매쉬기능을 사용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입니다..
ketchup 2022-01
바로 그 모델입니다. 넷기어 모델 쓰다가 미크로틱 ac3로 바꿨는데, 무선 강도가 낮아지고, 음영지역이 늘어나서

넷기어 보다 무선 성능이 떨어지는지 문의드린 것 입니다.
NANDROID 2022-01
RB2011UiAS-2HnD-IN 썼었는데 설정에서 TX-power 올려서 직선거리 80M까지 아이패드로 2.4G 연결해서 인터넷 해본적은 있습니다.
넷기어 r7900 아마존 직구했던건 기본설정으로 5G대역이 직선거리 100M까지 그냥 되더군요. 문제는 공유기가 며칠만 켜두면 다운되서 하루에 한번은 콜드리부팅 해야됩니다.
지금은 둘다 안쓰고 iptime A3004T 쓰고 있습니다.

https://wiki.mikrotik.com/wiki/Manual:Interface/Wireless
https://wiki.mikrotik.com/wiki/Manual:Wireless_FAQ#What_TX-power_values_can_I_use.3F
OGAS 2022-01
ac3도 hap ac2랑 큰 차이 없지 않을까 싶은데(ROS 7.1 올려서 wave2 적용되면 차이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hap ac2, cap ac로 테스트 해본 바로는 지역설정 korea republic으로는 iptime 일반 AC모델들이랑 비슷했습니다. united states로 설정시 status 표기로는 27dBm 까지는 나오고 실제 사용거리도 개선되긴 했습니다.
박건 2022-01
국내규약에 맞추면 무선세기는 iptime과 비슷하게 나올겁니다.
국내규약 이상으로 무선세기를 올린다는 것은, 다른장비들의 통신을 방해할 수 있고, 적발시 벌금을 적잖이 물수 있으니 추천하지 않습니다.


제목Page 30/107
2022-01   4453   원탱이방굴이
2022-01   4374   해모라
2022-01   4553   ketchup
2021-12   5809   ParkB7
2021-12   3224   ParkB7
2021-12   4329   안철현
2021-12   3744   언젠가는
2021-12   4722   백수가꿈
2021-12   3786   흰털너부리
2021-12   4115   asdf123123
2021-12   6715   해모라
2021-12   4316   트레
2021-12   3650   부산가마
2021-12   4708   ashuro
2021-12   3079   강아지좋아
2021-12   12131   에라뇽
2021-12   3747   박문형
2021-12   3902   딕디구리
2021-12   3508   osthek83
2021-12   3515   mrleeid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