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 |
주니퍼 방화벽(SSG5) 최신 펌웨어 있으신분. (4) |
어텀 |
2020-09 |
4243 |
0 |
2020-09
4243
1 어텀
|
1206 |
hp2810-48g 트렁킹설정문의 (1) |
최엉큼 |
2020-09 |
3862 |
0 |
2020-09
3862
1 최엉큼
|
1205 |
hp2810-48g 트렁킹설정문의 |
안예린이 |
2020-09 |
4166 |
0 |
2020-09
4166
1 안예린이
|
1204 |
리눅스 PC로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할까요? (14) |
활륭 |
2020-09 |
5650 |
0 |
2020-09
5650
1 활륭
|
1203 |
(초보) 아이피타임 T24000의 대체제를 찾고 있습니다. (10) |
JGECNET |
2020-09 |
5964 |
0 |
2020-09
5964
1 JGECNET
|
1202 |
회사에서 리모트뷰 써보신분 계신가요? (7) |
카렘 |
2020-09 |
4622 |
0 |
2020-09
4622
1 카렘
|
1201 |
[초보] LACP 꼭 성공하고 싶은데 도움 부탁드립니다. (9) |
열음지기 |
2020-09 |
6132 |
0 |
2020-09
6132
1 열음지기
|
1200 |
[초보주의] Wireguard + Quagga 를 이용한 Internal network 구축 (6) |
이동원CH |
2020-09 |
5623 |
0 |
2020-09
5623
1 이동원CH
|
1199 |
피시방 노하드 서버 비슷한..? 이런 시스템을 뭐라고 부르는지 … (7) |
디너모 |
2020-09 |
5561 |
0 |
2020-09
5561
1 디너모
|
1198 |
[CloudFlare] API로 DNS 정보 업데이트하기 |
레몬트리7 |
2020-09 |
5514 |
1 |
2020-09
5514
1 레몬트리7
|
1197 |
CloudFlare: 무료 요금제는 특정 TLD의 API Token을 이용한 DDN… (6) |
Elsaphaba |
2020-09 |
3975 |
0 |
2020-09
3975
1 Elsaphaba
|
1196 |
100메가 공유기와 1기가 허브 (5) |
po2481 |
2020-09 |
4683 |
0 |
2020-09
4683
1 po2481
|
1195 |
L4스위치 구성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3) |
켄틀리12 |
2020-08 |
5341 |
0 |
2020-08
5341
1 켄틀리12
|
1194 |
CloudFlare의 "윈도우용" DDNS IP 업데이트 프로그램… (7) |
Elsaphaba |
2020-08 |
5156 |
0 |
2020-08
5156
1 Elsaphaba
|
1193 |
UBNT 제품 중 드림머신등의 2세대 제품군은 국내에 들여오지 않… (12) |
xtty |
2020-08 |
5418 |
0 |
2020-08
5418
1 xtty
|
1192 |
키스톤잭? 커플러? (8) |
구고기 |
2020-08 |
4924 |
0 |
2020-08
4924
1 구고기
|
1191 |
내부망 5기가 연결해서 질문드립니다 (8) |
구고기 |
2020-08 |
4603 |
0 |
2020-08
4603
1 구고기
|
1190 |
윈도우 부팅시 일부 사이트 접속이 몇분간 안됩니다.. (10) |
DOX |
2020-08 |
3638 |
0 |
2020-08
3638
1 DOX
|
1189 |
CISCO SG300-52 스위치 Webui 접속 관련 질문드립니다 (3) |
구고기 |
2020-08 |
5742 |
0 |
2020-08
5742
1 구고기
|
1188 |
미크로틱 방화벽 및 VPN 관리 업체 (3) |
Naro |
2020-08 |
4083 |
0 |
2020-08
4083
1 Naro
|
1. 지원정보는 모르겠는데, SMB 3.0 쓰실 수 있으시면 여러 커넥션 쓰기 때문에 LACP 설정 안하셔도 2기가 대역폭이 나옵니다
각 컴퓨터들이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스위치 허브는 포트가 많은 것이 유리합니다..
7명 사용자 + 스토리지 + 본인 하면 총 9명 거에 모두 4포트씩 묶는다면 36포트
즉 48포트 메니지먼트 스위칭 허브가 필요하게 됩니다.. (48포트 허브들은 전기도 많이 먹고 다들 시끄럽습니다..)
NAS와 1G대역폭을 쓰고 인터넷도 할 수 있는 대역폭이 확장된거지 NAS와의 단일세션의 속도가 늘어난게 아닙니다.
SMB3 멀티세션이 NAS에 활성화 되었다고 하면 SMB만은 2G 나올 수 있으나 이것도 라인수를 맞춰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NAS는 1G 라인이 4개인데 PC는 2개다? 이상 작동할 가능성이 많다고 봅니다.
PC에 LACP는 안해도 됩니다.
NAS나PC나 LACP없이, LACP지원하는 스위치 없이 SMB3 멀티세션을 통해 SMB을 통한 파일전송만은 속도 증가를 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NAS는 LACP를 거는것이 NAS가 내부에서 SMB를 이용해 네트워크 드라이브 붙이는 용도로만 쓰지 않기 때문에
이왕 두라인 연결한거 LACP지원 스위치도 사고 LACP도 구성하는것입니다.
시놀로지 NAS에 SSH를 활성화 하고
putty를 이용해 nas에 쉘로 접속하여 sudo -i 로 root권한을 획득하고
아래처럼 vi 로 smb.conf 파일을 열어서
vi /etc/samba/smb.conf
아래 내용을 insert 해주고 NAS를 리부팅 하면 NAS의 멀티채널은 끝
server multi channel support = yes
aio read size = 1
aio write size = 1
PC는 윈도우 10이면 기본 SMB3이 활성화로 알고 있고 윈도우7은 smb1을 죽이고 smb3을 활성화 하는데 레지스트리로 하던가 이건 기억이 잘 안나네요
윈도우 7 아직도 쓰시나요? 이참에 10으로 넘어가시는게...
이후 속도 변화를 살피면서 NAS에 4라인을 연결하고 PC는 2라인으로 테스트는 충분히 하신 후 LACP를 준비해보세요.
첨언하자면 SMB 멀티채널을 이용한 파일 전송은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 사용하신다면 파일전송 후 파일의 정상 유무를 꼭 체크하세요 안그러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아도 대역폭이 늘어납니다. NAS도 랜케이블 2개만 꼽으면 됩니다. 4개 다 꼽아도 상관 없습니다. 어차피 2개만 쓰지만요.
된적도 있다고 하는데 패치 될떄마다 됐다 안됐다 하니 안된다 생각해야 합니다.
인텔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티밍해도 소용없고... 윈도에서 설정하면 된다들 내용들 보고 티밍해도 안됩니다.
그러면 뭐가 문제냐....
나스와 전송속도 늘리는 것은 오로지 SMB3.0 밖에 안됩니다.
나스는 본딩하고 PC는 두가닥 그냥 연결해도 됩니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본딩을 하려면 LACP 기능을 가진 허브... 그러니까 보통 매니지드 허브를 구해야 하는데 굳이 비용을 들일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제 생각에는 나스를 그냥 일반 허브에다가 선 다 연결하시고 SMB3.0 세팅
각 PC에는 4100원짜리 넥스트 랜카드 구입하셔서 장착 하셔서 보드랜과 해서 두개를 허브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PC에서 듀얼랜 이상 필요없는 이유가 나스에 하드 장착하셨을 텐데 어차피 2G 속도 안나옵니다.
랜선 2가닥으로 LACP 없이 속도 증가 가능합니다. (나스쪽도 2가닥..)
가정에서 사용하는 법은+> https://reddreams.tistory.com/1539
요거 참조하시면 됩니다. 즉 삼바 프로코콜 자체가 멀티 채널을 지원 합니다..
bsd 계열 나스 OS는 최신 삼바 4이상 지원합니다. 디폴트로
옵션으로 멀티채널=YES 넣어주심 됨.
1.1. 윈도 자체셸로 거는 티밍은 티밍 자체는 되는데, LACP 프로토콜이 안됍니다.
해서 랜카드 듀얼 포트 이상에서.. 랜카드 자체 유틸로 티밍 딱 뜨는 놈들이 있습니다. HP 래든가.
꽃게도 됨.. (검색) 인텔이 구형 카드들 안돼는 걸로 유명함... 되는 놈만 됨..
2. 티미/본딩 시스코 채널링. 모두 양쪽에 걸어야 합니다
PC/ PC랜카드 ===스위치.. (시스코스위치는 윈도 셀로 티밍 건거 꼽으면, 프로코콜 안맞아서,
채널표시만 하고..루프방지상 ip는 따로 잡힙니다. sh ip arp 나 sh ip route 쳐보시면 확인 가능)
NAS 도 대부분 LACP 설정이가능합니다. (LACP가 원래 국제 통신규격이라.) 양쪽이 맞아야.
인터페이스가 up/up으로 뜹니다. 물리적 으로 정상, 프로토콜 정상.
프로토콜 안맞는다고 인터넷 안돼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3. .NAS OS가 뭐든 삼바 버전 3.이상은 대개 설정으로 가능해서,
보안상 최저 삼바 3이상 쓸것을 권장. 윈10은 즉 3.11 버전이 디폴트로 잡혀있고
나머지는 다 죽여놨음..
NAS 접속 안됀다고. 삼바 1.0으로 다운 하시면 보안상 매우 위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