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분기 사물인터넷을 이용해 구축한 홈네트워크 결과

monta   
   조회 10094   추천 3    

 안녕하세요. 어느덧 무더운 여름이 찾아오고 어느덧 2020년 2분기도 끝나가네요.

2020년 2분기동안 연구하고 구현해본 결과에 대해 아래에 기재합니다. 

(이전에 올렸던 게시글이 저의 실수로 삭제되어 중복되는 부분이 있는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초보라 많이 부족하지만 이해해주시고 너그럽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연구를 위해 구축한 홈네트워크 구성도>


<물리적인 네트워크 환경>


허브랙 정면






허브랙 뒷면


허브랙 위에 KT ONT장비와 시놀로지 RT2600AC(침입차단시스템용) 장비


허브랙 옆면


네트워크 트래픽 수집 및 분석서버 : Dell T140


무선 네트워크 구성 : 링크시스 벨롭(트라이밴드) * 2기 구성 


거실, 서재에 위치하여 매쉬 와이파이 구성


링크시스 벨롭 트라이 스펙정보 


와이파이 벤치마킹 테스트 결과



<집의 환경데이터를 수집하는 IOT기기들>


어웨어 2세대 정밀 온습도 측정기(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화학물수치, 초미세먼지)  



스위치봇 미터(온습도 측정기) 



스위치봇 스위치(침실 및 거실 스위치 원격 및 조건에 따라 자동작동)


거실 : 스위치봇허브 (스위치봇장비들을 제어해주는 허브) / 구글홈미니




거실 : 삼성 공기청정기 / 서재 : 브런트 공기청정기


침실, 베란다 : 삼성 스마트싱스 멀티센서(창문 닫힘, 열림 감지용)




침실 : 삼성무풍에어컨



침실 : 구글홈 / 미로 가습기




<모니터링 시스템>

NMS서버 : ZABBIX 

★ 대쉬보드 : 단순하면서 간결한 구조로 시설에 대한 환경정보 및 장애상황 파악가능 


★ 장비상태 모니터링 :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장비상황 파악가능  


제조사가 제공하는 어플로는 가독성 및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으로 만드는것에 한계점이 많습니다.

NMS이용 시 하나의 시스템에서 장비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확인 가능합니다.


EX) 스위치봇어플 

IOT기기에서 측정된 값들이 NMS서버로 실시간 데이터가 수집되게 됩니다.


수집되는 값을 이용하여 조건식을 구성하여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장애, 온도 및 습도 경보, 업데이트정보 등)


장애발생 시 장애인식 방법 및 알림 전송과정 (ICMP를 이용하여 헬스체크)


시스로그서버 (시놀로지NAS구성) 

네트워크 장비들의 로그를 수집하며 크리티컬 한 로그들은 SNS메신저로 날려서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운영자가 상황파악이 가능하다. 


내부 및 외부 트래픽 수집 및 분석서버 


육안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패킷을 분석하기 쉽게 보여줍니다.


원하는 패킷은 PCAP이나 다른 파일로 추출하여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분석이 가능합니다.


필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관련있는 패킷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계있는 데이터들을 정렬해서 프로토콜별로 나열해줍니다.

원하는 데이터들만 따로 추출이 가능합니다.


도메인 관련 트래픽 그래프 형태로 출력하여 확인가능합니다.


IP 및 서비스별 그림형태로 관계를 표현해줍니다.


시설 관련 환경값 변화에 따른 IOT기기 자동화 

조건에 따라 에어컨, 가습기, 공기청정기 등 기기들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집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해줍니다.


도커를 이용하여 가상화 서비스 구현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 nms서버, 구글홈 커넥터, mqtt, 에어코믹스 서버


구글홈 커넥터

나스 내부에 있는 음악들을 구글 홈 관련 기기들에서 플레이 가능합니다. (문자로 음성전달기능도 지원)


에어코믹스 서버 (언제 어디서든 NAS에 저장되어 있는 만화책을 읽는게 가능합니다.)


그밖에도 NAS에서 기존에 사용하는 기능들(음악, 동영상, 사진, 파일서버, 클라우드)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다들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기능들이라 사진은 스킵했습니다.


별거 없지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별거 없는게 아닌거 같은데요 ㅎㅎ
     
monta 2020-06
아직은 많이 부족하다보니 좀 더 개선점이 필요해서요 ㅠ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으마으마 하네요
nms 서버라는게 여기서는 자박스죠??
에러가 나올시 폰에 알림 뜨는건 어떤식으로 구현해야하는지요?
     
monta 2020-06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SNS를 이용해서 받아볼 수 있습니다
Christopher 2020-06
다시 올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
     
monta 2020-06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NaN 2020-06
트래픽 수집 및 분석서버는 어떻게 구현하였나요?
툴이 되게 편해보입니다.
     
monta 2020-06
몰록이라는 녀석입니다
설치방법은 오픈소스이다보니 패키지로 다운받아 설정할 수도 있고 컴파일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centos에 설정하였습니다
          
NaN 2020-06
정보감사합니다.
탭장비로 수집하고 데이터를 보관하고 액세스하는 몰록과 수집에 대한 아키텍쳐가 궁금합니다.
혹시 정보를 좀더 받을수 있을까요?
저도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복잡해지기 시작하면서 분석이 필요하던차여서 궁금한부분이 생기네요!
               
monta 2020-06
1. 탭장비는 장비 사이에 오가는 패킷들을 복제하여 모니터링포트로 복사된 패킷을 분배해주는 역할만 합니다.

2. 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한개의 서버에서 진행되게 됩니다.
규모가 크면 수집서버와 분석서버를 나누어 관리하지만 현재와 같이 규모가 작아 한개의 서버의 스펙으로도 충분이 커버가 가능하여 그렇게 구성하였습니다.

3. NIC카드는 자신이 설정한 IP와 브로드캐스트 패킷만을 허용하고 나머지 패킷들은 버리게 되는데 다른 IP의 패킷을 받을려면 수집서버가 프로미스큐어스 모드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커널포워딩, 소프트웨어포워딩) 중 선택하여 구성가능합니다.

4. 몰록 내부구성은 패킷들을 pcap파일형태로 저장하고 엘라스틱서치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된 값을 viewer를 통해 보여줍니다.
BlueApple 2020-06
와 집에 엔터프라이즈 IDC급 구성을 하셨네요 다 이해는 못했지만 감탄하고 갑니다. :)
     
monta 2020-06
감사합니다.
tpp52 2020-06
저 랙 캐비넷 어디서 구매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집에 장비가 주렁주렁 있는데 수납공간이 마땅치 않아서 ... ㅋㅋ
     
monta 2020-06
세영 SY-750R 허브랙입니다. 튼튼한거 하나는 장점입니다만
기성품처럼 나와서 구조 변경시 좀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tpp52 2020-06
감사합니다! 덕분에 좋은 물건 찾았습니다 ㅎㅎ


제목Page 49/107
2020-07   6127   까와이
2020-07   3907   ItsJaemin
2020-07   3586   맥시멈
2020-07   4375   맥시멈
2020-07   4726   BlueApple
2020-07   3492   센치
2020-07   5743   초보전산
2020-07   8584   MikroTik이진
2020-07   8300   monta
2020-07   9576   소금쟁이
2020-07   8040   고래1006
2020-07   6484   곰삼촌
2020-07   5339   떡빵
2020-06   9498   tpp52
2020-06   5387   마알도르
2020-06   30159   떡빵
2020-06   6189   포키
2020-06   5565   구고기
2020-06   10095   monta
2020-06   11371   N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