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지금 데이터센터에 도입하려는 서버의 성능은
CPU 16Core
Memory 128GB
Disk 24TB
입니다.
그리고 VMware esxi도입을 고려하게 된 계기는 Iaas기반의 서비스 제공 및 테스트입니다. 서버 10대에 도입 예정입니다.
제가 알아본 VMware esxi 도입 라이센스 비용이 아래와 같았는데
VMware vSphere 에디션 별 기능 및 가격
VMware vSphere Essentials/VMware vSphere Essentials Plus-(호스트 3대로 제한) (USD $495/USD $2,995)
VMware vSphere Standard Edition-(USD $795/프로세서(up to 6-core) 당/최대 256GB 메모리)
VMware vSphere Advanced Edition-(USD $2,245/프로세서(up to 12-core) 당/최대 256GB 메모리)
VMware vSphere Enterprise Edition-(USD $2,875/프로세서(up to 6-core) 당/최대 256GB 메모리)
VMware vSphere Enterprise Plus Edition-(USD $3,495/프로세서(up to 12-core) 당/무제한 메모리)
1. 라이센스 비용이 올라가는 기준이되는 성능이 물리서버의 기준인지 아니면 서버에 올라가는 VM의 기준인지 몰라 질문드립니다. (아마 VM 기준인거 같으나 확실하지가 않아 질문 드립니다.)
이 링크를 참조해 본다면, Enterprise 하위 버젼을 쓸 경우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네요.
2. VMware ESXI를 처음 사용하는데 Enterprise버젼을 사용할 경우 그 버젼에 있는 많은 기능들을 무리없이 사용이 가능할지가 궁금합니다.
3. 10대에 설치 예정이므로 1대에 vCenter 9대에 VMware ESXI를 설치를 하면 되는건가요?
4. http://www.vmware.com/kr/products/vsphere/pricing.html 를 참고해서 가격은
$2,875 * 9 + $4,995 라고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5. 1년간의 지원 및 신청에서 기본과 운영의 차이는 어떻게 될까요?
질문이 많네요 ㅜ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vmware는 CPU소캣에 따라 라이선스 갯수가 정해집니다.
10대에 esxi 설치하시고...구형서버 하나 구해다 거기에 vCenter 설치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윈도우에 설치하는게 더 편한 것 같습니다.
MSSQL 을 로컬db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듀얼코어만 되어도 충분합니다. (디스크는 좀 빠른게 좋습니다)
라이센스는 잘 몰라서...다른 고수분께 넘깁니다. ;;;
스탠다드는 1소켓당 6코어(HT 제외) 당 1카피라는 뜻입니다.
8코어 2소켓이면 6코어 넘어가니까 어드밴스드 2카피 사셔야합니다.
그리고 DISK I/O가 중요합니다.
스토리지 형태로 SAN 볼륨을 사용하셔야 할텐데요.
벤치마킹때 잘 해보셔야합니다.
그리고 저것은 상용버전인 ESX이고, ESXi는 무료입니다.
그리고 라이센스 하나를 무료로 풀었다고..
제가 알기론 더이상 ESX가 나오지 않고 ESXi가 나옵니다. 그렇게 되면서 하이퍼바이저만 사용하는 것이 무료로 풀린 것이고요. 아마도 3 이후로 ESXi로 바뀌면서 무료로 푼 것으로 압니다.
vSphere 가상화 솔루션의 하이퍼바이저만 사용하면서 가상화를 하는 것은 비용이 들지 않으나, 그것을 관리하는 ESXi를 제외한 vSphere를 구성하는 나머지 제품들로 장사를 하겠다 이거지요.
검색 좀 더 하고 오시는게 좋겠습니다.
여기 2cpu에도 라이선스 자료 많고요.
구성 관련은 구글링 좀 하시고 구성도 한번 보고 재질문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물론 비용은 많이 비싸겠지만, 도입하시면 설치부터 구성, 교육까지 해드리는 업체가 많습니다.
1. 네트웍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게 됩니다. 서버간 VM 이동을 비롯해서 할 것이 많습니다.
2. 디스크를 한대에 저렇게 많이 넣으면 안됩니다. iSCSI를 비롯해서 스토리지 분리가 필요합니다.
3. 보안장비의 도입도 하셔야 합니다. 10대를 저렇게 풀어 놓으면 해커 천국. 사용자 지옥이 됩니다.
4. 서비스와 ip의 mapping 등에 대한 전략도 있어야 하고
5. 1대는 HA Backup으로 돌려지 않으면, 서비스 장애가 생깁니다.
6. 저가형 중고장비로 proto를 만든후에, 실제 장비를 도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상화는 disk 속도가 중요한데, 24TB를 서버에 장착한다고 하시니... 걱정이 앞섭니다.
비싼 vmware 도 좋긴하지만
리눅스 kvm 으로도 가상화 인프라 구축하면 많은 이득이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