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방화벽 설치하면서 또한번 질문드려 봅니다.

팬도라   
   조회 10073   추천 0    

저번에 방화벽 브릿지 모드에 대해 질문드렸었는데 이번에도 구성에 대해서 한번더 질문 올려봅니다. 


이것저것 시도해 보다가 결국 다음과 같은 구성도로 연결에는 성공을 했었는데요. 

ISP - (WAN) sophos(방화벽) (LAN) - (WAN) 공유기 (LAN) - NAS, PC etc... 


결국 게이트웨이 구성도인데요, 한가지 궁금한게 이렇게 구성해버리니 외부에서는 내부의 NAS에 접속을 못하더군요. 

방화벽에 막는게 당연한건데... NAT설정으로 정책을 허용해줘야 접속이 가능한게 맞는지요?? 

공유기에서 DDNS 설정을 했는데 생각해보니 방화벽에서 DHCP로 공유기WAN으로 IP할당해서 넘겨주는데 DDNS등록을 해봤자 

방화벽 사설IP기준으로 등록이 되는지 구글링으로 NAT설정을 해도 외부접속이 되지 않네요.... 


그래서 결국 브릿지 모드로 구성을 하시는건지... 혹시 가정에서 방화벽 구축하신 분들의 조언을 구해봅니다.ㅎㅎ

 

회원K 2016-02
외부에서 내부망을 들어오게 하려면 vpn이나 포트포워딩을 써야 하지 않을까요?
     
팬도라 2016-02
결국 외부접속을 위해서는 VPN을 이용하는 방안도 구상해야 하는군요.
기존에는 공우기에서 포트포워딩으로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근데 다음과 같이 설정해 버리니 방화벽에서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접근을
막아버리더군요. 정책설정을 하고, DDNS가 아닌 공인IP로 직접 쳐서 들어와도 접근이 되지 않아 결국 방화벽을 제거하고 운용중에 있습니다.
저 혼자만 쓰는게 아닌 다른사람도 같이 쓸거다 보니 외부에서 접속이 되야 해서 이것저것 고민이 되네요.
돌문팬 2016-02
브릿지로 구성해서 방화벽 대신 공유기에 공인IP받아 포트포워딩하는것도 좋아보여요~
     
팬도라 2016-02
결국 브릿지모드로 구성하는 방법이 제일 베스트인것 같네요.. 브릿지 방화벽을 구성하는 방법을 좀더 구상해 봐야 겠습니다.
브릿지모드로 하면 자꾸 포트하나만 활성화 되더군요.... 방화벽에서 LAN, WAN 2개의 포트가 전부 활성화 해서 연결해야 되는거 아닌지요??
게이트웨이(라우터)모드는 쉽게 이해가 되는데 브릿지 모드는 구성도가 잘 그려지지 않네요 ㅠㅠ
DoubleSH 2016-02
--먼저, 공유기가 받는 IP는 사설IP인가요? , 방화벽에서는 라우팅만 하신건가요? NAT 설정없이?..

아래는 사설IP라는걸 생각안하고 적은 내용 -_ㅠ.. 브릿지 모드일때 해당하겠네요
1. 방화벽은 통과하고 공유기까지 들어오게 설정은 하신거죠?
2. 그럼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걸어주시면 되는데.. NAS 사용하시려는 포트부터 확인해서 연결하시면 되지 않나요
ex) FTP 라면 default  21번 port
     
DoubleSH 2016-02
근데 sophos 라는 것의 홈버전은 이런 내용이 해당이 안되나요?  DNAT 등등..
https://www.sophos.com/en-us/support/knowledgebase/115145.aspx
     
팬도라 2016-02
ISP에서 받은 IP는 방화벽에 연결되고 브릿지 모드가 아닌 게이트웨이모드로 사설IP가 할당되어 공유기에 연결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난 다음에 NAT설정을 진행하였습니다. 아마 여기에 뭔가 문제가 있는것 같네요.
다시한번 연결해보고 설정을 따라해보겠습니다. SOPHOS HOME버전은 한글화도 되어 있고 UI도 잘되어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더군요.
          
DoubleSH 2016-02
아 그럼.. NAT 를 두번 타는상황이니 , 브릿지 모드가 역시 ㅎㅎ 좋겟네요
               
팬도라 2016-02
그럼 ISP-공유기-방화벽-스위치-클라이언트
이런식으로 연결하고 방화벽을 브릿지 모드로 운용해야 겠네요.
한가지만 더 질문드리자면... 브릿지모드로 설정시 방화벽의 IP할당은 공유기의 DHCP에 의해 결정 되는지요??
그렇다면 방화벽 하단에 있는 각종 클라이언트 장비들은 이 공유기 사설IP대역을 받아 사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그게아니라면 DHCP릴레이라는게 있던데 그걸 구성하면 될까요??
                    
DoubleSH 2016-02
네트웍 쪽 장비들은 '공장초기 IP' 를 갖고 있어서 최초에는 Direct 연결하여 설정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이것을 DHCP 로 받도록 설정 후에 공유기에 물리시면 되구요. 수동IP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브릿지라는 것은 패킷을 전달해주므로 각종 클라이언트들은 공유기 하단에 연결되는 형상이 되겠습니다.
                         
팬도라 2016-02
아~ 덕분에 이해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정리하자면 브릿지모드라는 것은 단순히 패킷을 전달해 주는 것이고 공유기 하단에 클라이언트가 연결되는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공유기에서 방화벽까지 DHCP로 IP가 할당 되구요 ㅎㅎ

하나만 더 부탁드리자면 게시글에 사진첨부할테니 한번 보시고 답변 부탁드려도 될까요?
초보자 많이 배우고 갑니다~
미나리나물 2016-02
초보라서 잘은 모르지만..
DDNS를 사용하시는 것으로 봐선 유동 IP를 사용하시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DDNS를 사용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어떨까 싶습니다.

ISP - 공유기 - 방화벽 - 호스트
이 경우 방화벽은 브릿지 모드로 동작해야 합니다.
이게 싫으시다면

ISP - 방화벽 - 공유기 - 호스트
이 구성에서 회원K 님의 조언대로 공유기에 VPN을 걸어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 해 보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제목Page 93/107
2016-02   7916   FelixJ
2016-02   11346   팬도라
2016-02   9059   한효석
2016-02   7599   참편
2016-02   6355   김동자맨
2016-02   8886   미나리나물
2016-02   10074   팬도라
2016-02   7537   isaiah
2016-02   14604   팬도라
2016-02   26872   철이님
2016-02   25920   이종송1
2016-02   10655   박건
2016-01   12080   jang
2016-01   7501   jbmex
2016-01   10075   메가날백
2016-01   8016   회원K
2016-01   14669   돌문팬
2016-01   8072   필리핀왕자
2016-01   13421   하얀꿈
2016-01   8092   한유종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