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VMware Horizon 7.11 w/ P2000 deployment

   조회 5217   추천 0    

 

기존에 사용하던 GRID K2를 P2000으로 교환하고 있습니다.
예상대로 에러 43이 안 뜨네요. 덧붙여서 P1000 이하는 에러 43이 뜹니다. 엔비디아 진짜...

기존 그래픽카드 대비 성능은 2.5배 이상, 전력소모는 1/2로 감소합니다. 사용 프로파일에 따라 VM 밀도는 감소할 수도 있으니, 조건이 맞는 경우 시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애초에 한 서버에 5장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박는다는 것도 E7 시스템이기에 가능한 것이기도 하구요.
그래도 조건만 맞는다면 현 시점에서 가장 가성비가 좋은 방법은 맞는 것 같습니다. 테슬라 살 돈만 쓰면 연간 $350/VM을 절약할 수 있으니..


빠시온 2019-12
k2 액티브 쿨러 젠더(?) 안 쓰실꺼면 좀 얻을 수 있을까요??
     
송주환 2019-12
검토해 보고 연락드리겠습니다. 세트로 같이 팔까 고민중이어서요
          
빠시온 2019-12
네. 따로 파실수 있으면 가격 적어서 제시해주세요.

40mm 쿨러는 있어서 사실 가이드만 있으면 되서요.
지금 청테이프로 둘러놨습니다.
maronet 2019-12
esxi 버전 몇으로 구성하세요?
     
송주환 2019-12
6.5 U2입니다.
          
maronet 2019-12
아 역시... nvidia는 vdi용 카드 지원기간이 너무 짧은 것 같아요 ㅠ.ㅠ
경쟁이 좀 되야하는디 말이죠. AMD가 VDI쪽으로는 관심이 없어보이니. 쩝~
               
송주환 2019-12
AMD Instinct, MxGPU에 흥미가 있기는 합니다. 라이센스 비용이 안 드니 말이죠. 헌데 구축 사례조차 찾기 어렵더라구요.
하드웨어 인코딩 지원 여부도 불투명하고..
                    
maronet 2019-12
Horizon에서 효과적으로 쓰려면 결국 비디오카드가
1)SR-IOV 기능을 갖고 리소스를 VF로 나누어 주는 기능
2)ESXi용 드라이버
두가지가 구현되어야하나... 데스크탑 타겟이라 둘다 안된 것 같습니다.
                    
epowergate 2019-12
아직 좀 불안합니다.
개인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는 몰라도 중-대기업에서 사용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1-2달에 1-2번은 장애가 발생하더라구요.
VMWARE쪽 문제이기 보다는 GPU와 서버와의 호환이슈가 좀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6개월 전이니까 지금은 좀 낳아졌을런지 모르겠습니다.

DELL 740 (INTEL), DELL 7425 (EPYC)과도 맞춰보았는데 마찬가지 입니다.
                         
송주환 2019-12
귀중한 실사용기 감사합니다. 암드가 좀 분발해주면 좋을탠데 말이죠..
                         
maronet 2019-12
혹시 쪽지로 GPU 모델명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GPU와 보드 호환성 문제는 새모델로 교체말고는 해결안되는 경우도 있던디...
                         
epowergate 2019-12
S7150 (x2)으로 해봤었습니다.
요즘 새로 나오는 CARD는 못해봤습니다.  구하기도 어렵고 그 냥 테스트 수준으로 해보긴 너무 비싸고 뭐 그래서요
                         
maronet 2020-01
지원되는 모델임에도 잘 안풀려서 고생하셨겠습니다.
저도 Horizon에서 해보고 싶어도 카드 가격이 넘사벽이라 ㅠ.ㅠ
김현린 2019-12
p2000을 패스 쓰루로 사용하는거지요?
k2200에서는 2560 해상도에서 20hz 락을 걸어버리더군요.
엔.비.디.아. 에서요.
수동으로 다시 60hz로 바꿔줄수 있긴 하던데
p2000은 어떤가요?
     
송주환 2019-12
TITAN Xp로 패스스루 했을 때 동일한 증상이 있었습니다. 코드 43 우회 후 생긴 문제라 드라이버적인 제한이라고 생각했었는데, K2200은 코드 43이 안 떴나요?

P2000은 동적 해상도 지원, HEVC, 60fps 모두 잘 동작합니다.
          
김현린 2019-12
코드 43안뜨고 잘 쓰고있었습니다.
코드43 우회가 지금도 되나요?
잘 안쓰는  메인pc가 1060이기에 이걸 꼿아볼까 싶기도 합니다만..
최근 7.10으로 업그레이드 하고난뒤에 퍼포먼스 체크하는툴이 생겨서 보니까 20hz에 고정되길래 이상하다 싶었습니다.
정말 별에별거 다 찾아보다가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보니까 호라이즌 붙는순간 20hz로 변경되더라구요.
다시 60hz로 바꾸면 되긴합니다.
매번 60hz로 바꿔줘야하는게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1920해상도에서는 60hz로 되는데 2560해상도에서는 20hz로 내려갑니다.
드라이버 버전별로 테스트는 안해본게 좀 아쉽군요....(귀찬)
지금은 그냥 별도 vga없이 svga로 사용중입니다.
               
송주환 2019-12
코드 43 우회는 가능합니다. 만, 1060은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타이탄이 독특한 케이스여서요.
저는 드라이버 버전별로도 테스트를 했었는데, 별다른 차이는 앖었습니다.
                    
김현린 2020-01
p4000을 처분한게 조큼 아쉬워지는 순간이군요..
생각보다 소음이 있어서 처분하게 되었는데..
p2000을 노려봐야겠네요.
                    
안녕하세요. 또다른 Horizon 엔지니어입니다. 좋은 내용들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VSGA를 구성하려고 해도 NVIDIA 라이선스가 필요하고, VDGA로 구매하려고 해도 고가의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보니 정말 비용 문제가 커서 향후 신규 프로젝트 시 가장 가성비 높은 대안이 무었일까 찾다 보니 쿼드로 2000 같은 상대적으로 저가(?)의 제품을 여러개 물려서 VDGA로 운영하는 방법이더군요. VDI 구성 시 예산 장애가 되는게 MS만 있는게 아니라 NVIDIA도 있네요.

1. 여기에서 언급하신 내용이라면 P1000부터 43 에러가 안 뜬다는 걸까요?
2. P2000도 43 코드 발생해서 vmx 파일 수정해서 우회하시고 사용가능한 것이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제목Page 40/130
2015-12   1772090   백메가
2014-05   5246791   정은준1
2020-02   4582   maronet
2020-02   5024   재니짱
2020-02   4796   킵고잉
2020-02   5398   행복하세
2020-02   4437   waney
2020-01   4135   똥파리이
2020-01   3975   우신예찬
2020-01   13580   하늘하늘
2020-01   5748   보안공부
2020-01   24708   Zlfmzlw
2020-01   4337   Ansyncic
2020-01   5678   Chul22
2020-01   4754   고공
2020-01   6665   고공
2019-12   5218   송주환
2019-12   5347   송주환
2019-12   4952   xcpng
2019-12   5116   일리케
2019-12   4471   왕봉구
2019-12   13903   MikroTik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