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P 마이크로서버 Gen8 ] ESXi vm 설치

회원K   
   조회 6346   추천 1    

ESXi를 사용하는 목적은 다양한 서버 OS의 테스트 및 연결 운용을 위한 것 입니다.
 
vmware의 vSphere Client를 설치하여, ESXi의 서버에 접속 합니다.
ESXi에 로컬 ip만 지정했기에 ip로 접속 합니다.
Gen 8 서버는 iLO ip와 서버 ip - 2개의 ip가 있으므로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192.168.1.16은 iLO의 ip인데, 저렇게 접속하면 안됩니다.
ESXi의 ip인 192.168.1.15가 맞는 것 입니다.
 
 
ESXi client에서 다른 부분은 크게 손델 것이 없고, 디스크만 추가해 주면 됩니다.
여기에 디스크가 보이려면 인텔리젼스 프로비져닝에서 디스크를 사용가능한 상태로 잡아줘야 합니다.
인텔리젼스 프로비져닝에서 디스크를 잡지 않았다면 다시 iLO를 올려서 작업해줘야 합니다.
 
참조.
 
 
 
테스트를 진행하는 Gen 8에는 120G 삼성 840 SSD, 1T SATA, 250G SATA(raid 1) - 3가지의 디스크가 있는데
SSD는 비싸기 때문에 DB 영역에 할당을 하고,
250G SATA는 성능과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OS에 할당을 하고
1T SATA는 일반적인 영역으로 할당 합니다.
 
* ESXi 5.1에서 삼성 840 디스크 추가가 안됩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설치를 할 것은 CentOS 6.4 (웹서버 작업용) pfSense (방화벽작업용) endian (utm 작업용) 등 입니다.
ESXi의 경우 2-4 코어의 CPU를 할당해봐야 확실한 성능이 나오는 것도 아니므로,
1 CPU를 기본으로 합니다.
 
이부분은 설치 메뉴얼이 많으므로 생락 합니다.
 
 
 
- to be continue -
죠짱 2013-10
참고로 영구디스크(?)에 리눅스 관련 파티션(lvm등)이 존재하면 ha어쩌고 에러 메시지를 툭~
     
회원K 2013-10
영리한거죠.
기존 디스크에 있는 것을 체크해주니까요.
          
죠짱 2013-10
개인적으로 이걸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잘 모르겠는데,
뭐, 할라면 하겠지만 귀찮아서요...

저야 무조건 완전 초기화 프로비저닝을 선호 하는 터라....
데이터만 NAS나 SAN 에 있으면 사실 로컬에는 그냥 뭐...


제목Page 384/406
2015-12   1772154   백메가
2014-05   5246856   정은준1
2013-10   10533   회원K
2013-10   4715   1851
2013-10   16985   FOXBI
2013-10   3912   김준유
2013-10   4527   빠시온
2013-10   4024   binary
2013-10   3588   이천풍
2013-10   10373   회원K
2013-10   3509   구명서
2013-10   8263   회원K
2013-10   5525   죠짱
2013-10   6347   회원K
2013-10   4307   comduck
2013-10   11000   회원K
2013-10   8196   회원K
2013-10   4836   인천I베리
2013-10   10758   회원K
2013-10   8455   회원K
2013-10   12013   회원K
2013-10   7744   회원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