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7761 |
0 |
2014-05
525776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2571 |
25 |
2015-12
1782571
1 백메가
|
369 |
(Hyper-V) (수정)SLAT 미지원 CPU에 Windows 8 Hyper-V 설치하기 |
간장게장 |
2015-01 |
26326 |
1 |
2015-01
26326
1 간장게장
|
368 |
(VMWare) esxi 에서 xpenology 디스크용량 변경 문의드립니다 |
HighElf |
2015-01 |
20562 |
0 |
2015-01
20562
1 HighElf
|
367 |
(VMWare) xpenology를 설치해보고 싶은데 사이트에 링크가 안됩니다 (3) |
HighElf |
2015-01 |
18674 |
0 |
2015-01
18674
1 HighElf
|
366 |
(VMWare) ESXi에 호환가능한 USB 유선랜카드 (3) |
FOXBI |
2015-01 |
20205 |
2 |
2015-01
20205
1 FOXBI
|
365 |
(VMWare) 네트워크쪽 질문드립니다. (4) |
짱짱맨 |
2014-12 |
12158 |
2 |
2014-12
12158
1 짱짱맨
|
364 |
(VMWare) 마이크로서버 G8 RAID+SATA 혼용(?) 문제 (1) |
EdH |
2014-12 |
10858 |
1 |
2014-12
10858
1 EdH
|
363 |
(Xen) HP Z800에 XenServer 설치해 보신분 있으시면 연락좀 부탁… (2) |
앙크 |
2014-12 |
15697 |
2 |
2014-12
15697
1 앙크
|
362 |
(VMWare) [질문] NIC directpath i/o 설정후 esxi 접속이 안됩니다. (2) |
거니네 |
2014-12 |
16234 |
1 |
2014-12
16234
1 거니네
|
361 |
(etc) 혹시 VDI 사내 도입관련으로 BMT 한 자료가 있을까요? (6) |
서울사람 |
2014-12 |
15516 |
1 |
2014-12
15516
1 서울사람
|
360 |
(Xen) 혹시 젠서버 설치 좀 봐주실 분 없을까요? (1) |
프로키온 |
2014-12 |
13713 |
2 |
2014-12
13713
1 프로키온
|
359 |
(VMWare) ESXi에서 게스트 OS간 파일전송이 너무 느립니다. (9) |
리베이트 |
2014-12 |
18001 |
1 |
2014-12
18001
1 리베이트
|
358 |
(Xen) XenServer 설치하다 대머리될듯... 이렇게 힘든가요? (6) |
프로키온 |
2014-12 |
16396 |
2 |
2014-12
16396
1 프로키온
|
357 |
(VMWare) vCenter에서 가상머신 이벤트 중 원격 콘솔 연결차단 이벤… (1) |
머고 |
2014-12 |
8766 |
1 |
2014-12
8766
1 머고
|
356 |
(VMWare) vSphere Web Client 하이고... (15) |
EdH |
2014-12 |
10927 |
2 |
2014-12
10927
1 EdH
|
355 |
(VMWare) sata3 드라이버를 구할 수 있을까요? (2) |
ocm10gr2 |
2014-12 |
10824 |
2 |
2014-12
10824
1 ocm10gr2
|
354 |
(VMWare) esxi 5.5 raid0 설치후 부팅 안되는 증상 (4) |
ocm10gr2 |
2014-12 |
11330 |
2 |
2014-12
11330
1 ocm10gr2
|
353 |
(Hyper-V) ESXi MAC OSX 성공하신분 매뉴얼 위치좀 부탁 드립니다. (4) |
민사장 |
2014-12 |
12018 |
1 |
2014-12
12018
1 민사장
|
352 |
(VMWare) 고정 IP 가 한 개 인 상황에서 guest OS 의 네트워크 설정… (7) |
ljssmh1 |
2014-12 |
17007 |
5 |
2014-12
17007
1 ljssmh1
|
351 |
(VMWare) ESXi 5.5 Patch 12월자 (1) |
빠시온 |
2014-12 |
8862 |
2 |
2014-12
8862
1 빠시온
|
350 |
(VMWare) vmware fusion에다가 esxi를 설치하려고 하는데요.. (1) |
니포 |
2014-12 |
9317 |
1 |
2014-12
9317
1 니포
|
ESXi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싱 기능은 옵션에 따라 말 그대로 "로드밸런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한 일례로 지금 선택하신 옵션은 가상머신이 켜지는 순서대로 활성화된 어댑터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나머지 옵션도 마찬가지로 IP hash 혹은 MAC hash 등으로 결국엔 로드밸런싱 기능만을 제공합니다.
차라리 어댑터를 각각 1개의 스위치로 만드신 후 Guest OS상에서 본딩 혹은 티밍 등을 하시는게 목적에 더 맞다고 봅니다.
vmnic1,2는 서버에 있는 실레 리얼 닉이이고 이것을 티밍로드벨런싱으로 해서 200m의 대역을 쓰려고합니다
즉 vSwitch1은 200매가 의 스위치를 만들려고하는 것이고 vm에서 보면 200m의 닉이 만들어 질거에요
윈도우나 리눅스에서는 라운드로빈으로하면되는데 vmware에서는 라운드로빈이 어떻게 설정하느냐를 여쭈어본거 거든요 제가 vmware 초보라서요 ...
vSwitch에서 제공해주는 로드 밸런싱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조금 다릅니다.
vSwitch 입장에서의 로드밸런싱은 ESXi 서버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에 대해서만 관여합니다.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트래픽에 대해서 대역폭을 늘리려면 외부의 물리적인 스위치(시스코의 이더채널 등)의 도움을 받아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받는 트래픽은 절대 로드밸런싱이 되지 않습니다.
(PC에 듀얼랜카드 장착 후 팀 구성한 후 케이블을 일반 허브에 연결하는것과 같은것이죠. PC에서 팀 구성을 했다 하더라도 LACP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1개의 대역폭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라우팅 기반, 해시 기반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NIC 2개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분산해주는 것이죠.
어찌보면 200Mbps 대역폭을 쓰는것 같지만 엄밀히 따지면 100Mbps로 봐야합니다.
만약 LACP를 지원하는 관리형 L2 스위치를 구입하셔서 사용하시면 말씀하신대로 200Mbps의 대역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vSwitch 만으로는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vSphere Client에서는 구성이 불가능하며 vSphere Web Client에서만 구성이 가능합니다.
(물론 구동되는 스위치도 LACP를 지원해야 합니다)
새로 추가된 기능은 모두 vSphere Web Client에서만 가능하며 올해 출시될 vSphere 6.0에서는
vSphere Web Client만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