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fi 홈 네트워킹 구축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AidenKr   
   조회 6024   추천 0    

 안녕하세요.

Unifi 로 홈 네트워크 구축에 관련해서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 현재


현재 저희집은 총 세대의 asus 공유기로 AiMesh 구축이 되어 있습니다.

어차피 무선으로 사용하는건 IOT 제품이나 스마트폰, 패드 뿐이라 엄청난 속도를 원하는것도 아닙니다.

다만, 이게 자주 끊기니 매우 불편합니다. 

그래서 검색을 하다 보니 Unifi 로 구축한 후 만족한다는 글을 많이 보고 여기까지 오게 됐습니다.



# 미래


현재와 달라지는건 총 네가지 입니다.

 1) LG 게이트 웨이 -> USG

 2) asus 메인 공유기 -> USW 8P 60W

 3) asus mesh -> UAP PRO

 4) iptime 공유기 -> TPLink Switch


와이파이 신호가 약한 방은 랜선을 이용해서 UAP Lite 정도를 추가 설치하려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인 질문을 드리자면 USG 가 LG 게이트웨이를 100% 대체할 수 있을까요?

걱정되는게 IPTV 딜레이와 다시보기 서비스 입니다.



검색해보니 여러 설정들이 있긴 한데 글들이 모두 2년전쯤 글이라 아직도 제대로 되는지 궁금 합니다.


리눅서 2020-03
IPTV 딜레이는 케바케인것 같습니다... 저도 예전에 사설 공유기로 바꿨다가 딜레이때문에 낭패본적 있습니다 ㅠㅠ... 그때 알아본바로는 ISP 에서 나오는 라우터에 IPTV를 위한 특수한? 작업이 되어있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
     
AidenKr 2020-03
그냥 U+ 게이트웨이 하위에 USG 를 놔야 하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행복하세 2020-03
사실 이런케이스는 해보기전까지 모릅니다~
비슷한 환경 비슷한 구축을 해본 경험자가 따로 사용기같은거 적지않는이상 정확히모릅니다
     
AidenKr 2020-03
결국 포기 상태 입니다.
그냥 U+ -> USG 로 맘이 굳었습니다.
답변 고맙습니다.
곰삼촌 2020-03
Unifi는 SDN(Software-Defined Network) 솔루션의 일종입니다. 쉽게 말해 네트워크 장비들을 통괄하는 서버가 있어야합니다. UBNT의 Unifi 솔루션에서는 이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무상으로 제공합니다. 단 이것은 현 구성에서 '서버'역활을 할 수 있는 최소 데비안 리눅스 기반이나 패키지를 돌릴수 있는 NAS는 있으셔야 한단 말입니다.

만약 NAS나 짬으로 돌릴만한 서버가 없으시다면, 저 서버역활을 하는 녀석이 필요합니다. 바로 'Cloud Key'라고 하는 물건입니다. 현재 3가지가 나와 있고 Gen1 제품은 가격이 USD 100이 넘지는 않지만 최근에 나온 Gen2 제품들은 성능이 향상된 대신 가격이 비쌉니다(> USD 150)

이미 Mesh WiFi를 써보셔서 그성능을 체감하셨다면, 저 구조를 바꾸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Unifi로 똑같이 구현할려면 꽤나 많은 비용이 들어갑니다.(특히 국내에서 정식수입된거 사시면 가격이...) 생각하시는 그 개선 구조에 Cloud Key만 있으시면 가능합니다만, 퍼포먼스 적으로 현 구성보다 낫다는 보장은 못드리겠습니다.
     
AidenKr 2020-03
솔루션은 nas 에 docker 이용해 설치하려 합니다.
비용은 어느정도 각오 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순단에 의한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서요..

답변 달아 주셔서 고맙습니다.
          
곰삼촌 2020-03
네트워크 순단에 대한 스트레스는 저도 꽤나 심하게 받았습니다. LG U+측에서 제공하는 무선공유기(GAPD-7000)이라는 11ac가 지원되는 초기형 제품을 쓰고있었는데 커버리지는 큰 문제가없었지만(IoT쪽도 개별적으로 게이트웨이가 별도로 있었으니까요) 생각보다 조작시 반응 속도랄까 네트워크가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죠.

어차피 전 제가 쓰는 네트워크는 별도로 UBNT의 EdgeRouter 기반의 네트워크가 있고 별도로 AP를 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IoT를 모두 제가 구축한 개별 네트워크로 넘기고 나서 이 문제는 상당부분 해결되었는데, 문제는 TV더군요. 저도 아직까진 실력이나 경험이 부족해서인지 IGMP Snooping을 통해서 해결해 보려 했습니다만 LG U+쪽 IPTV의 경우 뭔가 패킷에 특수성이 있는지 TV에 표시되는 화면이 자꾸 깨지는 증상이 발견되서 500Mbps급 상품을 쓰다보니 CPE(LG U+에서 제공되는 단말기)에 다시 LG U+의 무선공유기만 달아서 TV들만 그쪽으로 해서 연결해서 해결했습니다. 뭐 IoT 제품군과 연동되지 않는 점은 어쩔수 없지만 잠정적으로 포기하고 있는 상황이구요.
제가 U+ 망에서 비슷하게 사용하고 있긴 합니다. 한가지 차이점은 기가라이트 상품을 쓰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 선을 바로 USG에 물리게 되면 속도가 500Mbps가 아니라 100Mbps로 떨어집니다. 이 연결방식이 엄밀히 표준이긴 한데, 실제로 지원하는 장비가 얼마 없기 때문에 U+ 장비를 브리지 설정해서 모뎀처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스위치 중에서 이 방식을 지원하는 제품이 있다고도 하는데, 해보진 않았습니다. 1000Base-T로 인터넷 선이 들어온다면 U+ 장비를 빼고 USG에 바로 물려도 상관없을 듯 싶습니다.
U+ 서비스 방식이 약간 특이한게.. 말씀하신 다시보기 서비스 같은 IPTV가 아닌 다른 서비스는 공용 IP로 접근이 안되더군요. U+ 장비나 USG 같은 라우터 아래에서 사설 IP로 접근해야 제대로 동작합니다. 이런 구성에서 IPTV(멀티케스트)가 나오게 하려면 USG와 USW에서 IGMP snooping이 활성화 되어야 합니다. 제가 할 때는 세팅에 없어서 ssh 접속해서 직접 세팅을 넣어야 했었는데, 요즘은 UniFi controller에서 간단하게 세팅할 수 있더군요.
마지막으로.. 말씀하신 IPTV의 딜레이가 문제가 됩니다. U+ 장비는 IPTV 관련 프레임들을 우선해서 처리해주기 때문에 PC 등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도 문제가 없는데, USG는 IPTV를 특별하게 대우해주지 않기 때문에 딜레이가 발생합니다. 이 부분은 저도 세팅을 하다가 집에 TV가 없어지는 바람에 확인을 하지 못했는데요. DiffServ를 이용해서 해결해야 합니다. U+ IPTV 프레임들은 EF(Expedited Forwarding)라고 DSCP 마킹이 되어서 오는데, USG에 이 클래스에 대한 대역폭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UniFi controller에서는 되지 않기 때문에, USG에 ssh 접속해서 설정하셔야 합니다.
     
AidenKr 2020-03
결국 U+ 게이트웨이 밑에 USG 를 놓고 시작해야 겠네요.
그러면 굳이 USG 가 필요 있나 싶기도 한데...

일단 UAP 부터 주문해서 안끊기는지 테스트를 해보고 나중에 제품 구매 결정해야 겠습니다.

답변 감사 드립니다.
          
곰삼촌 2020-03
USG는 라우터라서 반드시 필요하실겁니다. 아니면 이야기하시는 것 처럼 라우터를 다른 제품을 쓰시고 WiFi만UniFi로 가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아니면 HPE Aruba에서 나오는 Instant On 솔루션도 써보시는 것도 괜찮을 겁니다. 완전 클라우드형이기 때문에 세세한 개별셋팅이 어렵다는 문제는 있지만,
복수의 AP를 단일 SSID 기반에서 운용할 수 있고 AP간에 전파강도에 따라 Roaming을 백그라운드에서 처리해주더군요. 거주하시는 곳이 넓거나 벽체가 두꺼워 전파흡수율이 높아 전파가 순단되는 경우(11ac부터 주로 쓰이는 5Ghz에서는 어쩔수없긴합니다)엔 AP를 촘촘하게 깔아주시는게 편하실 수 있습니다.
               
AidenKr 2020-03
집은 34평 아파트라 그리 넓지 않습니다.
일단 nanoHD 주문 완료한 상태 입니다.
wifi 괜찮으면 USG 와 USW 도 같이 주문 하려 합니다.

신경 많이 써주시고, 답변 달아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일단 nanoHD면 굉장히 잘 선택하신 것 같습니다. 저도 지금 구입한다면 nanoHD로 시작할 것 같습니다. 34평이시면 그거 하나로도 문제없을 듯 싶네요. 그리고.. 제가 처음 시작할 때 EdgeRouter 5 POE와 UAP AC Lite로 시작했는데.. 기능적으로는 붙여서 사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지만.. UAP만 연결된 UniFi controller dashborad 화면을 보고 있자면.. 결국 USG, USW까지 다 구입하고 말았습니다.
                         
AidenKr 2020-03
적어주신 글을 쥬니 unifi 이름답게 usg와 uap를 이용하는게 정답인것 같습니다.
답변 고맙습니다!
                         
곰삼촌 2020-03
Dashboard 화면때문에 지름이 발생하는것에 동의합니다.(...)
majegersa 2021-01
일단 저 구성에서 클라우드키는 필수고요
회사에서 드림머신프로 + 스위치3대 + AP 사용중인데
개인용으로는 비추입니다
너무 비싸고 개인에겐 불필요한 기능(보안,모니터링등)이 많습니다
우리집 네트워크를 궂이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쥬
설정이나 유지보수도 만만치 않아요
자료도 한글화된 자료는 없고 판매사 기술지원은 개판이고 사용자가 많치 않아 도움 받을 곳도 없음
기존네트웍 공유기하고 AP를 잘 연동시키시면 네트웍 불안정은 해결가능
그리고 꼭 사실거면
직구하세요.


제목Page 53/107
2020-03   6980   손목건염
2020-03   5233   티모는귀여워
2020-03   4266   냉수한잔
2020-03   3941   곰삼촌
2020-03   4433   mkprint
2020-03   4530   까아
2020-03   3843   센치
2020-03   6118   슬기로운생활
2020-03   5977   곰삼촌
2020-03   5899   슬기로운생활
2020-03   4984   iron19
2020-03   4211   무줄
2020-03   6025   AidenKr
2020-03   6241   티모는귀여워
2020-03   5254   돈대신몸으로
2020-03   3967   RIGIDBODY
2020-02   4080   낭만넉대
2020-02   9867   스린
2020-02   6048   강냉이12
2020-02   5371   나는곰인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