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8936 |
25 |
2015-12
178893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3985 |
0 |
2014-05
5263985
1 정은준1
|
1070 |
(VMWare) ESXi 설치하는데 (5) |
쌍cpu |
2016-10 |
9619 |
0 |
2016-10
9619
1 쌍cpu
|
1069 |
(Hyper-V) (Hyper-V)[질문] Hyper-V 이중화 질문드려요 (2) |
오핫핫 |
2016-10 |
10423 |
0 |
2016-10
10423
1 오핫핫
|
1068 |
(VMWare) vmx 수정시 실행오류 (3) |
컴초보에요 |
2016-10 |
8405 |
0 |
2016-10
8405
1 컴초보에요
|
1067 |
(VMWare) esxi 5.5에서 특정 vm을 정상 종료 후 다시 부팅하려니 vm… (4) |
chotws |
2016-10 |
6609 |
0 |
2016-10
6609
1 chotws
|
1066 |
(KVM) kvm 에서 nvidia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 (3) |
박완경 |
2016-10 |
9898 |
0 |
2016-10
9898
1 박완경
|
1065 |
(etc) [질문] 안녕하세요! 게임 가상화 관련해서요! (17) |
Chei |
2016-10 |
12664 |
0 |
2016-10
12664
1 Chei
|
1064 |
(VMWare) 가상윈도우로 블루스택 실행. (4) |
후닝이 |
2016-09 |
9660 |
0 |
2016-09
9660
1 후닝이
|
1063 |
(VMWare) (팁) (수정됨) 패스스루된 GPU, 원격 접속으로 D3D 게임 … (9) |
강물처럼 |
2016-09 |
20226 |
1 |
2016-09
20226
1 강물처럼
|
1062 |
(VMWare) vCenter 할인 프로그램은 이제 사라진건가요?? (2) |
마녀 |
2016-09 |
5634 |
0 |
2016-09
5634
1 마녀
|
1061 |
(etc) PANO LOGIC G1, G2 차이점..? (4) |
오월의행복 |
2016-09 |
6522 |
0 |
2016-09
6522
1 오월의행복
|
1060 |
(Hyper-V) Hyper-v시작오류 (2) |
쿠니 |
2016-09 |
6973 |
0 |
2016-09
6973
1 쿠니
|
1059 |
(VMWare) 델서버 T791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esxi custromized 버… (2) |
슬픈윈드 |
2016-09 |
7099 |
1 |
2016-09
7099
1 슬픈윈드
|
1058 |
(Xen) [질문] Citrix XenServer VM백업에 대해 알고싶어요! (7) |
오핫핫 |
2016-09 |
10959 |
0 |
2016-09
10959
1 오핫핫
|
1057 |
(Virtualbox) [질문]서피스프로4 버추얼 박스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3) |
팬도라 |
2016-09 |
14116 |
0 |
2016-09
14116
1 팬도라
|
1056 |
(VMWare) vmware로 게임 다클라 하려고 하는데 iso는 어떤거 쓰면 … (18) |
슬러그 |
2016-09 |
15601 |
0 |
2016-09
15601
1 슬러그
|
1055 |
(VMWare) esxi 초보입니다. 에러코드 operating system not found p… (16) |
newprojectb |
2016-09 |
23597 |
0 |
2016-09
23597
1 newprojectb
|
1054 |
(VMWare) 본컴퓨터와 vm간 스레드 현상에대해 (4) |
깡룡 |
2016-09 |
8471 |
0 |
2016-09
8471
1 깡룡
|
1053 |
(VMWare) 한 pc에서 vm 20~25개 정도 돌리려고 하는데요 (5) |
단팥 |
2016-09 |
9830 |
0 |
2016-09
9830
1 단팥
|
1052 |
(VMWare) ssh port 문의 (3) |
ocm10gr2 |
2016-09 |
7559 |
0 |
2016-09
7559
1 ocm10gr2
|
1051 |
(VMWare) esxi 이런것 가능할까요? (11) |
킵고잉 |
2016-09 |
9587 |
0 |
2016-09
9587
1 킵고잉
|
제가 찾고있는 vmware처럼, os 위에서 실행되는 또다른 gui 기반의 가상의 os가 아닌가요?
결국 "가상머신을 > 물리머신으로" 인식하게 만드는법은 없는걸까요. ㅠㅠ
더미다가 문젠데..
저도 가상머신 게이밍에 경험이 많은 건 아니라서.. 더미다 우회는 정말 답이 없더군요...
가상 vga대신에 실제 vga의 일부를 사용하는 건가요? 그러면 실제 vga의 2d가속기능 등을 활용해서
2d가속 설정시에도 가상머신을 탐지하는 더미다(themida)에 걸리지 않나요? 가상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 GPU 카드 자체를 PCIe 상 VM에 직접 꽂아주는 걸 말합니다. 가상머신을 탐지하는 기능이 CPU나 시스템 구성 요소를 살피느냐, 그래픽 구성 요소를 살피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래픽만을 따진다는 가정하에는 걸리지 않습니다.
2. 해당 기능은 xen / esxi 에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어느 쪽이 더 구현하기 쉬운지요?
vmware ws pro정도만 사용해보았고 다른 가상머신은 접해본적은 없습니다. 물론 프로그래밍쪽도 잘 모르고요..
> 전 Xen, ESXi, KVM 다 써봤지만, KVM을 제외하면 비슷비슷합니다. 하지만 아셔야 할 점은, ESXi는 AMD 그래픽 카드만 지원을 하고 (그래도 UEFI 부팅 옵션이랑 Config 파일 하나는 직접 수정해주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미 익숙한 ESXi를 쓸 수 있다는 것과, 다른 세팅이 용이한 ESXi기 때문에 메리트는 있죠. XenDesktop (ESXi 같이 자그마한 OS에 가상화 모듈만 얹어 나오는 앱니다)을 이용하면 Nvidia 카드도 GPU Passthrough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세팅이 좀 복잡합니다. ESXi와 마찬가지로 AMD 그래픽을 사용하면 GUI에서 바로 세팅이 가능합니다. XenDesktop은 세팅 해본지가 1년이 넘어서 지금은 바뀌었을 수도 있겠네요.
(게임가드나 각종 액티브 탐지에 전혀 걸리지 않습니다)
제가 KVM vm 2대에 폴라리스480/460달고 윈도텐 2개 사용중인데 일반PC 2대와 전혀 다름없는 퍼포먼스와 속도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그래픽카드를 여러 VM이 분배해서 쓰려면 윗분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고가의 전용 카드 vGPU 를 쓰셔야 합니다만
게이밍 용도가 아니고 고가 카드입니다. 2클러 자동사냥 정도라면 각각 1:1매칭도 나쁘진 않을 듯합니다.
내부라면 1번 VM 사용하면서 2번 VM을 팀뷰어 같은걸로 불러와서 1인 2역 사용도 가능할 것 같네요.
VGA를 PCI Path-Through하면 이러한 현상(직접 VGA 사용하니)이 해결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무것도 안해도 잘 돌던데요
VGA 패스스루하면 실기랑 똑같구요
혹여 느리다고 느끼시는게
윈도우 자체가 느리게 아니고 아마 SPICE 응답속도때문에 느리다고 느끼시는거 같습니다
SPICE가 약간 응답속도가 조오금 느립니다.
( KVM 은 SSD Raid 구성된 위에 있고, DATA 드라이브는 ZFS RAIDZ 의 Dataset 을 사용합니다 )
VGA Passthrough 한다면, 해당 VGA 에 HDMI or DP 연결하여 메인 모니터 출력시 완벽한 독립 PC환경과 같습니다.
깨달은 점은, 여러 VM 또는 컨테이너를 운용 시, 윈도 vm은 SSD 영향이 아주 심하다는 정도였습니다.
3TB * 4 로 구성한 ZPool 에 VM 설치시, 해당 다른 컨테이너나 VM의 I/O시 이쪽 윈도까지 흔들리더군요.
고로 kvm이 위치한 메인 rpool 로 옮겼더니, 타 컨테이너 작업 상관없이 아주 만족스러운 PC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내장그래픽/외장그래픽이 있다면 1PC로 다중 VM을 직접 제어 가능한 장점도 매우 큽니다.
(내장그래픽을 KVM Hypervisor 제어에 쓰고, 외장그래픽은 VM 에 물리면 됩니다)
ESXi와 같은 가상화는 vmware 처럼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컴퓨터 한대를 통째로 ESXi를 운영체제로 설치해서 쓰셔야 하고 다른컴퓨터에서 이 ESXi에 접속하여 조작해야 하는 방식입니다.
결국 ESXi를 쓰고싶다면 컴퓨터가 최소한 두대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지요.
물론 이런식으로 쓴다면 한 컴퓨터에서 두대를 "접속"할수는 있지만
오로지 컴퓨터 "한대"로 하시려는거라면..음...
하이퍼v는 써본적이 없지만 이것도 패쓰쓰루를 지원하지 않는지는 모르겠네요...
게다가 패쓰쓰루한 화면을 딜레이나 병목없이 깔끔하게 쓰려면 해당 그래픽카드에 직접 모니터를 물려야 합니다.
그래픽카드를 아예 가상os로 넘겨버리는거기때문에 원래 os에서 사용이 불가능해지죠. 원래 사용중인 그래픽카드를 넘겼다가는
원래 os의 화면이 안나와서 사용이 불가해져버린다는거죠.
결국 모니터도 별도로 한대 필요하다는거죠.
굳이 게임만을 위한거라면 다른방법을 찾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