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ESXi의 MKS포트 변경하기

   조회 38965   추천 8    

ESXi 호스트가 여러대 있는 경우 공인 IP한개로 다 접속하기 위해서 작업하였습니다.
vClient 접속은 443포트를 적당히 포워딩해서 쓰면 되는데 문제는 콘솔화면을 보기 위한 902포트였습니다.

우선 일반적인 경우에는 이런 작업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라우터를 앞단에 두고 VPN연결을 한다던지 하면 해결되니까요.

저도 사실 미크로틱에 VPN기능을 사용하려 했는데
좌란에 설정하기를 보고 따라했는데 내공이 부족한건지 윈도우에서 VPN연결이 죽어도 안되어서 별수 없이 포트 포워딩 방식으로 작업하게 되었습니다.

1. ESXi 호스트의 ssh 쉘 활성화
(호스트에서 직접 활성화해도 되고 vClient에서 Security Profile에서 활성시켜도 됩니다.)



2. MKS 포트 변경하기 (902 포트를 50011포트로 변경한다고 가정합니다.)
예전 버전 문서인데 4번5번 항목만 작업합니다.
/etc/vmware/config 파일에 authd.client.port = "50011" 라고 추가합니다. (기존 파일에 아예 없는 내용이므로 추가합니다.)



/etc/services 파일의 authd  902/tcp 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authd  50011/tcp 라고 수정합니다.




3. 방화벽 설정파일 편집
/etc/vmware/firewall/service.xml 파일을 편집합니다.

이 파일은 편집하기 전에 꼭 아래 명령을 사용하여 권한을 따야 합니다. 그냥 해봤는데 vi에서 저장이 안됩니다.
chmod +w+t service.xml

<port>902</port> 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port>50011</port>로 변경합니다.
총 네군데 있어서 모두 변경했는데 vSphere Client 항목의 902포트만 변경해도 되었을 것 같습니다.


작업 완료후 다시 권한 복구합니다.
chmod 444 service.xml


KB 문서에는 서비스만 재시작하면 적용된다고 하는데 적용이 되지 않았습니다.
ESXi 호스트를 재부팅하면 원하는 포트로 접속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최종적으로 환경이 변경되어 적용된 모습입니다.



이은호 2013-08
좋은 정보는 추천!
회원K 2013-08
추천. 읽어도 잘 모르겠습니다.
1개의 ip로 vClient, VM 모두 다 접속 가능하게 하는 것이죠?
     
홍준기 2013-08
네, 공인IP 한개로 ESXi 시스템 두개 이상을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VM을 생성해서 설치하려면 콘솔을 보면서 해야 하는데 이게 기본 포트가 902 고정이라서 해당 포트를 변경하였습니다.
본문에 작업하는 목적이 확실히 알수 있도록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회원K 2013-08
감사합니다.
네트웍에 대한 것을 읽어도 읽어도 내용이 머리를 스쳐 지나가네요.
짬나는대로 계속 읽어보겠습니다.
최승현 2013-08
멋지군요 추천!
v김호준v 2015-02
감사합니다. 덕분에 포트 수정해서 잘 사용하게 되었네요!
멜랑꼴링 2020-07
ESXI MKS포트변경 ㄷㄱ


제목Page 127/130
2015-12   1782853   백메가
2014-05   5258029   정은준1
2013-09   19293   영남
2013-08   21669   양희재
2013-08   39690   회원K
2013-08   34898   회원K
2013-08   50994   esca
2013-08   39342   회원K
2013-08   38966   o홍준기o
2013-08   31548   김윤술
2013-08   37976   회원K
2013-08   30480   회원K
2013-08   32814   회원K
2013-08   18056   회원K
2013-08   20422   회원K
2013-07   14063   회원K
2013-07   18136   이치로운
2013-07   24632   황진우
2013-07   24170   황진우
2013-07   17932   최승호
2013-07   12592   이병영
2013-07   14986   엠브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