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프로덕션 내외부망 구성 질문

윤현기   
   조회 10145   추천 0    

안녕하세요. 소규모 프로덕션을 운영중인 윤현기 입니다.

혼자서 끙끙거리다가 답이 안나와서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현재 인원이 좀 늘어나고 여유가 조금 생겨서 사무실을 이전 준비 중입니다.

기존에는 같은 사무실이라 대충 구성해서 큰 무리 없이 사용했었는데..

이번에 사무공간이 분리되다보니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감이 안잡혀서요..


** 기존,,

- KT광인터넷 

  - 유무선공유기(TP-LINK C7 AC1750 - 4포트)

    - 포트1 : MICROSERVER GEN8 포트1(윈도우2012R2)

    - 포트2 : 비어있음

    - 포트3 : 프린터1

    - 포트4 : TP-LINK TL-SG1008D 스위치허브 - 8포트 (컴퓨터 5대)



이렇게 사용중이 었는데요.. 이것을..


**새 구상

- KT광인터넷 

  - TP-LINK TL-SG1008D 스위치허브 8포트

     - 포트1 : 유무선공유기(TP-LINK C7 AC1750 - 4포트)

     - 포트2 : MICROSERVER GEN8 포트1(윈도우10프로페셔널)

     - 포트3 : TP-LINK TL-SG1008D 스위치허브8포트 - 사무공간1 (컴퓨터 최대 6대)

     - 포트4 : TP-LINK TL-SG1008D 스위치허브8포트 - 사무공간2 (컴퓨터 최대 2대)

     - 포트5 : TP-LINK TL-SG1008D 스위치허브8포트 - 사무공간3 (컴퓨터 최대 2대)

     - 포트6,7,8 비어있음


이렇게 설치해도 될까요?

목표는 당연하겠지만 내외부망 속도가 최대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컴퓨터끼리는 전부 같은 내부망으로 연결되었으면 좋겠구요..

자료를 찾아보니 티밍?을 해주면 좋다는데.. 허브들끼리 설정을 해주면 되는것인지요?

지원하는 모델이 따로 있는지.. 


지금 예산을 좀 쓰더라도 가능하면 속도가 잘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동시접속인원은 많아봐야 2~3명인데 움직이는 파일들이 몇십 기가씩 입니다.. 

전송속도가 윈도우 파일공유 기준 초당30~60메가바이트 정도는 나와줬으면 좋겠습니다..ㅜㅜ


또 한가지 궁금한 것이 마이크로서버 젠8에 랜포트가 2개인데 

1개를 KT모뎀에 공인아이피 받는 포트, 1개는 내부망에 연결해서 양쪽 모두 접속이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속도를 올리는데 티밍이라는 것이 필요하다면 2개 포트는 내부망, 1개의 랜카드를 추가 설치해서 그것을 외부망에 사용하는..

그런것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서버에 외부접속이 가능할까 그냥 껴봤는데 생각한대로 작동하지는 않더군요.. 

외부접속과 내부망 사용이 모두 가능했으면 하는데..

혹시 검색어나 용어를 알려주시면 어떻게든 찾아서 해보겠습니다.. 아예 링크를 알려주시면 더 감사합니다..(_._)


서버의 경우 윈도우2012R2는 정품이 아니라 이번에 재구성할 는 윈도우10프로페셔널을 사용할 생각입니다.

레이드는 없이 그냥 각각의 하드에 자료를 보관하고, 

5개의 슬롯중 1개는 ssd에 OS / 1개는 상시사용되는 자료 보관 / 남은 3개의 슬롯은 자료가 꽉 차면 외부 보관

이런 형식으로 운영중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해피메리성탄 되시길 바랍니다~~


제라드TN 2016-12
일단 케이티 광모뎀에서 4포트인가 공인아이피 사용 가능하고요 거기에 서버 공인포트  기가공유기에 공인포트

가가공유기에 24포트 기가 허브 사용해서 각각 내부 직원 연결  프린터 연결.. 그리고 추가로 서버연결 하면됩니다.

8포트 허브 나눠쓰지마시고 24포트 하나로 쓰시면됩니다.

혹시 부서별 허브 나누는거라면  8포트 메인에 두구 각각 부서별 라인끌어서 거기에서 다시 8포트 로 해두되긴하는데 그럼 성능떨어지고요
차라리 부서가 얼마 안되니  8포트 기가 공유기에서 각각 부서별 라인나오고 고기에 8포트 기가허브 하면되겟네요

티밍은 하신다면 내부라인에 랜포트2로 묶어주시면됩니다.

서버 하드디스크 자주 읽고쓰기하시면 차라리 나스로 하시던가 아님 다스로 레이드 구성하세여 디스크 깨지면 복구비용이 더듭니다.
     
윤현기 2016-12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개로 24포트 가는게 맞는거군요..넵.. 감사합니다!
엠브리오 2016-12
내부에서 대량의 파일들을 주고 받는 경우 8포트짜리 허브로는 대역폭이 모자랄겁니다.
24포트 혹은 48포트 짜리 기기허브를 구매하는게 낫겠습니다.

마이크로 서버에는 4포트짜리 랜카드를 꼽아서 티밍으로 묶고,
나머지 컴퓨터들은 2포트 짜리 랜카드를 꼽아서 티밍으로 묶으면 최소한 내부망은 숨통이 트일것 같군요.

그리고 외부에서 회사 서버에 다이렉트로 접속하는 것은 보안문제가 있습니다.
꼭 필요하다면 VPN같은 것을 써서 최소한의 접속만 허용하는게 좋습니다.
     
윤현기 2016-12
약간 파일공유 느낌으로 쓰려고 하거든요..
생각한 것은 그냥 적당한 폴더만 공유하는 방법을 생각중인데..

가상화로 xpenology 같은 것을 써도 불안할까요?

VPN같은것은 비전문가라 벌써부터 머리가 아파오는군요 ㅜㅜ;;
          
엠브리오 2016-12
꼭 필요하다면 특정 디렉토리만 SFTP 로 열어 두면 되겠습니다.


제목Page 84/107
2017-01   10345   배고프고가…
2017-01   13130   깡통이
2017-01   19365   하늘색꿈
2017-01   10321   김현린
2017-01   21237   나는안다
2017-01   16649   빡시다
2017-01   10456   DOX
2017-01   15910   이태욱
2017-01   11792   나노큐브
2016-12   16669   공백기
2016-12   16661   새총
2016-12   8917   Sakura24
2016-12   15323   공백기
2016-12   10146   윤현기
2016-12   16607   새총
2016-12   11053   sensyb
2016-12   8028   들고양이
2016-12   7598   Nuge
2016-12   6020   gusanaki
2016-12   8909   박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